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유가의 예악 사상에서 예(禮)와 악(樂)의 관계 및 악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의 예악 사상은 주(周)나라 때 그 근간이 형성되었으며, 공자와 순자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064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3-100(18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유가의 예악 사상에서 예(禮)와 악(樂)의 관계 및 악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의 예악 사상은 주(周)나라 때 그 근간이 형성되었으며, 공자와 순자를 ...
본 논문은 유가의 예악 사상에서 예(禮)와 악(樂)의 관계 및 악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의 예악 사상은 주(周)나라 때 그 근간이 형성되었으며, 공자와 순자를 거쳐 한(漢)나라 초기『예기』의「樂記」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유가에 있어서 예악 사상은 기본적으로 경세론의 맥락에서 논의되는 경향이 있지만 예와 악은 단순히 치국을 위한 도구의 성격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예와 악 모두 사람의 마음과 천지자연의 질서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유가에 있어서 악은, 예와 함께 도덕적 교화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악교(樂敎), 즉 시와 예술을 통한 도덕교육이란 미적 체험을 통한 도덕감의 고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악(樂)은 사람으로 하여금 즐겁게 인(仁)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하는 필요불가결한 도덕교육의 요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rite and music, but also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 in Li-Yue(禮樂) thoughts of Confucian philosophy. Li-Yue(禮樂) thoughts started from Zhou Dynsty. Through Confucius an...
This article aims to delve into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rite and music, but also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usic in Li-Yue(禮樂) thoughts of Confucian philosophy. Li-Yue(禮樂) thoughts started from Zhou Dynsty. Through Confucius and Sun Tzu, it was systematically embodied in the Book of music(Yueh Chi, 樂記) of early Han Dynasty. While Li-Yue(禮樂) thoughts are often handled in the context of governing theory, we can not look upon rite and music as an instrument for administrative ideology. This is why both are based on the inclin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order of nature. In Confucian philosophy, music as well as rite has been understood as most important matter of moral enlightenment. Education through music counted as poetry & art enables us to inspire moral sense by aesthetic experiences. In moral education, therefore, music consists of the indispensable matter to practice benevolence with pleasure.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돈, "禮記" 서울: 홍신문화. 1996
2 박낙규, "論語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미의식" 한국미학회 12 : 1987
3 윤찬원, "한비자: 덕치에서 법치로" 서울: 살림 2005
4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5 윤영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도덕교육에의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1) : 389-412, 2005
6 중국철학의 인간학적 이해, "중국철학의 인간학적 이해" 서울: 민지사. 1992
7 정인재 역, "중국철학사" 서울: 형설출판사. 2004
8 권덕주, "중국미학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9 조선미 역, "조민환" 서울: 다할미디어. 2005
10 조민환, "장자의 미학사상에 관한 연구(I): 예악비판과 樂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10 : 1989
1 권오돈, "禮記" 서울: 홍신문화. 1996
2 박낙규, "論語에 나타난 고대 중국인의 미의식" 한국미학회 12 : 1987
3 윤찬원, "한비자: 덕치에서 법치로" 서울: 살림 2005
4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5 윤영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도덕교육에의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1) : 389-412, 2005
6 중국철학의 인간학적 이해, "중국철학의 인간학적 이해" 서울: 민지사. 1992
7 정인재 역, "중국철학사" 서울: 형설출판사. 2004
8 권덕주, "중국미학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9 조선미 역, "조민환" 서울: 다할미디어. 2005
10 조민환, "장자의 미학사상에 관한 연구(I): 예악비판과 樂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10 : 1989
11 이민수, "이민수" 서울: 혜원출판사. 1992
12 이상은, "예악의 형성과 예악사상의 역사적 전개" 동방문화연구원출판부. 1992
13 이상은, "예악의 예술적 본질" 중국철학회 3 : 1992
14 김종미, "선진유가의 예악사상 연구: 천인관계사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영남중국어문학회 20 : 1992
15 박영하 해제, "묵자: 사랑, 그리고 평화를 향한 참지식인의 길" 서울: 풀빛. 2006
16 김학주, "묵자, 그 생애, 사상과 墨家" 서울: 명문당. 2002
17 조요한, "동양의 아름다움과 서양의 아름다움 : 한국미의 조명" 파주: 열화당. 2004
18 한평수, "고대유가의 禮樂사상: 樂의 문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철학과 16 : 1988
19 김학주 역, "荀子" 서울: 을유문화사. 2001
20 심현섭, "孔子 禮樂思想의 미적 탐구 ― 繪事後素의 해석과 興觀群怨의 함의를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25) : 193-222, 2006
21 도민재, "孔子 禮樂思想의 本質과 社會的 理想" 동양철학연구회 34 : 239-265, 2003
22 김학주 역, "墨子" 서울: 명문당. 2003
23 이성원, "古代 中國의 樂의 起源과 그 변화 ―사회통합성 이해를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94) : 1-56, 2006
24 서은숙, "儒家倫理에서 德性涵養論" 서울대학교 사회교육연구소 3 : 1999
25 청주교육대학교, "『禮記』의 예악교화론적 교육사상" 청주교육대학교 1995
26 박낙규, "『書經』에서의 典禮와 미학적 문제" 한국미학회 13 : 198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