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자동차산업의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Japan Automobiles to Indone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1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for enhanc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in the era of CEPA in Indonesi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utomobile industries 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for enhanc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in the era of CEPA in Indonesi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utomobile industries in Indonesi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RCA), Comparative Advantage by Country (CAC), and Export Similarity Index (ESI).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Korea is in a comparative heat state compared to Japan in the main export items such as passenger cars (8703), freight cars (8704), automobile chassis (8706), automobile parts/arrangements (8708), and motorcycles (8711). Japan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finished car sector of automobiles, vans, freight cars and motorcycles, as well as in the parts/equipment sectors that support the assembly production of overseas production bases. In particular, Korea has generally inferior competitiveness of most items in the Indonesian market, but in contrast, Japan has far superior competitiveness in the Indonesian market than the global market in most items. Meanwhile, the group with the most intense export competition in the Indonesian market in 2019 was the Japan-India group for HS87 items, and the German-Japanese group for HS8703 items. In the Indonesian automobile market, the so-called “four-party competition” has been formed between Japan, the UK, India and Germany, while relatively low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formed. Therefore,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shoul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exports to Indonesia with the entry into force of Korea-Indonesia CEPA, and learn thoroughly about the past experience of Hyundai Motor's failure to advance into Indonesia and the success factors of Japanese automobiles in Indonesia, and actively seek ways to advance into the local market, such as establishing a joint venture for local production of eco-friendly electric vehicles and developing a local specialization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시장에서 현시되고 있는 한‧일 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으로 전개될 한-인도네시아 CEPA시대의 한국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시장에서 현시되고 있는 한‧일 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으로 전개될 한-인도네시아 CEPA시대의 한국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제점을 사전 점검해 보는 데 소기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서는 현시비교우위(RCA), 국별 비교우위(CAC), 수출경합도(ESI) 분석이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한국은 주력수출품목인 승용자동차(8703), 화물자동차(8704), 자동차 섀시(8706), 자동차 부품/부속품(8708), 모터사이클(8711) 부문에서 일본에 비교열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승용차, 승합차, 화물자동차, 모터사이클과 같은 완성차 부문과 해외생산기지의 조립생산을 뒷받침하는 부품/부속품 부문에서 절대적 비교우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한국은 인도네시아시장에서 대다수 품목군의 경쟁력이 대체로 열세이지만, 그와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는 대다수 품목군에서 글로벌시장보다 인도네시아시장에서의 비교우위경쟁력이 월등히 앞서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9년 인도네시아시장에서 수출경합이 가장 치열한 그룹은 HS87류의 경우 ‘일본-인도’ 그룹이었으며, HS8703호는 ‘독일-일본’ 그룹이었다.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에서는 일본, 영국, 인도, 독일 간의 4자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있는 가운데, 한·일 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합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의 자동차업계는 한-인도네시아 CEPA 발효를 계기로 대(對)인도네시아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는 한편, 과거 현대자동차의 인도네시아 진출 실패경험과 일본자동차의 인도네시아 성공요인을 철저히 학습하여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현지생산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현지특화모델 개발 등 실현가능한 현지진출방안들을 적극 모색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기, "한중일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29-149, 2011

      2 장민수, "한중일 국가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질서경제학회 16 (16): 197-217, 2013

      3 정홍령, "한국과 중국 자동차산업 국제 경쟁력 비교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4 (14): 83-107, 2016

      4 장민수,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산업 경쟁력 분석: TSI와 RCA지수를 중심으로" 한독경상학회 26 (26): 109-131, 2008

      5 강대창, "한국·인도네시아 중장기 경제협력 방안 연구: 지역개발과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6 김태헌, "한국 자동차의 대중국 수출경쟁력에 관한 연구 - RCA, CAC, ESI 지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3 (13): 583-611, 2009

      7 정진섭, "한국 자동차산업의 신흥시장 진출전략" 한국연구재단 2014

      8 김태헌, "한국 자동차산업의 대독일 수출경쟁력 분석" 한독경상학회 38 (38): 1-25, 2020

      9 정태영, "한국 자동차 부품산업의 대 일본 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11 (11): 229-256, 2006

