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나다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1804-1864)의 작품『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에 나타난 주홍글자 A의 의미변화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다니엘 호손은 미국의 근대 작가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나다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1804-1864)의 작품『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에 나타난 주홍글자 A의 의미변화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다니엘 호손은 미국의 근대 작가 중...
본 논문은 나다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1804-1864)의 작품『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에 나타난 주홍글자 A의 의미변화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다니엘 호손은 미국의 근대 작가 중에서 가장 최초로 여성 주인공을 내세워 글을 쓴 소설가이며, 그가 이 소설을 출판 할 당시는 미국의 여성 해방운동이 태동하던 때이다. 아버지가 일찍 죽은 후 모계 중심의 가정에서 자란 호손은 19세기 청교도적 가부장 사회와 여성중심의 가정환경에서 느끼는 괴리감의 영향을 받아 부지불식간에 여성의 삶에 비상한 관심을 보였을 법하다. 호손 자신의 특수한 환경과 남성중심주의적 문화를 배경으로 창작된 이 소설에서는 가부장제가 극도로 엄격한 17세기 청교도 사회에서 저질러진 간음과 사생아의 잉태라는 파격적인 사건에 얽힌 등장인물들의 죄의식과 본능 사이의 갈등이 A의 다양한 의미를 생성한다.
제 2장에서는 주인공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이 간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사회적으로 큰 죄인이 되고 사람들에게 질타를 받는 시대적 정황을 살펴보았다. 그러한 단죄를 허용하는 문화적 배경은 17세기 미국의 청교도적 윤리의식과 도덕관이다. 사실 청교도적 절제와 엄격한 도덕관이 초기 뉴잉글랜드(New England)의 국가 건설에 순기능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설 속에서도 등장인물들의 청교도적 삶의 태도와 방식이 사회유지체제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즉, 청교도 정신과 윤리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작가의 서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품 속 곳곳에 녹아있다.
제 3장에서는 헤스터가 7 년 동안의 형기를 마치고 이후 선행을 통해 일구어 낸 A의 또 다른 의미를 분석한다. 헤스터의 고행과 선행을 통해 간음이라는 뜻의 A가 능력 있는(Able) 혹은 천사(Angel)의 의미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의 원동력은 헤스터의 자유 의지이다. 그녀는 실로 가부장적 윤리관에 도전하는 능력 있는 여인이다. 그러나 어두운 죄를 범한 헤스터는 미래의 예언자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인물이다.
제 4장에서는 소설 전반에 드러나 있는 이중성과 모호성의 담론을 탐색한다. 헤스터의 자유의지와 청교도 윤리 사이에서 어느 한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호손의 열린 사고방식과 양 쪽의 가치를 함께 인정하는 이중 서사를 분석한다. 미래 사회에 대한 호손의 희망은 헤스터로부터 펄(Pearl)에게로 넘어간다. 특히 펄이 칠링워쓰(Chillingworth)의 유산을 상속받는다는 결말은 펄이 바로 자유와 윤리적 통제를 아우르는 미래의 여인상임을 암시한다.
이 소설의 메시지를 더욱 모호하게 만드는 작가의 전략은 허구와 역사적 사실의 혼융이다. 이야기의 많은 부분이 화자가 세관에서 일하면서 발견한 역사적 사실에 뿌리를 두고 있다. 동시에 그러한 역사적 사실을 이야기하는 화자와 작가 자신 사이에 거리를 둠으로써 의도적으로 사실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그리하여 독자는 사실과 허구 사이에서 생성되는 서사의 모호성과 복합성을 경험한다. 결국 호손의 모호한 메시지는 이분법적 사고를 강요당하는 19세기의 미국인들뿐만 아니라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 모두에게 윤리적 가치에 대한 탄력적인 반응을 요구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