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남 일부 초등학교 4학년 대상 채소 관련 영양 교육의 효과성 평가 =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bout Vegetables on Forth-Grade Elementary School in Gyeong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79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egetable related nutrition education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 knowledge on vegetables, dietary attitude, awareness of vegetables, vegetable-eating experiences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between two different fourth-grade groups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after the school nutritionist provided education to just one of the two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9 fourth grade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67 and 62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four times, 40 minutes each, once a week.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122 respondents who included 6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61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e response rate stood at 94.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nutrition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bout vegetab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rise of 1.08 from a score of 5.01 in the pretest to 6.10 in the posttest, and the change was significant(p<.001). The control group showed a rise of 0.41 from 5.49 in the pretest to 5.90 in the posttest as well,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ores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nutrition knowledge on vegetables, both groups scored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bu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education showed a bigger increase in thei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Whose advice they took when they ate vegetables was asked after the education was provided,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37.7%) replied that they listened to the school nutritionist's advice,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control group members(49.2%) replied that they followed their parents' advice. and then intergroup gap was significant(p<.001).
      When their intake of vegetables was check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6.15% increase in the intake of vegetables from 89.34% in the pretest to 95.49 % in the posttes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just a 1.43% increase from 92.21% in the pretest to 93.65% in the posttest.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control group's vegetable intake. Both groups ate more vegetables after the education was conducted,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As for vegetables pre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greater liking for every listed vegetable except lotus roo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bracken, green onion and pumpki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fond of vegetables after the education was offered, but there was little change in preference of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bout vegetables, 41 out of 61 students, which accounted for 67.2%, answered that the nutrition instruction was intriguing, and 62.3% replied that they acquired nutrition knowledge thanks to the instruction.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vegetables provided to fourth graders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of vegetables, increasing their intake of vegetables offered by school meals, boosting thei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increasing their vegetable-eating experience.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nutrition experts to reduce the amount of uneaten foods in school meals and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the right dietary habits. In addition, sustainable and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continuously improve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egetable related nutrition education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 knowledge on vegetables, dietary attitude, awareness of vegetables, vegetable-eating experiences and p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egetable related nutrition education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 knowledge on vegetables, dietary attitude, awareness of vegetables, vegetable-eating experiences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between two different fourth-grade groups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after the school nutritionist provided education to just one of the two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9 fourth grade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67 and 62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four times, 40 minutes each, once a week.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teaching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122 respondents who included 61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61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e response rate stood at 94.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nutrition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bout vegetabl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rise of 1.08 from a score of 5.01 in the pretest to 6.10 in the posttest, and the change was significant(p<.001). The control group showed a rise of 0.41 from 5.49 in the pretest to 5.90 in the posttest as well,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ores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nutrition knowledge on vegetables, both groups scored high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bu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education showed a bigger increase in thei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Whose advice they took when they ate vegetables was asked after the education was provided,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37.7%) replied that they listened to the school nutritionist's advice,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 control group members(49.2%) replied that they followed their parents' advice. and then intergroup gap was significant(p<.001).
