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권도 뛰어앞차기 기술수준에 따른 지상동작의 특성비교 =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Ground Motions according to Skill Levels of Ttwieo Apchagi in Taekw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4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twieo Apchagi is one of the Chagi techniques in which a player runs, jumps and crosses the legs in the air to kick the target. It is expected that duration of flight and maximum height of COM are very crucial variances to improve precision and st...

      The Ttwieo Apchagi is one of the Chagi techniques in which a player runs, jumps and crosses the legs in the air to kick the target. It is expected that duration of flight and maximum height of COM are very crucial variances to improve precision and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S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ground motions(run up & take off) in Ttwieo Apchagi. We performed 3-d motion analysis using image analysis system of Motion Aanalysis for 16 Taekwondo playe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8 members of the national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nd 8 members of the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Our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steps : 1. We divided ground motions into run up phase and take off phase. 2. We analyzed spacio-tmeporal variances and kinematics and kinetics variances of lower extrmities in each phase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re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p Length and COM height in the take off phas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nsverse velocity, maximum transverse velocity, vertical velocity and maximum vertical velocity of COM in each phas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io/extension angle, maximum flexion/extension angle and maximum flexio/extension angular velocity of lower extremities between two groups. 4.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um flexion/extension moment of lower extrem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뛰어앞차기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달려가 한 발로 점프하여 공중에서 두 다리를 교차하며 발차기를 하는 기술이며, 정해진 목표의 정확한 타격에 필요한 기술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는 공...

      뛰어앞차기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달려가 한 발로 점프하여 공중에서 두 다리를 교차하며 발차기를 하는 기술이며, 정해진 목표의 정확한 타격에 필요한 기술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는 공중동작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체공시간 및 COM의 최대높이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격파선수들과 지도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지상동작 수행 및 훈련방법에 필요한 정량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태권도 시범단 8명과 대학태권도시범단 8명을 대상으로 Motion Analysis사의 영상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지상동작 구간을 도약과 발구름 구간으로 구분한 뒤 두 그룹간의 시․공간적 변인과 하지 관절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변인을 각 구간별로 비교․분석하였고, 그 결과 시․공간변인으로는 발구름 구간의 보폭의 크기와 COM의 높이, 수평속도 및 최대수평속도, 그리고 수직속도 및 최대수직속도에서 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또한 하지관절의 굴곡/신전 각도, 최대굴곡/신전 각도, 최대굴곡/신전 각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발구름 구간에서의 하지 관절의 굴곡/신전 모멘트에서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낙준, "포스베리 높이뛰기의 발구름 동작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 이영림, "태권도 뛰어 앞차기의 역학적 분석"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7

      3 하철수, "태권도 뛰어 앞차기의 역학적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6 (16): 725-735, 2007

      4 김용운, "최대 수직 점프시 개인내 우수 수행과 비우수 수행의 역학적 비교" 한국운동역학회 19 (19): 489-497, 2009

      5 배영상, "세계일류여자높이뛰기선수의 발구름 기술에 대한 바이오메카닉스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1 (21): 585-593, 2011

      6 김태삼, "멀리뛰기 도움닫기 최종 3스텝의 운동학적 요인이 발구름 동작과 기록에 미치는 영향" 韓國體育大學校 大學院 1999

      7 현승현, "높이뛰기의 발구름 전 3보와 공중동작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8) : 803-814, 2012

      8 현승현, "높이뛰기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발구름 동작의 상관관계 분석" 3 (3): 21-29, 2013

      9 이진택, "높이뛰기 우수선수와 일반선수의 도움닫기 경로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2 (42): 985-994, 2003

      10 이종훈, "높이뛰기 발 구름 및 공중동작의 운동학적분석" 14 (14): 79-89, 2004

      1 성낙준, "포스베리 높이뛰기의 발구름 동작에 관한 운동역학적 분석"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 이영림, "태권도 뛰어 앞차기의 역학적 분석"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7

      3 하철수, "태권도 뛰어 앞차기의 역학적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6 (16): 725-735, 2007

      4 김용운, "최대 수직 점프시 개인내 우수 수행과 비우수 수행의 역학적 비교" 한국운동역학회 19 (19): 489-497, 2009

      5 배영상, "세계일류여자높이뛰기선수의 발구름 기술에 대한 바이오메카닉스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1 (21): 585-593, 2011

      6 김태삼, "멀리뛰기 도움닫기 최종 3스텝의 운동학적 요인이 발구름 동작과 기록에 미치는 영향" 韓國體育大學校 大學院 1999

      7 현승현, "높이뛰기의 발구름 전 3보와 공중동작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8) : 803-814, 2012

      8 현승현, "높이뛰기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발구름 동작의 상관관계 분석" 3 (3): 21-29, 2013

      9 이진택, "높이뛰기 우수선수와 일반선수의 도움닫기 경로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2 (42): 985-994, 2003

      10 이종훈, "높이뛰기 발 구름 및 공중동작의 운동학적분석" 14 (14): 79-89, 2004

      11 성낙준, "높이뛰기 기술의 생체 역학적 분석(II)" 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89

      12 이진택, "남자 높이뛰기 성공과 실패시 발구름 국면의 운동학적 요인에 대한 Variability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79-90, 2007

      13 도호영, "국가대표 높이뛰기 선수들의 발구름 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 41 (41): 839-852, 2002

      14 Kenneth, D. J., "Track and Field Omnibook" Tafnews Press 1985

      15 Hackett, B., "The high jump approach" 87 (87): 33-35, 1987

      16 Hay, J. G., "The biomechanics of sports techniques" Prentice Hall 1985

      17 Cooksey, S., "Teaching Progression in the Flop" 86 (86): 36-37, 1986

      18 이진택, "Stefan Holm의 높이뛰기 발구름 동작에서의 충격력과 상지와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 21 (21): 97-105, 2011

      19 Conrad, A., "Scientific research project at the games of the XXI th Olympiad: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high jump" 177-217, 1990

      20 Bothmischel, V. E., "Model characteristics of the high jump run-up" 28 (28): 3-6, 1990

      21 Dapena, J., "Mechanics of translations in the fosbury flop" 12 (12): 37-44, 1980

      22 Antekolovic, L., "Longitudinal follow-up of kinematic parameters in the high jump-A case study" 21 (21): 27-37, 2006

      23 Milan, C., "Kinematic dynamic analysis of the takeoff action in the long jump" 137 : 4443-4445, 1997

      24 Myers, B., "Improving the penultimate step in the jumping events" 112 (112): 73-77, 1990

      25 Dapena, J., "How to design the shape of a high jump run-up" 4179-4181, 1995

      26 Muraki, Y., "Fundamentals of approach running & takeoff" 89 : 2843-2845, 1984

      27 Sloan, R.,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flop high jumper" 84 : 12-14, 1984

      28 Tellez, K., "Elements of the high jump" 125 : 387-3990, 1993

      29 Ae, 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preparatory motion for takeoff in the Fosbury Flop" 2 (2): 66-77, 1986

      30 Isolehto, J.,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high jump at the 2005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22 (22): 24-37, 2007

      31 Hay, J. G., "Approach Strategies in the Long Jump" 4 (4): 1988

      32 Jacoby, E., "A guide to the flop high jump approach" 87 (87): 39-45,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