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코칭학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aching Scienc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4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aching sc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trends on coaching, report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reviewed and analyzed the acti...

      This study aimed to seek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aching scienc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 trends on coaching, reported from 1995 to 2015, were analyzed. This study also reviewed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academic associations to support the theoretical basis of coaching science and to examine current tendency and the future of the coaching industry. In conclusion of these analyses, we have identified three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aching science.
      First, coaching science should respond more actively to escalating social needs for coaching.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through this social role.
      Second, it is very necessary to expand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the industries and universities beyond what it is now, especi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 verification of coaching effect, building a process for each type of coaching that is more fragmented by market segmentation, and increasing the expertise of coaches.
      Third, coaching science can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a convergence study.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udy of various adjacent fields. This is because coaching science i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a human being is, and it provokes inner experience and insights.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have supported this fact. Coaching science should be elaborated as a more systematic theor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be an area of convergence studies to understand people by creating empirical resul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학의 이...

      본 연구는 한국 코칭학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위해 1995년 이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의 국내의 코칭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칭학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는 코칭관련 학회의 활동내용과 실제 코칭학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코칭산업계의 동향 및 코칭학에 기대하는 사회적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이 바뀌고 있고,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 등으로 인구․사회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칭에 대한 사회적 요구(Social needs)가 더욱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코칭산업계가 현재 학계의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는코칭효과의 객관적 검증방법, 세분화되고 있는 코칭유형에 따른 적합한 프로세스의 구축, 코치의 역량 증대,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코칭 모델의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학문으로서의 코칭학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인근 학문들과의 융합적 연구가 인문학분야와 뇌 과학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뇌괴학 분야에서의 연구결과들은 코칭의 효과에 대해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코칭학이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내면 체험과 통찰을 촉진함으로써 변혁적 성장을 이루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융합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2 도미향, "한국의 코칭 연구 경향에 관한 분석" 4 (4): 5-24, 2011

      3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50년사" 한국경영학회 2007

      4 이순룡, "한국 경영학 도입기의 재조명" 27 (27): 709-727, 1998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최나영,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7 이미섭, "퇴직 후 심리적 위기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165-194, 2015

      8 박충선, "통합학문으로서의 코칭과 상담" 2011

      9 박정영, "코칭학의 유형분류를 위한 기초적 접근 : 코칭형태분류를 중심으로" 2 (2): 61-77, 2009

      10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1 탁진국,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 33 (33): 139-166, 2014

      2 도미향, "한국의 코칭 연구 경향에 관한 분석" 4 (4): 5-24, 2011

      3 한국경영학회, "한국경영학회 50년사" 한국경영학회 2007

      4 이순룡, "한국 경영학 도입기의 재조명" 27 (27): 709-727, 1998

      5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서울] 2012

      6 최나영, "퇴직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7 이미섭, "퇴직 후 심리적 위기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165-194, 2015

      8 박충선, "통합학문으로서의 코칭과 상담" 2011

      9 박정영, "코칭학의 유형분류를 위한 기초적 접근 : 코칭형태분류를 중심으로" 2 (2): 61-77, 2009

      10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11 길영환, "코칭의 학문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4 (4): 57-68, 2011

      12 선종욱, "코칭의 학문 가능성을 위한 기초적 접근" 2 (2): 5-21, 2009

      13 김상범, "코칭의 이론적 모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동기와 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13 (13): 1-30, 2010

      14 정은미, "코칭에 관한 연구 경향 분석" 2 (2): 23-43, 2009

      15 김은정, "코칭심리와 긍정심리" 2010

      16 Law, H., "코칭심리" 학지사 2010

      17 양일선,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부하의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49-72, 2015

      18 조성진,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27-74, 2010

      19 삼성경제연구소,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SERI 2013

      20 홍경임, "직장인의 행복,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1 도미향,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한 리더십코칭 연구 경향" 3 (3): 5-22, 2010

      22 이경호, "전문코치의 역량함양 내러티브에 나타난 뇌교육의 의미" 12 : 29-60, 2013

      23 김지영, "일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감정코칭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79-97, 2014

      24 이정모, "인지과학과 21세기 융합 학문의 시대" 2010

      25 이인식, "융합하면 미래가 보인다: 세상을 움직이는 과학의 모든 것" 21세기 북서 2014

      26 박정영, "우리나라 코칭 산업의 현황과 전망" 5 (5): 23-46, 2012

      27 김현수, "심리와 코칭" 2011

      28 박미려, "시간적 차원에서 본 베이비붐 세대의 행복수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9 김미숙, "성숙한 리더십을 위한 내러티브 코칭 유용성 연구" 4 : 33-54, 2015

      30 김유진,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1 박선영, "삶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임상적 함의" 한국심리학회 31 (31): 741-768, 2012

      32 박은선, "삶의 의미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이화사회과학원 29 : 267-299, 2013

      33 장서영, "사무직 베이비부머 퇴직설계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14

      34 이소희, "부모지원을 위한 6Y Coaching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8 (18): 625-656, 2013

      35 김성령, "베이비붐세대의 가족주의가치관, 노후준비도, 생활만족도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36 김미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실태와 노후준비교육의 방향" 29-58, 2010

      37 임은경,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38 김이남,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39 김은희, "리더의 코칭역량이 구성원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40 고현숙, "리더십코칭의 이론적 개념과 연구과제" 리더십학회 2 (2): 111-134, 2011

      41 도미향, "대학에서의 코칭학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5 (5): 5-22, 2012

