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미학적 탐색: 해체를 넘어 생성을 위하여 = Aesthetic Approach to Postmoder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65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하,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실천문학사 2005

      2 김용규, "호미 바바를 넘어서 포스트민족시대의 접경의 미학 틈새공간의 시학과 그 실제" 7-22, 2004

      3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4 김대현,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871994

      5 심성보, "포스트모던교육학과 교육철학적 위상" 11 (11): 117-150, 1993

      6 최정실,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사교육의 인식론적 접근" 20 : 85-100, 2005

      7 김기홍, "포스트모던 문화사회에서 문화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 9 (9): 31-45, 1999

      8 김윤옥, "포스트모던 교육의 이해와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5 (5): 19-34, 2000

      9 장사형, "포스트모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9 : 129-148, 2001

      10 이진우,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2002

      1 김지하, "흰 그늘의 미학을 찾아서" 실천문학사 2005

      2 김용규, "호미 바바를 넘어서 포스트민족시대의 접경의 미학 틈새공간의 시학과 그 실제" 7-22, 2004

      3 김우창, "행동과 사유" 생각의 나무 2004

      4 김대현, "표상형식의 개발과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19871994

      5 심성보, "포스트모던교육학과 교육철학적 위상" 11 (11): 117-150, 1993

      6 최정실,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사교육의 인식론적 접근" 20 : 85-100, 2005

      7 김기홍, "포스트모던 문화사회에서 문화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 9 (9): 31-45, 1999

      8 김윤옥, "포스트모던 교육의 이해와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5 (5): 19-34, 2000

      9 장사형, "포스트모던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19 : 129-148, 2001

      10 이진우,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2002

      11 신은미,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함의" 8 : 341-349, 2004

      12 신승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 살림 2003

      13 김규수, "포스트모더니즘과 유아교육" 1 : 81-102, 2000

      14 김상환, "차이와 반복" 19682004

      15 노은호, "재개념주의 교육과정에 관한 미학적 접근의 의의" 35 : 53-63, 1992

      16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재개념화: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자유놀이에 대한 이해" 20 (20): 53-73, 2002

      17 김우창, "심미적 이성의 탐구" -7, 1993

      18 Taylor, "시각과 언어" 19871993

      19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05

      20 정혜영, "발도르프 학교 교육의 사상적 이론적 기초:슈타이너 인지학 교육론" 35 (35): 1-16, 1997

      21 사사키 겡이치, "미학사전. 민주식(역)." 1994

      22 이연승, "모던사회에서 포스트모던 사회로의 과도기에 있어서 유아교육의 방향" 34 (34): 73-94, 2003

      23 고이즈미 요시유키, "들뢰즈의 생명철학. 이정우(역)(2003)." 동녘 2000

      24 정혜욱, "데리다의 언어의 간극과 번역 틈새공간의 시학과 그 실제" 1-6, 2004

      25 김동천, "근대의 그늘:한국의 근대성과 민족주의" 당대 2000

      26 임우기, "그늘에 대하여" 강 1997

      27 윤종건, "구성주의 그리고 바람직한 교사상" 17 (17): 213-219, 2000

      28 조용태, "교육철학의 탐구" 문음사 2003

      29 목영해, "교육의 이해" 문음사 2005

      30 한명희, "교육의 미학적 탐구" 집문당 2002

      31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18 (18): 131-152, 1998

      32 Best, "The rationality of feeling Understanding the arts in education" The Falmer Press 1992

      33 Steiner, "The philosophy of freedom The basis for a modern world conception" The Anthroposophic Press 1964

      34 Fromberg,D.P, "The full-day kindergarten:Planing and practicing a dynamic themes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1995

      35 Greene,M, "The dialectic of freedom" Teachers College 1988

      36 Goldstein,L, "Teaching with love:A femin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eter Lang 1997

      37 Power, "Poststructural investigation in education 탈구조주의 교육과정 탐구 권력과 비판" 교육과학사 19881998

      38 Connelly,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nd the modes of knowin Releva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ways of knowing 84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4-198, 1985

      39 "Penomenology of percpetion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19622003

      40 Bruner,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s of thought The ways of knowing 84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7-115, 1985

      41 Tobin, "Making a place for pleas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Yale University 1997

      42 오문자, "KAREA의 방향 탐색을 위한 논의의 첫걸음" 7-13, 2005

      43 Egan,K, "Imagination & education" Teachers College 1988

      44 Cuffaro,H.K, "Experimenting with the world:John Dewey and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eachers College Press 1995

      45 New,R, "Excellent early childhood education:A city in Italy has it" 45 (45): 4-10, 1990

      46 Ayers, "Disturbances from the field Recovering the voi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256-266, 1992

      47 & Copple, "Devle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EYC 1997

      48 Cannella,G.S,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Peter Lang Publisher 1997

      49 Mallory, "Challeng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4

      50 Gomez, "Building new stories of classroom life through teachers transformation" 165-188, 1992

      51 Cadwell,L.B, "Bringing reggio emilia home:An innovative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7

      52 Dahlberg, G.,, "Beyond quality in ealr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stmodern perspectives" Routledge Falmaer 1999

      53 Gardner,H, "Art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The Getty Center for Education in the Arts 1990

      54 Jung, "Analysis of consciousness 융 무의식 분석" 19432005

      55 Eisner, "Aesthetic modes of knowing The ways of knowing 84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36,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