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년 류의목은 어떻게 유학자가 되었나 = How did the boy Ryu Eui-mok become a Confucian schol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1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知)의 내면화 문제는 학습이 일어나는 기제를 밝히는 작업으로 교육학의 핵심적 연구 과제의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후반 안동 하회마을에 살았던 류의목의 일기를 통하여 유학적 지가 어떻게 내면화(internalization)되어 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 인간이 생물학적 존재로 태어나서 어떤 과정을 거쳐 유학자라는 사회 문화적 존재로 성장해 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한 인간이 사회 문화적 존재가 되는 과정에는 수없이 많은 경험 요소들이 작용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독서 활동에 주목하였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유학에서의 독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유학의 전통에서 볼 때 서책은 성현이 쓴 것이며, 책을 읽는다는 것은 성현을 만나는 것이다. 책 속에는 성현의 행동과 사상이 들어 있으며, 독서 활동은 성현을 본받는 활동임을 이야기하였다. 논문의 Ⅲ장에서는 류의목의 독서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류의목이 읽은 서책의 종류와 독서의 집중도, 독서의 방법, 독서와 토론 문화, 독서의 평가 등을 고찰하였고, 아울러 독서활동과 내면화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류의목을 포함한 조선조 유학자의 독서 활동의 목표가 성현되기이며, 이 목표를 달성을 위한 주요 수단이 성현의 말씀인 유학 경전의 독서라는 것을 말하였다. 조선조 유학자들은 독서 활동을 통하여 유학적 지를 내면화하였고, 그 내면화 과정은 미메시스(mimesis)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의 내면화에 대한 역사적 사례 연구로서 개인 혹은 지역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지의 내면화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소년 류의목이 어떻게 유학자가 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유학적 지의 내면화 과정의 탐구이며 동시에 한국인의 형성 과정을 역사적, 문화적으로 탐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교육이 삶에 ‘무기력한’ 교육이 아니었음을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지(知)의 내면화 문제는 학습이 일어나는 기제를 밝히는 작업으로 교육학의 핵심적 연구 과제의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후반 안동 하회마을에 살았던 류의목의 일기를 통하여 유학...

      지(知)의 내면화 문제는 학습이 일어나는 기제를 밝히는 작업으로 교육학의 핵심적 연구 과제의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후반 안동 하회마을에 살았던 류의목의 일기를 통하여 유학적 지가 어떻게 내면화(internalization)되어 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 인간이 생물학적 존재로 태어나서 어떤 과정을 거쳐 유학자라는 사회 문화적 존재로 성장해 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한 인간이 사회 문화적 존재가 되는 과정에는 수없이 많은 경험 요소들이 작용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가운데 독서 활동에 주목하였다. 논문의 Ⅱ장에서는 유학에서의 독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유학의 전통에서 볼 때 서책은 성현이 쓴 것이며, 책을 읽는다는 것은 성현을 만나는 것이다. 책 속에는 성현의 행동과 사상이 들어 있으며, 독서 활동은 성현을 본받는 활동임을 이야기하였다. 논문의 Ⅲ장에서는 류의목의 독서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류의목이 읽은 서책의 종류와 독서의 집중도, 독서의 방법, 독서와 토론 문화, 독서의 평가 등을 고찰하였고, 아울러 독서활동과 내면화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류의목을 포함한 조선조 유학자의 독서 활동의 목표가 성현되기이며, 이 목표를 달성을 위한 주요 수단이 성현의 말씀인 유학 경전의 독서라는 것을 말하였다. 조선조 유학자들은 독서 활동을 통하여 유학적 지를 내면화하였고, 그 내면화 과정은 미메시스(mimesis)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의 내면화에 대한 역사적 사례 연구로서 개인 혹은 지역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지의 내면화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소년 류의목이 어떻게 유학자가 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유학적 지의 내면화 과정의 탐구이며 동시에 한국인의 형성 과정을 역사적, 문화적으로 탐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전통적 교육이 삶에 ‘무기력한’ 교육이 아니었음을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의목, "하와일록" 한국국학진흥원 2015

      2 안병걸, "풍산류씨 가문의 학문 전통과 가학 계승 -류중영과 그 후손들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155-188, 2018

      3 박종배, "조선시대 학교의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자운,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6) : 295-329, 2020

      5 김명자, "순조 재위기(1800~1834) 하회河回 풍산류씨豊山柳氏의 현실 대응과 관계망의 변화" 한국국학진흥원 (29) : 77-112, 2016

      6 박종배, "병산서원 교육 관계 자료 검토" 교육사학회 18 (18): 31-59, 2008

      7 군터게바우어, "미메시스 : 사회적 행동-의례와 놀이-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8 이홍우, "교과의 내면화"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 (1): 2000

      9 "退溪集"

      10 "辭源"

      1 류의목, "하와일록" 한국국학진흥원 2015

      2 안병걸, "풍산류씨 가문의 학문 전통과 가학 계승 -류중영과 그 후손들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155-188, 2018

      3 박종배, "조선시대 학교의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자운,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6) : 295-329, 2020

      5 김명자, "순조 재위기(1800~1834) 하회河回 풍산류씨豊山柳氏의 현실 대응과 관계망의 변화" 한국국학진흥원 (29) : 77-112, 2016

      6 박종배, "병산서원 교육 관계 자료 검토" 교육사학회 18 (18): 31-59, 2008

      7 군터게바우어, "미메시스 : 사회적 행동-의례와 놀이-미적 생산" 글항아리 2015

      8 이홍우, "교과의 내면화"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 (1): 2000

      9 "退溪集"

      10 "辭源"

      11 "論語集註"

      12 "江皐先⽣文集"

      13 권오영, "柳台佐의 생애와 학문성향" 동양학연구원 (76) : 133-155, 2019

      14 "朱⼦語類"

      15 "守軒集"

      16 "大學章句"

      17 柳台佐, "國譯 鶴棲文集" 대보사 2000

      18 안경식, "先秦 大學 制度의 考察" 한국교육사학회 22 (22): 2000

      19 안경식, "先秦 儒家의 時敎論" 한국교육사학회 23 (23): 2001

      20 한국학중앙연구원, "『古文書集成 20』(병산서원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