      When their intake of vegetables was check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6.15% increase in the intake of vegetables from 89.34% in the pretest to 95.49 % in the posttes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just a 1.43% increase from 92.21% in the pretest to 93.65% in the posttest.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control group's vegetable intake. Both groups ate more vegetables after the education was conducted,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As for vegetables pre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greater liking for every listed vegetable except lotus roo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bracken, green onion and pumpki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fond of vegetables after the education was offered, but there was little change in preference of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bout vegetables, 41 out of 61 students, which accounted for 67.2%, answered that the nutrition instruction was intriguing, and 62.3% replied that they acquired nutrition knowledge thanks to the instruction.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vegetables provided to fourth graders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ir nutrition knowledge of vegetables, increasing their intake of vegetables offered by school meals, boosting their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increasing their vegetable-eating experience.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y nutrition experts to reduce the amount of uneaten foods in school meals and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the right dietary habits. In addition, sustainable and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continuously improve th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원지역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받은 교육집단과 영양교육을 받지 않은 비 교육집단으로 나누어 영양교사가 직접 교육을 실시하여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 식생활 태도, 채소에 대한 인지도, 섭취경험, 기호도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4학년 129명 중 교육집단 67명, 비 교육집단 62명으로 구성한 후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주1회 40분간 총 4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자가 기록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여 분석 가능한 설문지 122부(이용율 94.5%)중 교육집단 61명, 비 교육집단 61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집단과 비 교육집단의 교육 전 · 후 채소 관련 영양지식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교육집단은 교육 전(M=5.02)에 비해 교육 후(M=6.10)에 1.08점의 향상이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비 교육집단은 교육 전(M=5.49)에 비해 교육 후(M=5.90)에 0.41점의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교육집단이 비 교육집단에 비해 증가의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섭취 시 의견을 따르는 사람에 대한 교육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집단은 영양 선생님이 37.7%의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비 교육집단은 부모님이 49.2%의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채소 반찬 섭취량의 조사결과, 교육 집단은 교육 전(M=89.34%)에 비해 교육 후(M=95.49%)에 6.15%의 섭취량 증가가 나타났으며, 비 교육집단은 교육 전(M=92.21%)에 비해 교육 후(M=93.65%)에 1.43%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반찬의 섭취량이 증가되었으나 교육집단이 비 교육집단에 비해 증가의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 대한 기호도에서 교육집단은 연근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항목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의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비 교육집단은 고사리, 파, 호박의 항목에서만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의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교육집단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기호도가 높아졌으나, 비 교육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채소 관련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육집단 61명 중 41명인 67.2%가 영양교육수업이 흥미가 있었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영양교육 수업이 영양지식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62.3%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소 관련 영양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대상의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의 향상,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채소반찬 섭취량의 증가, 채소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증가, 채소 섭취 경험의 증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의 잔반 감소 및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서는 영양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영양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으로 향상된 영양지식 및 식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면서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창원지역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받은 교육집단과 영양교육을 받지 않은 비 교육집단으로 나누어 영양교사가 직접 교육을 실시하여 채소에 관한 영양...

      본 연구는 창원지역에 소재한 A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받은 교육집단과 영양교육을 받지 않은 비 교육집단으로 나누어 영양교사가 직접 교육을 실시하여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 식생활 태도, 채소에 대한 인지도, 섭취경험, 기호도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채소 관련 영양교육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4학년 129명 중 교육집단 67명, 비 교육집단 62명으로 구성한 후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주1회 40분간 총 4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2회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자가 기록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여 분석 가능한 설문지 122부(이용율 94.5%)중 교육집단 61명, 비 교육집단 61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집단과 비 교육집단의 교육 전 · 후 채소 관련 영양지식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교육집단은 교육 전(M=5.02)에 비해 교육 후(M=6.10)에 1.08점의 향상이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비 교육집단은 교육 전(M=5.49)에 비해 교육 후(M=5.90)에 0.41점의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관련 영양지식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교육집단이 비 교육집단에 비해 증가의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섭취 시 의견을 따르는 사람에 대한 교육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집단은 영양 선생님이 37.7%의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비 교육집단은 부모님이 49.2%의 가장 많은 응답을 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채소 반찬 섭취량의 조사결과, 교육 집단은 교육 전(M=89.34%)에 비해 교육 후(M=95.49%)에 6.15%의 섭취량 증가가 나타났으며, 비 교육집단은 교육 전(M=92.21%)에 비해 교육 후(M=93.65%)에 1.43%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반찬의 섭취량이 증가되었으나 교육집단이 비 교육집단에 비해 증가의 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에 대한 기호도에서 교육집단은 연근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항목에서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의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비 교육집단은 고사리, 파, 호박의 항목에서만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의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교육집단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채소 기호도가 높아졌으나, 비 교육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집단을 대상으로 채소 관련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육집단 61명 중 41명인 67.2%가 영양교육수업이 흥미가 있었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영양교육 수업이 영양지식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62.3%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채소 관련 영양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대상의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의 향상,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채소반찬 섭취량의 증가, 채소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증가, 채소 섭취 경험의 증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의 잔반 감소 및 초등학생의 올바른 식습관 정착을 위해서는 영양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영양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으로 향상된 영양지식 및 식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면서 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국문요약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학동기 아동의 영양문제 및 식사지침 = 4
      • 2. 채소의 섭취 실태 및 영양교육의 필요성 = 5
      • 3. 영양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 8
      • Ⅲ. 연구내용 및 방법 = 12
      • 1. 연구대상 및 기간 = 12
      • 2. 연구내용 및 방법 = 13
      • 3. 자료의 분석방법 = 16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7
      • 1. 일반적 사항 = 17
      • 2. 식생활 태도 = 18
      • 3. 채소에 관한 지식정도 = 23
      • 4.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27
      • Ⅴ. 결론 및 제언 = 57
      • 참고문헌 = 62
      • 부록 1 수업지도안 = 66
      • 부록 2 설문지 = 75
      • ABSTRACT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