      42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43 Biswas-Diener, R., "긍정심리학 코칭기술" 물푸레 2011

      44 Biswas-Diener, R., "긍정심리학 코칭" 아시아코칭센터 2009

      45 홍민영, "긍정 정서를 활용한 기업코칭전략 및 효과 탐색" 1 : 183-204, 2014

      46 한국연구재단,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47 윤세준, "과학, 인문학 그리고 경영학: 미국의 경영대학 발전사에서 얻는 교훈" 한국인사조직학회 23 (23): 61-92, 2015

      48 박순창, "경영학 발전을 위한 미래학 교과목 융합 제안" 아시아.유럽미래학회 8 (8): 135-154, 2011

      49 우수명, "경영자의 코칭역량 구성요소 개발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5 (15): 233-251, 2013

      50 도미향, "가족 역량 강화를 위한 리더십 코칭 접근" 1 (1): 21-40, 2008

      51 Lee, G., "Why the coaching industry needs to get professional" 3 (3): 34-39, 2004

      52 Jack, A. I., "Visioning in the brain-An fMRI study of inspir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8 (8): 369-384, 2013

      53 고윤승, "Understanding the Coaching Industry"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8 : 13-31, 2014

      54 Stelter, R., "Third-generation coaching: striving towards value-oriented and collaborative dialogues" 9 (9): 33-48, 2014

      55 Stelter, R., "Third generation coaching: Reconstructing dialogue through collaborative practice and a focus on values" 9 (9): 51-66, 2014

      56 Kjaer Global, "The future of coaching: Inspiring and empowering people in the next decade-looking at society, business and people by 2020+"

      57 Norman Doidge, "The brain that changes Itself: Stories of personal triumph from the frontiers of brain science" Viking Press 2007

      58 Kimberly Schaufenbuel, "The Neuroscience of Leadership: Practical Applications"

      59 David A. Lane, "The Future of Coaching as a Profession: The Complete Handbook of Coaching" 377-390, 2010

      60 이소희, "TREASURETalk 코칭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2)" 8 (8): 5-40, 2015

      61 Amy F. T. Arnsten, "Stress signaling pathways that impair prefrontal cortex structure and function" 10 : 410-422, 2009

      62 Rock, David, "SCARF: A brain-based model for collaborating with and influencing others" 1 : 44-52, 2008

      63 Sherpa Coaching, "Ninth Annual Executive Coaching Survey 2014: Theme Three-Neur oscience Soars"

      64 Stelter, R., "Narrative-collaborative group coaching develops social capital- a randomised control trial and further implications of the social impact of the intervention" 4 (4): 123-137, 2011

      65 Stelter, R., "Narrative coaching-towards personal and social meaning-making" 2009

      66 Gallup, "Mood of the World Upheat on International Happiness Day"

      67 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global coaching study"

      68 Palmer, S., "Handbook of coaching psychology: A guide for practitioners" Routledge 2007

      69 Spence, G., "Further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coaching: Lessons from the rise and fall of the human political movement" 42 (42): 255-265, 2007

      70 Daniel C. Feldman, "Executive Coaching :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31 (31): 829-848, 2005

      71 Grant, A., "Evidence-based coaching: Flourishing or languishing?" 42 (42): 239-254, 2007

      72 Dianne R. Stober, "Evidence-based coaching. Vol 1: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from the behavioural sciences" Australian Academic Press 2005

      73 O Broin, A., "Evidence-based coaching for practitioners: as interview with Doug Mackie" 7 (7): 140-143, 2014

      74 Drake, D. B., "Evidence in action-A relational view of knowledge and mastery in coaching" 7 (7): 1-12, 2009

      75 Annette Fillery-Travis, "Does coaching work or are we asking the wrong question?" 1 (1): 23-36, 2006

      76 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Developing People Thinking through “Brain-based Coaching’’"

      77 Stelter, R., "Coaching-narrative-collaborative practice" 5 (5): 152-164, 2010

      78 Rock, D., "Coaching with the Brain in Mind: Foundations for Practice" John Wiley and Sons 2009

      79 Boyatzis, R. E., "Coaching with compassion can ‘light up’ human thoughts"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80 Boyatzis, R. E., "Coaching with Compassion: An fMRI Study of Coaching to th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al Attractor" 2010

      81 Anthony M. Grant, "Coaching the brain : Neuro-Science or neuro-nonsense?" 11 (11): 31-37, 2015

      82 Diane Brennan, "Coaching in the US: trends and challenges" 1 (1): 186-191, 2008

      83 Stelter, R., "Coaching as a reflective space in a society of growing diversity: towards a narrative, postmodern paradigm" 4 (4): 207-217, 2009

      84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Coaching a global study of successful practices: Curr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2008-2018"

      85 Linley, P. A., "Coaching Research: who? what? where? when? why?" 4 (4): 1-12, 2006

      86 Ann Betz, "Co-Active Coaching and the Brain: Neuroscience Research Supports the Eff icacy of the Co-Active ModelBy"

      87 Kauffaman, C., "A pragmatic perspective: Putting positive coaching psychology into action" 2 (2): 97-102, 2007

      88 Rock, David, "A Brain-based Approach to Coaching" 4 (4): 32-43, 2006

      89 한국코치협회, "2011년-2014년 한국코칭산업동향자료"

      90 한국코칭학회, "2007년-2015년 학술대회자료집"

      91 International Coaching Research Forum, "100 Coaching research proposal abstracts"

      92 Institute of Coaching, "100 Coaching Research Proposal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