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목적 동화의 서사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 - 과학동화 『와이즈만 과학동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 = Narrative Strategies of Fairy Tales for Science Education and Their Significance in Literar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4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현재 어린이가 실제로 읽는 문학텍스트에 주목하여, 과학동화를 문학적 측면과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최근의 흐름을 살펴보기에 앞서 2010년대 출간되어 가장 많이 읽힌 과학동화, 『와이즈만 과학동화 시리즈』를 사례로 하여 그 서사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과학동화는 어린이에게 과학 지식을 교육하기 위해 다양한 문학장치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지하고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서사전략을 구사하였다. 특히 인물의 희극성, 추리서사적 장치, 비일상적 세계의 열림과 닫힘 등의 문학 장치를 바깥 서사와 작은 서사가 반복되는 서사 전개 패턴 가운데, 적절히 적용하였다. 작은 서사를 단지 지식 전달이 아니라 독자의 간접체험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인물의 희극적 성격을 활용하였고, 독자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바깥 서사에 추리서사적 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작은 서사와 바깥 서사는 비일상적 세계의 짧은 지속을 통해 어린이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서사 패턴의 반복과 변형은 독자의 문학 경험이 되어 동화 장르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때문에 독자의 문학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리즈는 타자적 존재에 대한 발견과 생명 윤리의 중요성이라는 윤리담론을 통해 독자를 윤리적 주체로 호명하고 있다. 이에 독자가 잘 보이지 않았던 작은 생명들을 ‘나와 너’의 관계 속에서 사유하고, 타자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문학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 시리즈는 존재하지만 잘 보이지 않는 잠재된 영역을 드러내는 환상성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렇게 과학동화는 서사적 즐거움을 위한 문학 장치의 활용, 서사 패턴의 반복과 변형, 윤리적 담론을 전달하는 서사, 그리고 다양한 세계의 드러냄을 통한 어린이 세계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문학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도 과학동화가 문학적 측면을 더욱 세련되게 다듬고 다양한 문학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문학교육적 역할도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현재 어린이가 실제로 읽는 문학텍스트에 주목하여, 과학동화를 문학적 측면과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최근의 흐름을 살펴보기에 앞서 2010년대 출간되어 가장 많이 읽힌 ...

      본고는 현재 어린이가 실제로 읽는 문학텍스트에 주목하여, 과학동화를 문학적 측면과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최근의 흐름을 살펴보기에 앞서 2010년대 출간되어 가장 많이 읽힌 과학동화, 『와이즈만 과학동화 시리즈』를 사례로 하여 그 서사전략과 문학교육적 의의를 논하고자 하였다.
      과학동화는 어린이에게 과학 지식을 교육하기 위해 다양한 문학장치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지하고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서사전략을 구사하였다. 특히 인물의 희극성, 추리서사적 장치, 비일상적 세계의 열림과 닫힘 등의 문학 장치를 바깥 서사와 작은 서사가 반복되는 서사 전개 패턴 가운데, 적절히 적용하였다. 작은 서사를 단지 지식 전달이 아니라 독자의 간접체험이 되도록 하기 위해 인물의 희극적 성격을 활용하였고, 독자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해 바깥 서사에 추리서사적 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작은 서사와 바깥 서사는 비일상적 세계의 짧은 지속을 통해 어린이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서사 패턴의 반복과 변형은 독자의 문학 경험이 되어 동화 장르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때문에 독자의 문학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리즈는 타자적 존재에 대한 발견과 생명 윤리의 중요성이라는 윤리담론을 통해 독자를 윤리적 주체로 호명하고 있다. 이에 독자가 잘 보이지 않았던 작은 생명들을 ‘나와 너’의 관계 속에서 사유하고, 타자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문학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 시리즈는 존재하지만 잘 보이지 않는 잠재된 영역을 드러내는 환상성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렇게 과학동화는 서사적 즐거움을 위한 문학 장치의 활용, 서사 패턴의 반복과 변형, 윤리적 담론을 전달하는 서사, 그리고 다양한 세계의 드러냄을 통한 어린이 세계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문학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도 과학동화가 문학적 측면을 더욱 세련되게 다듬고 다양한 문학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문학교육적 역할도 함께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science fairy tale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exts that children actively read today. As a case study, it analyzes the Wiseman Science Fairy Tale Series, a widely read collection from the 2010s, to explore narrative strategie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science-themed stories for children.
      Science fairy tales use literary techniques—such as humorous characters, detective-style plots, and transitions into extraordinary worlds—to convey scientific knowledge in engaging ways. These elements are embedded within a narrative structure that alternate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stories. The humorous characterization enhances emotional engagement, while the detective framework sustains narrative tension. The temporary experience of fantastical worlds adds to reader interest and supports genre familiarity. Through the repetition and variation of these structures, readers gain indirect literary experience and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form.
      Additionally, the series promotes ethical reflection, particularly on the value of small or overlooked life forms, by presenting discourses on bioethics and the discovery of otherness. Fantasy elements are used to reveal hidden dimensions of reality, encouraging readers to broaden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and others.
      In sum, science fairy tales combine literary enjoyment, ethical inquiry, and imaginative expansion, offering meaningful contributions to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Continued development of these literary dimensions can further enhance their educational rol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science fairy tale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exts that children actively read today. As a case study, it analyzes the Wiseman Science Fairy Tale Series, a widely read collection from ...

      This paper examines science fairy tale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focusing on texts that children actively read today. As a case study, it analyzes the Wiseman Science Fairy Tale Series, a widely read collection from the 2010s, to explore narrative strategie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science-themed stories for children.
      Science fairy tales use literary techniques—such as humorous characters, detective-style plots, and transitions into extraordinary worlds—to convey scientific knowledge in engaging ways. These elements are embedded within a narrative structure that alternates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stories. The humorous characterization enhances emotional engagement, while the detective framework sustains narrative tension. The temporary experience of fantastical worlds adds to reader interest and supports genre familiarity. Through the repetition and variation of these structures, readers gain indirect literary experience and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narrative form.
      Additionally, the series promotes ethical reflection, particularly on the value of small or overlooked life forms, by presenting discourses on bioethics and the discovery of otherness. Fantasy elements are used to reveal hidden dimensions of reality, encouraging readers to broaden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and others.
      In sum, science fairy tales combine literary enjoyment, ethical inquiry, and imaginative expansion, offering meaningful contributions to children’s literary education. Continued development of these literary dimensions can further enhance their educational ro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