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의 통일교육 현황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교육이 실시되는 초등학교의 교육 활동은 통일교육 현실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가 된다. 그렇기에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그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기초적인 남북 관계와 국제 정세 그리고 우리 사회의 남남갈등의 문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련의 북한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며 중장기적인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초등 학교현장의 통일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파악하면서, 보다 사실에 입각하여 발전적인 북한 이해를 직시하는 ‘새로운 통일교육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는 학교 통일교육은 교사의 통일 의식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초등 교육현장의 현실을 진단하고 동시에 통일교육의 평화와 안보를 포함한 균형적인 통일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 제시를 시도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통일교육이 실시되는 초등학교의 교육 활동은 통일교육 현실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가 된다. 그렇기에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그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통일교육이 실시되는 초등학교의 교육 활동은 통일교육 현실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가 된다. 그렇기에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그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기초적인 남북 관계와 국제 정세 그리고 우리 사회의 남남갈등의 문제들에 대한 의미 있는 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련의 북한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이며 중장기적인 통일교육의 새로운 모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 초등 학교현장의 통일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파악하면서, 보다 사실에 입각하여 발전적인 북한 이해를 직시하는 ‘새로운 통일교육 접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는 학교 통일교육은 교사의 통일 의식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흥미와 관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초등 교육현장의 현실을 진단하고 동시에 통일교육의 평화와 안보를 포함한 균형적인 통일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 제시를 시도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actions in elementary schools that teach unification education are standard of debate & direction for reality of unification problem. So, in the goals & contexts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unification education is a meaning ready for basic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 north korea, international affairs perspectives and conservative versus progressive parts confliction on unification problems. Now, after north korean nuclear test, our society rethinks pro-north korean policy. The crises environments in korean peninsular, our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ust teach students security of south korean, peace keeping is same the security continuing. So, unification education must stress critical north korean understanding. Now, unification contexts of elementary textbooks explain only optimistic vision south-north korean reconciliation. To much remote reality, textbooks have reset of one side vision. My study search for new direction of unification approach. That approach is unbiased that peace and security is good for north korean system. So, unification education is free from the pro-our society of north korea change. Our unification education must critical mind for north korean society. That society have rusty system, We,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must know vision that conflict in south-north korea have many thoughts that know north koreans intelligences. Finally, the real vision our unification education make several attempts unbiased unification including peace making and security maintaining.
      번역하기

      Educational actions in elementary schools that teach unification education are standard of debate & direction for reality of unification problem. So, in the goals & contexts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unification education is a meani...

      Educational actions in elementary schools that teach unification education are standard of debate & direction for reality of unification problem. So, in the goals & contexts unifica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unification education is a meaning ready for basic understanding of south korea & north korea, international affairs perspectives and conservative versus progressive parts confliction on unification problems. Now, after north korean nuclear test, our society rethinks pro-north korean policy. The crises environments in korean peninsular, our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ust teach students security of south korean, peace keeping is same the security continuing. So, unification education must stress critical north korean understanding. Now, unification contexts of elementary textbooks explain only optimistic vision south-north korean reconciliation. To much remote reality, textbooks have reset of one side vision. My study search for new direction of unification approach. That approach is unbiased that peace and security is good for north korean system. So, unification education is free from the pro-our society of north korea change. Our unification education must critical mind for north korean society. That society have rusty system, We, unification education experts must know vision that conflict in south-north korea have many thoughts that know north koreans intelligences. Finally, the real vision our unification education make several attempts unbiased unification including peace making and security maintai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혁범, "한반도의 분단 현실과 통일교육의 방향" 2000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의 비교" 통일연구원 2000

      3 고정식, "통일지향 교육 페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통일연구원 2004

      4 심연수, "통일대비 통일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5-264, 2006

      5 한만길,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2001

      6 한만길,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통일연구원 2003

      7 이향규, "통일교육의 다양한 스펙트럼은 자연스런 현상" 평화 문제 연구소 2001

      8 박찬석, "통일교육, 갈등과 분단을 꿰뚫는 평화의 길찾기" 서울:인간사랑 2003

      9 한만길, "통일교육 실태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10 함인희 외, "통일교육 분야별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통일부 2002

      1 권혁범, "한반도의 분단 현실과 통일교육의 방향" 2000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의 비교" 통일연구원 2000

      3 고정식, "통일지향 교육 페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통일연구원 2004

      4 심연수, "통일대비 통일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45-264, 2006

      5 한만길,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서울: 교육과학사 2001

      6 한만길,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통일연구원 2003

      7 이향규, "통일교육의 다양한 스펙트럼은 자연스런 현상" 평화 문제 연구소 2001

      8 박찬석, "통일교육, 갈등과 분단을 꿰뚫는 평화의 길찾기" 서울:인간사랑 2003

      9 한만길, "통일교육 실태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10 함인희 외, "통일교육 분야별 실태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통일부 2002

      11 김용대, "통일 미래에 대비하는 국민적 가치관 형성 방안"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6

      12 백미옥, "초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의 실상과 과제"

      13 오세형, "초등학교에서 실천하고 있는 통일교육사례" 2004

      14 추병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신페러다임에 관한 연구" 9 : 2006

      15 이준, "초등학교 교사의 통일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연구" 서울교대 2002

      16 소종철, "초등학교 교사의 통일교육 문제에 관한 의식 조사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2004

      17 교육인적 자원부, "초등학교 5학년용 도덕" 2002

      18 윤웅상, "즐거운 초등학교 통일교육"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3

      19 "제목없음"

      20 진효관, "소프트해진 통일교육, 그 쟁점과 위상" 한길아카데미. 2003

      21 Buzan, B, "세계화 시대의 국가 안보" 서울:나남신서 1995

      22 박찬석, "서울초중등 교사의 통일교육 실태와 제안" 4 (4): 2004

      23 임혁백, "새 천년의 국가비전과 전략 : 새천년의 한국과 세계" 나남출판 2000

      24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민주주의의 민주화 218-219, 2006

      25 오기성, "남북한문화통합론" 교육과학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