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희선, "현행 헌법에 따른 외국인의 법적 지위-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0 (30): 255-291, 2017
2 "헌재 2014.8.28., 2013헌마359"
3 "헌재 2014.4.24., 2011헌마474"
4 "헌재 2012.8.23., 2008헌마430"
5 이희정, "행정법의 관점에서 본 이민법의 쟁점" 법학연구원 (72) : 1-32, 2014
6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9
7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18
8 김연태, "행정법 사례연습" 홍문사 2012
9 공진성, "출입국관리법상 ‘보호’ 및 ‘강제퇴거’와 외국인의 기본권 보호 - 헌재 2012. 8. 23. 2008헌마430 결정에 대한 평석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221-248, 2013
10 심승우, "이주민의 증가와 국적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75-205, 2013
1 임희선, "현행 헌법에 따른 외국인의 법적 지위-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0 (30): 255-291, 2017
2 "헌재 2014.8.28., 2013헌마359"
3 "헌재 2014.4.24., 2011헌마474"
4 "헌재 2012.8.23., 2008헌마430"
5 이희정, "행정법의 관점에서 본 이민법의 쟁점" 법학연구원 (72) : 1-32, 2014
6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9
7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18
8 김연태, "행정법 사례연습" 홍문사 2012
9 공진성, "출입국관리법상 ‘보호’ 및 ‘강제퇴거’와 외국인의 기본권 보호 - 헌재 2012. 8. 23. 2008헌마430 결정에 대한 평석 -" 한국비교공법학회 14 (14): 221-248, 2013
10 심승우, "이주민의 증가와 국적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5 (35): 175-205, 2013
11 문병기,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종합진단 및 개선방안" 법무부 2015
12 김환학, "이민법체계의 형성과 문제점"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4) : 159-189, 2016
13 이철우, "이민법" 박영사 2016
14 이은혜, "외국인의 사회적 기본권 주체성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28 : 169-193, 2012
15 전상현, "외국인의 기본권— 헌법재판소 결정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43 : 579-611, 2014
16 김재선, "외국인에 관한 출입국행정의 재량행위성과 입법적 통제" 한국공법학회 45 (45): 377-405, 2016
17 최진훈, "외국인근로자 불법 체류 완화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개선 방향-E-9 외국인근로자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18 하명호, "외국인 보호 및 강제퇴거절차와 구제절차에 대한 공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52) : 167-212, 2009
19 노호창, "외국인 고용에 있어서의 몇 가지 쟁점에 관한 규범적 검토"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43) : 193-222, 2015
20 장인호, "세계화시대에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족 관련법규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8 (38): 73-95, 2014
21 도회근,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개념 재고" 한국법학원 134 (134): 429-449, 2013
22 성연옥, "미국, 캐나다, 호주의 다문화주의 비교 연구" KNU 기업경영연구소 4 (4): 23-44, 2013
23 김은주, "미국 행정법에 있어서 Chevron 판결의 현대적 의의" 한국공법학회 37 (37): 311-334, 2009
24 임형백, "미국 이민정책 연구: 시기 구분과 특징" 경인행정학회 12 (12): 273-290, 2012
25 김성배, "미국 이민법체계와 이민법제의 발전과정에서의 시사점" 한국토지공법학회 79 : 711-735, 2017
26 정혜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권을 둘러싼 연방과 주의 법적 분쟁 - 애리조나 이민단속법(S.B. 1070)에 관한 연방법우선원칙의 적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7 (47): 313-340, 2012
27 정윤경, "미국 대학 다문화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26 (26): 137-163, 2012
28 최현, "대한민국의 국적과 영주권제도-영주권전치주의 도입에 관하여-" 법무부 2008
29 최윤철, "대한민국 국적법의 현황과 문제점" 법학연구소 (17) : 3-35, 2010
30 김학태, "다문화사회에서의 법적 갈등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다문화사회에서의 인권개념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9 (39): 281-301, 2015
31 이철우, "국적제도의 개선방안: 보충적 출생지주의와 제한적 이중국적의 용인을 중심으로" 법무부 2008
32 이철우, "국적법의 세계적 동향과 한국의 현실: 시민권정책지수에 기초하여" 법과사회 2014
33 정상기, "국내체류외국인의 참정권과 법적 보호" 과학기술법연구원 24 (24): 221-261, 2018
34 성중탁, "出入國管理法上 外國人 保護命令 및 强制退去 規定의 問題點과 그 改善方案 - 헌법재판소 2016. 4. 28.자 2013헌바196 결정에 대한 평석을 겸하여 -"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2 (22): 389-427, 2017
35 "Trump v. Hawaii, 138 S. Ct. 2392"
36 "Toll v. Moreno, 441 U.S. 458"
37 Tushnet, Mark, "State Action, Social Welfare Rights, and the Judicial Role: Some Comparative Observations" 3 (3): 2002
38 "Shelley v. Kraemer, 334 U.S. 1"
39 "Sessions v. Dimaya, 584 U.S"
40 "Plyler v. Doe, 457 U.S. 202"
41 Will Kymlicka, "Multiculturalism: Success, Failure, and the Future" Transatlantic Council on Migration 2012
42 "Mathews v. Diaz, 426 U.S. 67"
43 Briggs, "Mass Immigration and the National Interest, Armonk" New York 1992
44 "Loving v. Virginia, 388 U.S. 1"
45 "Kwong Hai Chew v. Colding, 344 U.S. 590"
46 Stephen Legomsky, "Immigration and Refugee Law and Policy" Foundation Press 2015
47 Bill Ong Hing, "Immigration Law and Social Justice" Aspen Casebook 2017
48 "Graham v. Richardson, 403 U.S. 365"
49 "Goldberg v. Kelly, 397 U.S. 254"
50 "Espinoza v. Farah Mfg. Co., 414 U.S. 86"
51 James Hollifield, "Controlling Immigration: A Global Perspectiv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
52 Kathleen Sullivan, "Constitutional Law" Foundation Press 2013
53 "Brown v. Board of Education, 347 U.S. 483"
54 Kristin Turney, "Barriers to school involvement: are immigrant parents disadvantaged?" 102 : 2009
55 David Cole, "Are foreign nationals entitled to the same constitution rights as citizens?" 25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