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70299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9.7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v,66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58-59

      • 소장기관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진정한 의미의 통합을 이루려면 단순히 장애 아동을 일반 학교나 일반 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 아동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학급 동료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겁게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 장면에서 일반학급 아동들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를 요인별로 밝혀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공하고 특수교육의 교수-학습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3)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4)접촉경혐의 유무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2001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 사이에 인천광역시 소재 8개 구에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3, 4, 5, 6학년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520부를 배포하여 100% 회수하였으나 이 중에서 통계처리를 할 수 없는 22부를 채외한 498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StaticaI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을 이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 학생틀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집단에 따라 빈도조사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적 구성 특성에 따라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 t 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또는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른 특수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많이 지니고 있으며 더욱 심하게 배척하고 있다. 이는 활동적인 행동 특성을 지닌 남학생들이 지적, 사회적, 운동-기능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특수학급 아동틀을 기피하는 데서 기인된 수용태도로 생각된다. 그리고 여학생틀이 감성적이고 동정적 성격 특성이 더 강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에서도 동정적 시각이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른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3학년이 특수학급 아동을 가장 긍정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저학년 아동의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인식에 대한 교육적 지도를 더 강화하여 고학년이 되어서도 그틀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원적학급 담임교사는 특수학급 아동과 학급 동료들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아동들에게 장애아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통합된 일반 학급에서 학년에 따라 적절하고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른 일반아동의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일반 학생들이 특수요구 아동의 성별이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따라 교우관계에서나, 생활태도, 그리고 학습활동에서 차별적으로 그들을 인식하거나,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남녀의 성별에 따른 역할이나, 친구관계, 생활양식 등이 구별되지 않는 유니 섹스 의식들이 특수요구 아동들과의 관계성에까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넷째, 특수아동과 같은 반에서 접촉한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이 같은 반에서 지낸 경험이 없는 일반아통보다 훨씬 수용태도가 높고 우호적이다. 특히 일반아동은 학습이나 생활 장면에서 그들을 돕거나 가르쳐 주고 싶은 생각을 많이 지니고 있으며, 그들도 열심히 노력하면 잘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적인 기대도 높게 지니고 있다. 따라서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의 교육적인 장면에서 잘 어울리게 하고, 특수아동이 일반사회에 통합되어 정상인들과 함께 원활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라는 공간에서 일반아동들에게 올바르게 이해되고 인격적으로 수용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확대시켜가야 한다고 본다.
      번역하기

      진정한 의미의 통합을 이루려면 단순히 장애 아동을 일반 학교나 일반 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 아동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학급 동료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

      진정한 의미의 통합을 이루려면 단순히 장애 아동을 일반 학교나 일반 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애 아동이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학급 동료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즐겁게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교육 장면에서 일반학급 아동들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를 요인별로 밝혀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방향을 제공하고 특수교육의 교수-학습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라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3)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4)접촉경혐의 유무에 따라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는 2001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 사이에 인천광역시 소재 8개 구에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3, 4, 5, 6학년의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520부를 배포하여 100% 회수하였으나 이 중에서 통계처리를 할 수 없는 22부를 채외한 498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StaticaI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을 이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 학생틀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집단에 따라 빈도조사를 하였으며, 학생들의 인적 구성 특성에 따라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 간 t 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또는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아동의 성별에 따른 특수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많이 지니고 있으며 더욱 심하게 배척하고 있다. 이는 활동적인 행동 특성을 지닌 남학생들이 지적, 사회적, 운동-기능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특수학급 아동틀을 기피하는 데서 기인된 수용태도로 생각된다. 그리고 여학생틀이 감성적이고 동정적 성격 특성이 더 강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에서도 동정적 시각이 기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일반학급 아동의 학년에 따른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3학년이 특수학급 아동을 가장 긍정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저학년 아동의 이러한 특성을 잘 파악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인식에 대한 교육적 지도를 더 강화하여 고학년이 되어서도 그틀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원적학급 담임교사는 특수학급 아동과 학급 동료들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아동들에게 장애아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통합된 일반 학급에서 학년에 따라 적절하고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특수아동의 성별에 따른 일반아동의 수용태도는 교우관계, 생활태도, 학습활동 영역에서 모두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은 일반 학생들이 특수요구 아동의 성별이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따라 교우관계에서나, 생활태도, 그리고 학습활동에서 차별적으로 그들을 인식하거나, 대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남녀의 성별에 따른 역할이나, 친구관계, 생활양식 등이 구별되지 않는 유니 섹스 의식들이 특수요구 아동들과의 관계성에까지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넷째, 특수아동과 같은 반에서 접촉한 경험이 있는 일반아동이 같은 반에서 지낸 경험이 없는 일반아통보다 훨씬 수용태도가 높고 우호적이다. 특히 일반아동은 학습이나 생활 장면에서 그들을 돕거나 가르쳐 주고 싶은 생각을 많이 지니고 있으며, 그들도 열심히 노력하면 잘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적인 기대도 높게 지니고 있다. 따라서 특수아동을 일반아동과의 교육적인 장면에서 잘 어울리게 하고, 특수아동이 일반사회에 통합되어 정상인들과 함께 원활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먼저 학교라는 공간에서 일반아동들에게 올바르게 이해되고 인격적으로 수용되는 긍정적인 경험을 확대시켜가야 한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grated education in a true sense has to be conducted under the management like a forced allo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to regular school or class, as well as, a substantial education necessary for them and an affirmative interacti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In this ve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special educ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ith regar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2)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3)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4)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This study inquired into 3, 4, 5, 6 graders at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putting into practice the integrated education with exceptional class of 8 districts located in Inchon city.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Sept 1, 2001 to Sept 15, 2001. 5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random, and get full possession of it again.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22 questionnaires there wasn't filled in the blanks from top to bottom properly,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act-findings with 498 questionnaires.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by the utilization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 With this, this researcher made use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s the metho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tool. There measured a descriptive statistic as the method to grapp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ta.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requency analysis by the group in order to look through a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s the objects under investigation. And this study put into practice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or variate analysis(one-way ANOVA)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students’ personnel characteristics.
      AS stat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nvestigated As a result,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male pupils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female pupils. And it was excluded from their favor. Male attitude like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male students with an active characteristics are inclined to shirk from the exceptional children which are inferior to them at the cognitive, social and motor functional aspects. With this, this inclinations responses on exceptional children in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Second,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t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all of third graders showed more affirm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any other student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In this vein, considering these attitudes in the lower graders, we’ve got to do something to keep an affirma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hen they grew into higher graders. Accordingly, teachers have to be concerned with fostering the regular students'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m to accomplish a society integration through proper fellowship with exceptional class students. Especially,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offer a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each grade in the integrated class.
      Third, there investigated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As a result, this researcher could find that there hav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These situations mean that regular class students didn't discriminate them at the aspects of discriminate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regardless of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With this, this inclination i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consciousness of unisex has a marked effect on students' fellowship, life pattern without regard to sex role.
      Fourth,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As a result, students who got along with exceptional class children enjoyed more friendly relations with them in comparis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who didn't get.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y would like to offer any help, how to learn to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addition, they have some expectations that exceptional class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grow from their educational efforts. Accordingly, there have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expand the affirmative consciousness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For this,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erroneou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ceptional class children on the basis of social and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regular class students and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번역하기

