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건강취약성이 발생하는 구조적 맥락을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 인 개념틀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주노동자를 지원하는 단체 및 의료기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3127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3-154(4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건강취약성이 발생하는 구조적 맥락을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 인 개념틀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주노동자를 지원하는 단체 및 의료기관 ...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건강취약성이 발생하는 구조적 맥락을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 인 개념틀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주노동자를 지원하는 단체 및 의료기관 관계자 총 17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주노동자의 건강문제를 유발 하는 사회적 조건이나 제도적 환경, 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과 노동조건, 그리고 개별 이 주노동자 및 사업주의 인식과 대응, 이주노동자 건강 취약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등을 파악하였다. 심층 인터뷰 자료에 대한 주제분석 결과, 이주노동자의 건강취약성을 발생시키는 구조적 맥락으로서 ‘차별적 고용제도와 정책’, ‘위험한 노동의 이주화’, ‘불완 전한 사회안전망’, ‘열악한 주거환경’, ‘취약한 사회문화적 기반’, ‘불충분한 건강실천’, 그리고 그 결과로서 ‘개인화된 건강취약성’이라는 7가지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주노 동자 건강취약성은 한국의 노동 시장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불평등과 이주민에게 차별적 으로 설계된 ‘이주정책에서의 불평등’이 교차한 결과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접근성 제고를 넘어 건강 취약성을 유발하는 요인들에 대한 근 본적인 성찰과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xt in which health vulnerabilities among migrant workers arise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vulner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from support organizations, medical clinics, and...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xt in which health vulnerabilities among migrant workers arise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vulner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participants from support organizations, medical clinics, and labor unions representing migrant worker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focused on identifying the social context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at contribute to migrant workers' health issues, labor conditions, and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on addressing their health inequalities among migrant workers. Through thematic content analysis of the data, seven core themes were emerged: "discriminatory employment systems and policies," "migration of risks," "inadequate social safety net," “unhealthy living conditions,” "discriminatory socio-cultural foundation," "inadequat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individualized health vulnerability." We confirmed that the health inequality of migrant workers is the result of the intersection of the inequality inherent in the Korean labor market itself and the inequality in immigration policies that are designed to discriminate against migrants. In order to resolve them, fundamental reflection and active intervention on factors that cause health vulnerability is necessary.
역진적 선별성은 한국 복지체제의 고유한 특성일까? : 남유럽 복지체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석열정부 시기 연금개혁 과정의 특징 : 논점과 비난회피 전략의 진화
프레이저의 포괄적 정의론에 정초한 지자체 정의의 이념형 탐색 : 노인을 중심으로
청년 정신장애인 동료지원가의 노동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