      10 신현수, "한·중 수출경합관계 및 경쟁력 비교 분석" 2019-6 (2019-6): 1-12, 2019

      1 김태기, "한중일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29-149, 2011

      2 장민수, "한중일 국가간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분석" 한국질서경제학회 16 (16): 197-217, 2013

      3 정홍령, "한국과 중국 자동차산업 국제 경쟁력 비교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4 (14): 83-107, 2016

      4 장민수,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산업 경쟁력 분석: TSI와 RCA지수를 중심으로" 한독경상학회 26 (26): 109-131, 2008

      5 강대창, "한국·인도네시아 중장기 경제협력 방안 연구: 지역개발과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6 김태헌, "한국 자동차의 대중국 수출경쟁력에 관한 연구 - RCA, CAC, ESI 지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3 (13): 583-611, 2009

      7 정진섭, "한국 자동차산업의 신흥시장 진출전략" 한국연구재단 2014

      8 김태헌, "한국 자동차산업의 대독일 수출경쟁력 분석" 한독경상학회 38 (38): 1-25, 2020

      9 정태영, "한국 자동차 부품산업의 대 일본 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국제통상학회 11 (11): 229-256, 2006

      10 신현수, "한·중 수출경합관계 및 경쟁력 비교 분석" 2019-6 (2019-6): 1-12, 2019

      11 산업통상자원부, "한-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체결에 따른 무역구제제도 정비"

      12 산업통상자원부,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CEPA) 정식 서명"

      13 최부식, "중(中) 자동차 메이커 인도네시아 진출 일(日) 독점 재편되나" (124) : 42-, 2017

      14 이철,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제경쟁력 요인과 수출성과와의 관계" 한국무역학회 33 (33): 47-72, 2008

      15 이태왕, "일본 자동차시장에서 현대자동차의 경쟁력에 관한 연구" 10 (10): 151-169, 2009

      16 김태헌, "일본 자동차산업의 대독일 수출경쟁력" 한국아시아학회 23 (23): 273-302, 2020

      17 이경석, "인도네시아, 자동차산업 불황 속 눈에 띄는 일본의 베팅"

      18 박번순, "인도네시아 한,인도네시아 CEPA: CEPA로 다가온 자원부국 자동차, 철강 등 큰 시장 열리다" (87) : 56-57, 2013

      19 심상형, "인도네시아 일본 기업 투자 열풍 자동차 시장 90% 싹쓸이 조립생산방식 비판도" (93) : 49-49, 2014

      20 김성철,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수출경쟁력과 산업내 무역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1241-1259, 2009

      21 라공우, "미국시장에 대한 한・중 자동차부품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18 (18): 257-275, 2017

      22 박창수, "대구광역시의 섬유기계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0 (10): 25-47, 2007

      23 김지용, "국산 자동차 부품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미국시장 수출 집중도 및 경쟁력을 중심으로 -" 한국통상정보학회 7 (7): 351-365, 2005

      24 Balassa, B.,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33 : 99-123, 1965

      25 Lee, D. O.,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 Challenges and Strategies in the Global Market" 4 (4): 85-96, 1996

      26 Juri Kim, "The Effect of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Automobile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German Consumers" Korean-German Academy of Economics and Management 36 (36): 49-71, 2018

      27 최수민, "JFE스틸(JFEスチール), 인도네시아 최초 자동차강판공장 통해 현지조달률 강화"

      28 Tan, C., "Indonesia - the hottest market in Emerging Asia"

      29 Park, M., "Effects of FTA Provisions on the Market Structure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45 (45): 39-58, 2014

      30 Lee, D., "Economic effects of trade patterns on productivity:Evidence from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21 (21): 71-84, 2009

      31 Yozi, I., "Computer networks and interfirm relationship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 comparative study of Japan and Korea" 33 (33): 635-638, 1997

      32 배일현, "A Study on Automobile Industry in Indonesia: Focus on Implications to Korean Logistics Companies" 한국물류학회 26 (26): 101-108, 2016

      33 Lee, S. M., "A Comparative Study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Japan and Korea: From Visible to Invisible Barriers" 51 (51): 876-898, 2011

      34 신성식,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hina Auto Parts Industry: Tariff Concessions in Korea and China FTA" Korea International Trade Research Institute 11 (11): 155-17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3 1.09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