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베이지안 진실 표출법(Bayesian Truth Serum)을 활용한 공무원 이직의도 및 연관 요인 설문의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연구 = Investigating Social Desirability Bias in Surveys on Public Officials' Turnover Intention: A Bayesian Truth Serum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4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 공무원 이직이 사회적 화두가 되어감에 따라 이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공무원 이직의도에 대한 연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기존 연구들은 유사한 데이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때로는 상충된 분석 결과를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제점이 설문 응답 자체의 왜곡, 즉 공무원 설문 참여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응답을 하려는 편향성에 기인한 자료 자체의 문제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공무원 표본 집단을 무작위로 배정한 뒤, 처치집단에는 응답자의 솔직하고 신중한 응답을 유인하는 베이지안 진실 표출법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을 진행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수집된 두 집단의 설문 자료의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들은 설문에 솔직히 응답할 유인이 크지 않을 때 공직 만족도 등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인정되는 직무요인들을 실제보다 부풀려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직무요인들이 부풀려짐으로써 이직의도와의 연관성은 실제보다 과다 혹은 과소 추정되고는 했다. 셋째,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은 6급 이하의 하위 직급보다는 5급 이상의 상위 직급 공무원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무원 설문조사에서의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왜곡이 작지 않으며, 따라서 설문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연구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한국에서 공무원 이직이 사회적 화두가 되어감에 따라 이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공무원 이직의도에 대한 연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기존 연구들은 유...

      한국에서 공무원 이직이 사회적 화두가 되어감에 따라 이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공무원 이직의도에 대한 연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기존 연구들은 유사한 데이터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때로는 상충된 분석 결과를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제점이 설문 응답 자체의 왜곡, 즉 공무원 설문 참여자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응답을 하려는 편향성에 기인한 자료 자체의 문제일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공무원 표본 집단을 무작위로 배정한 뒤, 처치집단에는 응답자의 솔직하고 신중한 응답을 유인하는 베이지안 진실 표출법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을 진행하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수집된 두 집단의 설문 자료의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들은 설문에 솔직히 응답할 유인이 크지 않을 때 공직 만족도 등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인정되는 직무요인들을 실제보다 부풀려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직무요인들이 부풀려짐으로써 이직의도와의 연관성은 실제보다 과다 혹은 과소 추정되고는 했다. 셋째,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은 6급 이하의 하위 직급보다는 5급 이상의 상위 직급 공무원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무원 설문조사에서의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왜곡이 작지 않으며, 따라서 설문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연구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ransitions in employment among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emerge as a notable social concern, research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is actively underway. Nevertheless, prior studies investigating the factors relating to public officials' turnover intentions have yielded varying and conflicting results despite utilizing similar datasets. This study seeks to illustrate that such inconsistencies may arise from biases in survey responses, particularly the inclination of public officials to provide socially desirable answers. To tackle this issue, we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a sample of public officials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treatment group utilizing the Bayesian Truth Serum to promote candid and thoughtful responses, and a control group employing conventional survey methods.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survey data obtained from both groups yielded the following outcomes. At first, public officials displayed a tendency to exaggerate responses concerning job satisfaction and other socially desirable job aspects when lacking incentives for honest feedback. Secondly, the exaggeration of job-related factors resulted in either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of their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s. Lastly, the impact of social desirability was more pronounced among higher-ranking public officials (grade 5 and above) in comparison to those in lower ranks (grade 6 and be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desirability bias significantly skews public official surveys,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employing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ies to mitigate such biases in surveys.
      번역하기

      As transitions in employment among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emerge as a notable social concern, research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is actively underway. Nevertheless, prior studies investigating the factors relating to public officials' turn...

      As transitions in employment among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emerge as a notable social concern, research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is actively underway. Nevertheless, prior studies investigating the factors relating to public officials' turnover intentions have yielded varying and conflicting results despite utilizing similar datasets. This study seeks to illustrate that such inconsistencies may arise from biases in survey responses, particularly the inclination of public officials to provide socially desirable answers. To tackle this issue, we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a sample of public officials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treatment group utilizing the Bayesian Truth Serum to promote candid and thoughtful responses, and a control group employing conventional survey methods. The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survey data obtained from both groups yielded the following outcomes. At first, public officials displayed a tendency to exaggerate responses concerning job satisfaction and other socially desirable job aspects when lacking incentives for honest feedback. Secondly, the exaggeration of job-related factors resulted in either overestimation or underestimation of their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s. Lastly, the impact of social desirability was more pronounced among higher-ranking public officials (grade 5 and above) in comparison to those in lower ranks (grade 6 and be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desirability bias significantly skews public official surveys,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employing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ies to mitigate such biases in survey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