      Integrated education in a true sense has to be conducted under the management like a forced allo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to regular school or class, as well as, a substantial education necessary for them and an affirmative interaction with regul...

      Integrated education in a true sense has to be conducted under the management like a forced allo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to regular school or class, as well as, a substantial education necessary for them and an affirmative interacti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In this ve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special educat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ith regar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2)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3)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4)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This study inquired into 3, 4, 5, 6 graders at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putting into practice the integrated education with exceptional class of 8 districts located in Inchon city.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Sept 1, 2001 to Sept 15, 2001. 5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random, and get full possession of it again.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22 questionnaires there wasn't filled in the blanks from top to bottom properly,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act-findings with 498 questionnaires.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by the utilization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0.0). With this, this researcher made use of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s the metho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tool. There measured a descriptive statistic as the method to grapp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ta. There put into practice the frequency analysis by the group in order to look through a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s the objects under investigation. And this study put into practice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or variate analysis(one-way ANOVA)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students’ personnel characteristics.
      AS stat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nvestigated As a result,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male pupils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female pupils. And it was excluded from their favor. Male attitude like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male students with an active characteristics are inclined to shirk from the exceptional children which are inferior to them at the cognitive, social and motor functional aspects. With this, this inclinations responses on exceptional children in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Second,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the school tear of regular class students. As a result, all of third graders showed more affirmative response on the receptive attitude in comparison with any other student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In this vein, considering these attitudes in the lower graders, we’ve got to do something to keep an affirma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when they grew into higher graders. Accordingly, teachers have to be concerned with fostering the regular students'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m to accomplish a society integration through proper fellowship with exceptional class students. Especially,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offer a teaching-learning model suitable for each grade in the integrated class.
      Third, there investigated the receptive attitude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them according to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As a result, this researcher could find that there haven't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aspects of their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These situations mean that regular class students didn't discriminate them at the aspects of discriminate fellowship, life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regardless of the gender of exceptional children. With this, this inclination i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consciousness of unisex has a marked effect on students' fellowship, life pattern without regard to sex role.
      Fourth, there investigated their receptive attitude toward exceptional children according to mutual contact or noncontact between them. As a result, students who got along with exceptional class children enjoyed more friendly relations with them in comparison with regular class students who didn't get.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y would like to offer any help, how to learn to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addition, they have some expectations that exceptional class children have the ability to grow from their educational efforts. Accordingly, there have to find new areas and ways to expand the affirmative consciousness of regular class students toward exceptional children. For this, there have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erroneou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ceptional class children on the basis of social and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regular class students and exceptional class children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논문요약 = iv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목차
      • 논문요약 = iv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3. 용어의 정의 = 4
      • 4. 연구의 제한점 = 5
      • II. 이론적 배경 = 6
      • 1. 통합교육 = 6
      • 2.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 16
      • III. 선행연구의 고찰 = 22
      • IV. 연구 방법 = 26
      • 1. 연구 대상 = 26
      • 2. 연구 변인의 선정 = 27
      • 3. 연구 도구 = 28
      • 4. 연구의 절차 = 30
      • 5. 자료 처리 및 분석 = 30
      • V. 결과 및 해석 = 31
      • 1. 일반적인 특성 = 31
      • 2. 집단 간 비교 = 36
      • VI. 논의 = 45
      • 1. 성별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 = 45
      • 2. 학년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 = 46
      • 3. 특수아동 성별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 = 28
      • 4. 특수학급 아동과의 접촉경험에 따른 수용태도의 차이 = 49
      • VII. 요약 및 결론 = 52
      • 1. 요약 = 52
      • 2. 결론 = 55
      • 참고문헌 = 58
      • ABSTRACT = 60
      • 부록 = 63
      • 감사의 글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