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영어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분석 =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lesson closure in elementary Englis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8637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교육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5.474 판사항(6)

      • DDC

        372.652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 148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경자
        권말부록: 교사용 설문지 등
        참고문헌: p. 120-12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importance of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Unlike the other subjects lik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nglish department doesn't have a study on closing stage of English lesson. And most of the studies have investigated on many activities about introduction and presentation stage, especially ‘PPP' stage. So,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both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on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This study was also aimed to investigate on which activities are preferred by the learners and how they perceived the effects of closing stage. These will provide effective method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apply to their future planning for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This study researched the followings: First,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lesso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and second, effects and preference of closing stage activities for learne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give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ix-grade students to conduc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losing stage in lesson, they neglected to plan and proceed due to limited time, lack of references and their will. So closing stage was not a part of the lesson plan anymore. Many teachers, specifically, mentioned that because most of time the last activity was incomplete at the end of the class, they usually didn't have time to wrap up the lesson. Meanwhile,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need time to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 of the lesson. Students, Especially, low-level students and those who didn't pay attention to the lesson realized that lesson closure is very worthwhile in that they can review the key expressions they missed out.
      Second,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the lesson closure as a chance to check the key expressions related to the lesson again and the achievement. So, in the closing stage, a regular activity like a main activity is irrelevant in that it causes the difficulty for the learners. Checking the content of the lesson and the achievement, and let the learners know those are desirable. Also, the students need opportunity to practice the key expressions on the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text to apply them in the real world.
      Third, most teachers orally wrapped up and summarized the lesson only using the speaking function.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way of the lesson closure has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functions. But, they didn't carry out for many reas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ferences for the lesson closing activity, teachers quickly lose their will to develop lesson closing activities and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those.
      La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uggest to have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deficits and to learn the new concept or grammar,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is necessary. And considering recommendations from TEE, it also needs to be applied in lesson closing stage. Students responded that when teachers summarized the key expressions in Korean, they could comple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lesson and had a long memor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should conduct the lesson closure. Not only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lesson closing stage, but also students realized the effect of that. Second, lesson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should be a review in repeated practice of the key expressions rather than extension of the contents. Third, there need to b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lesson closing stage and develope activities. Fourth, subsequent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the effective ways for the lesson closing in Korean. Fifth,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ve whether or not the existence of lesson closing can actually refl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hievement.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states the importance and the worth of the lesson closure, not being reported before. Most of studies on elementary English wa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stage. So,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help developing lesson closure in elementary English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importance of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Unlike the other subjects lik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nglish department doesn't have a study on closing stage of Eng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importance of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Unlike the other subjects lik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nglish department doesn't have a study on closing stage of English lesson. And most of the studies have investigated on many activities about introduction and presentation stage, especially ‘PPP' stage. So,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both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on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This study was also aimed to investigate on which activities are preferred by the learners and how they perceived the effects of closing stage. These will provide effective method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apply to their future planning for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This study researched the followings: First,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lesso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and second, effects and preference of closing stage activities for learne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give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ix-grade students to conduc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losing stage in lesson, they neglected to plan and proceed due to limited time, lack of references and their will. So closing stage was not a part of the lesson plan anymore. Many teachers, specifically, mentioned that because most of time the last activity was incomplete at the end of the class, they usually didn't have time to wrap up the lesson. Meanwhile,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need time to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 of the lesson. Students, Especially, low-level students and those who didn't pay attention to the lesson realized that lesson closure is very worthwhile in that they can review the key expressions they missed out.
      Second,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the lesson closure as a chance to check the key expressions related to the lesson again and the achievement. So, in the closing stage, a regular activity like a main activity is irrelevant in that it causes the difficulty for the learners. Checking the content of the lesson and the achievement, and let the learners know those are desirable. Also, the students need opportunity to practice the key expressions on the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text to apply them in the real world.
      Third, most teachers orally wrapped up and summarized the lesson only using the speaking function.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way of the lesson closure has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functions. But, they didn't carry out for many reas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ferences for the lesson closing activity, teachers quickly lose their will to develop lesson closing activities and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those.
