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미 교카(泉鏡花, 1873-1939)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약했던 낭만주의 소설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문학적 측면에서 교카의작품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환상성의 원천으로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52527
서울: 동국대학교, 2020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일어일문학과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A)study on the fantasy of Izumi Kyoka's novels Terihakyogen, Utaandon :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image and literary finesse
55 p.: 삽도; 26 cm..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환기
서지적 각주와 참고문헌(p. 50-51) 수록
I804:11020-0000000816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즈미 교카(泉鏡花, 1873-1939)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약했던 낭만주의 소설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문학적 측면에서 교카의작품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환상성의 원천으로써...
이즈미 교카(泉鏡花, 1873-1939)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약했던 낭만주의 소설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문학적 측면에서 교카의작품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환상성의 원천으로써 작가의 내적 심상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작가의 내적 심상이 기교를 통해 환상으로 승화된다는 관점 하에 교카의 작품에 환상성이 성립되는 원리 및 의의를 밝히고 교카문학의 환상문학적 가치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교카문학의 환상의 본질을 이루는 작가의 심상에 대해 에로티시즘을 가장 핵심적으로 제시해온 바, 본 연구에서는 심상을 중심으로 한 교카문학의 환상성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데리하교겐(照葉狂言)』(1896)과 『우타안동(歌行燈)』(1910)을 선정하여 작가의 중심 심상과 문예적 기교가 이루는 일련의 결합과 연결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데리하교겐』에서는 현실서술로 비극성을 강조하는 기교와 마이너리티를 향한 작가의 연민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감정적 합일이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우타안동』에서는 아름다움을 극도로 강조하는 기교와 고전미의 아름다움을 예찬한 작가의 미적 철학이 연결되어, 전통 예능이 갖는 구극의 아름다움이 작품의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교카문학의 환상이 이상주의적 환상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상의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교카문학에 대한 입체적 분석과 논의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zumi Kyouka(1873~1939) Izumi Kyoka is a Japanese romantic novelist. He worked in modern Japan from the Meiji era to the Showa era. This study aimed to discuss Kyoka’s literature in terms of fantasy literature and notes the author’s inner image as...
Izumi Kyouka(1873~1939) Izumi Kyoka is a Japanese romantic novelist. He worked in modern Japan from the Meiji era to the Showa era. This study aimed to discuss Kyoka’s literature in terms of fantasy literature and notes the author’s inner image as a source of fantasy. A further aim wa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bove perspective, and, finally, to discuss the literary value of Kyoka’s novels with regard to fantasy literature.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eroticism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Kyoka’s image, which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e literary fantasy in Kyoka’s literature.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with a focus on image. Two novels, Terihakyogen(1895) and Utaandon(1910),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e also conside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 and literary finesse.
As a result, the emotional unity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hrough Terihakyogen and the expression of classical beauty through extreme finesse in Utaandon were confirmed as pursuits of each work. In addition, Fantasy stood out in a certain part intended to move the reader. In conclusi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author’s dream.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reconsider the existing discourse on fantasy literature is clarified.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泉鏡花は、明治時代から昭和時代にかけて活躍した浪漫主義の小説家である。本研究では幻想文学としての鏡花文学を論じ、幻想の源泉とは作家の心象を指摘している。また作家の心象...
泉鏡花は、明治時代から昭和時代にかけて活躍した浪漫主義の小説家である。本研究では幻想文学としての鏡花文学を論じ、幻想の源泉とは作家の心象を指摘している。また作家の心象が文芸的な技巧を通して幻想になるという観点で、鏡花文学に幻想が成り立つ原理と疑義を明かし、鏡花文学の幻想文学的な価値を論じることを目標としている。
今までの研究では、鏡花文学の幻想の源泉としてエロティシズムを核心的に指摘してきたが、本研究では心想を中心とした鏡花文学の幻想の追加的な研究の必要性を主張した。研究対象は『照葉狂言』(明治29)と『歌行燈』(明治43)を選択し、作家の心象と文芸的な技巧の一連の結合と繋がりを考察した。
その結果、『照葉狂言』では、現実の叙述で悲劇性を強調する技巧とマイノリティーへの憐憫が緊密に繋がっていて、『照葉狂言』を通した作家と読者の間の感情的な合一が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歌行燈』では美しさを極めて強調する技巧と古典美の美しさを賛美した作家の美的哲学が繋がっていて、伝統芸能が持つ究極の美しさが『歌行燈』の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このような分析から鏡花文学の幻想は理想主義的理想として考えられる。
以上の研究を通して最終的には鏡花文学への立体的な分析と論議を始め、鏡花文学の幻想について論じ、今までの幻想文学の談論の再考の必要を指摘していることを究明した。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