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정보만족이 잠재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대불일치이론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03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 관광레저산업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with value of e-WOM potential tourists' behavior intention : in the perspective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

      • 형태사항

        Ⅴ, 106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계희
        참고문헌: p. 77-97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067337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that the value of lectronic word of mouth(e-WOM) tourism information has over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EDT), in order to find an effec...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that the value of lectronic word of mouth(e-WOM) tourism information has over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expectancy-disconfirmation theory(EDT),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tourism information.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a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EDT;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were identified through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ddition, varied opinions on EDT and recent usage trend of e-WOM tourism inform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ublic who had experience on using e-WOM tourism information. With respect to statistical research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don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xpectation,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on information satisfaction(which is based on EDT model) and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atisfaction on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the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perceived performance and disconfi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disconfirm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isconfi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potential travelers became thorough and active on information search and pursuit of various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to make prudent travel decision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applying the intangible
      featured value of e-WOM tourism information to EDT and verified the influence on information satisfaction.
      Second, in practical te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which can meet potential travelers’ need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most used e-WOM tourism information source. It will help them to find a way to choose an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source
      and make the best use of it, and also to develop it continuously.
      Third, this study reveals that identifying, assessing information value dimensions and recognizing travelers’ perceived values can be useful to the marketers of
      tourism-relat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in creating publicity campaigns and planning for sales promotions. Moreover, it can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and improve travel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which would facilitate their subsequent travel decision ma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가 정보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기대불일치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관광정보 제공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

      본 연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가 정보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을 기대불일치이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관광정보 제공의 효율적인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조사 그리고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의 구성요인인 기대, 지각된 성과, 불
      일치, 만족 간의 관계 및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조
      사를 통해 기대불일치이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및 최근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이용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함께 기대불일치
      이론을 토대로 기대, 지각된 성과, 일치성과 정보만족, 정보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기대는 지각된 성과와 일치성 모두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에
      대한 지각된 성과는 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
      치성은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정보만족
      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중한 관광의사결정을 위한 잠재관광객들의 면밀하고, 능동적인 정보
      검색과 다양한 정보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바탕
      으로, 무형의 특성을 갖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를 기대불일치이론에 적용
      하여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로 나타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원과 관련하여 관광기업들이나 기관들은 잠재관광객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어 관광정보원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 지속적으로 발전시
      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온라인구전 관광정보의 가치 차원을 구분하고 잠재관광객들이 중요하
      게 생각하는 정도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정보를 제공하게 될 관광기업, 관
      련기관이 관광상품 또는 관광지 홍보 및 판촉활동을 계획할 때 유용하게 활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관광객들의 필요에 적합한 정보를 풍부하게 제
      공할 수 있으며, 정보탐색 행동 향상 및 추후 관광의사 결정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문제 제기 1
      • 제2절 연구 목적 3
      • 제3절 연구 방법 및 연구 구성 4
      • 1. 연구 방법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문제 제기 1
      • 제2절 연구 목적 3
      • 제3절 연구 방법 및 연구 구성 4
      • 1. 연구 방법 4
      • 2. 연구 구성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기대불일치이론 6
      • 1. 기대불일치이론 6
      • 2. 기대불일치이론 구성요인 9
      • 3. 기대불일치이론 구성요인 간의 관계 15
      • 제2절 온라인 구전 관광정보 25
      • 1. 온라인 관광정보 25
      • 2. 온라인 구전과 관광정보 29
      • 3. 온라인 구전 관광정보 가치 35
      • 제3절 행동의도 40
      • 1. 행동의도의 개념 40
      • 2. 행동의도와 만족 간의 관계 43
      • 제3장 연구방법 49
      • 제1절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49
      • 1. 연구 모형 49
      • 2. 연구 가설 50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52
      • 제2절 조사 설계 53
      • 1. 설문지 구성 53
      • 2.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56
      • 3. 분석 방법 57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59
      • 제1절 표본의 특성 59
      • 1. 표본의 온라인구전 관광정보원 이용에 관한 일반적 특성 59
      • 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9
      • 제2절 구성개념 내 측정변수의 기본적 특성 61
      • 1.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 기대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61
      • 2.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 성과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62
      • 3. 온라인구전 관광정보 가치 일치성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64
      • 4. 정보만족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64
      • 5. 행동의도의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65
      • 제3절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성 검증 65
      • 1. 구성개념의 확인적 요인분석 66
      • 제4절 연구모형의 분석과 가설 검증 69
      • 1. 연구모형의 검증 69
      • 2.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71
      • 제5장 결론 72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72
      • 1. 연구의 요약 72
      • 2. 시사점 73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5
      • 참고문헌 77
      • 설문지 98
      • ABSTRACT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