      La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uggest to have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deficits and to learn the new concept or grammar,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is necessary. And considering recommendations from TEE, it also needs to be applied in lesson closing stage. Students responded that when teachers summarized the key expressions in Korean, they could comple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lesson and had a long memor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should conduct the lesson closure. Not only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lesson closing stage, but also students realized the effect of that. Second, lesson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should be a review in repeated practice of the key expressions rather than extension of the contents. Third, there need to b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lesson closing stage and develope activities. Fourth, subsequent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the effective ways for the lesson closing in Korean. Fifth,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ve whether or not the existence of lesson closing can actually refl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hievement.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states the importance and the worth of the lesson closure, not being reported before. Most of studies on elementary English wa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stage. So,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help developing lesson closure in elementary English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 단계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다른 교과와 달리 영어과에서는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밝히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입 및 제시 단계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정리에 대한 초등 영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어떠한 정리방법을 선호하고 그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수업 정리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 정리의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수업 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수업 정리의 효과 및 학생들의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와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계획 및 실행을 하는데 소홀히 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인식이 직접적인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은 정리 시간 마련의 어려움, 참고 자료 부족, 교사의 노력 및 의지 부족, 수업 정리에 대한 소홀한 계획에 따른 행동 부재 등이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많은 교사들이 마지막 활동이 수업이 끝나기 직전까지 진행되어, 정리하지 못한 채 수업을 끝내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모든 수준의 학생 대부분이 수업이 끝나기 전 본시에 학습했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수준이 낮은 학습자나 여러 이유로 본 수업에서 집중하지 못하여 수업의 흐름을 놓친 학생들은 다시 한 번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리 시간이 매우 값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정리의 의미와 목적은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와 관련한 중요한 표현들을 다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성취도를 점검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 영어 수업에서는 정리 활동이 또 다른 활동의 시작이 아닌, 본시에서 다루었던 목표 구문을 점검하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목표 구문을 실생활에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 단계에서 상황과 맥락에 따라 표현들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가 음성 언어, 특히 말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수업을 정리하고 있었다. 설문과 면담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차시별로 수업 정리 방법을 다르게 해야 한다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 영어에서 정리 활동으로써 개발된 것이 현저히 부족하고, 이에 따라 교사들이 기능에 맞는 정리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가 부족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가 참고할 수 있도록 기능 별로 정리로써 유용하게 교수·학습 될 수 있는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며, 똑같은 활동이라도 기능 별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정리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결과는 한국어 수업 정리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학습 결손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고 새로운 개념이나 문법 등은 한국어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TEE에서의 권고사항은 정리 단계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이유들이 정리 단계에서의 한국어 사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생들도 활동 시 어렵고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을 보충할 수 있고 교사가 중요한 표현들을 한국어로 정리해주니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했으며, 애매하게 짚고 넘겼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는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 많은 교사들과 학생들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 및 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는 내용의 심화·확장 보다는 기본적인 내용의 반복 및 연습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다양한 정리 활동과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에 대한 교수 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한국어 사용을 통한 효과적인 수업 정리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영어 수업 정리의 유무가 실제로 학생들의 성적 향상을 반영할 수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증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동안 영어과에서 다루지 못했던 수업 정리 단계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동안의 연구를 돌이켜봤을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도입 및 전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것을 연구 주제로 한 것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수업 정리 발전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 단계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다른 교과와 달리 영어과에서는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 단계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다른 교과와 달리 영어과에서는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밝히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입 및 제시 단계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정리에 대한 초등 영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어떠한 정리방법을 선호하고 그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수업 정리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 정리의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수업 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수업 정리의 효과 및 학생들의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와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계획 및 실행을 하는데 소홀히 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인식이 직접적인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은 정리 시간 마련의 어려움, 참고 자료 부족, 교사의 노력 및 의지 부족, 수업 정리에 대한 소홀한 계획에 따른 행동 부재 등이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많은 교사들이 마지막 활동이 수업이 끝나기 직전까지 진행되어, 정리하지 못한 채 수업을 끝내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모든 수준의 학생 대부분이 수업이 끝나기 전 본시에 학습했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수준이 낮은 학습자나 여러 이유로 본 수업에서 집중하지 못하여 수업의 흐름을 놓친 학생들은 다시 한 번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리 시간이 매우 값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정리의 의미와 목적은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와 관련한 중요한 표현들을 다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성취도를 점검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 영어 수업에서는 정리 활동이 또 다른 활동의 시작이 아닌, 본시에서 다루었던 목표 구문을 점검하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목표 구문을 실생활에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 단계에서 상황과 맥락에 따라 표현들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가 음성 언어, 특히 말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수업을 정리하고 있었다. 설문과 면담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차시별로 수업 정리 방법을 다르게 해야 한다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 영어에서 정리 활동으로써 개발된 것이 현저히 부족하고, 이에 따라 교사들이 기능에 맞는 정리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가 부족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가 참고할 수 있도록 기능 별로 정리로써 유용하게 교수·학습 될 수 있는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며, 똑같은 활동이라도 기능 별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정리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결과는 한국어 수업 정리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학습 결손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고 새로운 개념이나 문법 등은 한국어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TEE에서의 권고사항은 정리 단계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이유들이 정리 단계에서의 한국어 사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생들도 활동 시 어렵고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을 보충할 수 있고 교사가 중요한 표현들을 한국어로 정리해주니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했으며, 애매하게 짚고 넘겼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는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 많은 교사들과 학생들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 및 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는 내용의 심화·확장 보다는 기본적인 내용의 반복 및 연습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다양한 정리 활동과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에 대한 교수 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한국어 사용을 통한 효과적인 수업 정리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영어 수업 정리의 유무가 실제로 학생들의 성적 향상을 반영할 수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증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동안 영어과에서 다루지 못했던 수업 정리 단계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동안의 연구를 돌이켜봤을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도입 및 전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것을 연구 주제로 한 것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수업 정리 발전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 문제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5
      • 1. 정교화 이론에 근거한 정리 학습 5
      • 1) 정교화 이론에 근거한 정리 학습 5
      • 2)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6
      • 2. 일반적인 수업에서의 정리 단계 6
      • 1) 수업 정리의 의미 및 이해 6
      • 2) 수업 정리의 중요성 8
      • 3) 일반적인 수업에서의 정리 단계의 특징 9
      • 3. 초등 영어 수업의 특징 10
      • 1) 초등 영어 수업의 단계 10
      • 2) 초등 영어 지도서에 제시된 수업 정리 13
      • 3) 차시별 수업 정리 방법의 패턴 17
      • Ⅲ. 연구 방법 22
      • 1. 연구 대상 22
      • 1) 설문조사 참여자 22
      • 2) 심층 면담 참여자 24
      • 2. 연구 기간 및 절차 26
      • 3. 연구 도구 27
      • 1) 초등 영어교사 및 초등학생 대상 설문지 27
      • 2) 초등 영어교사 및 초등학생 대상 심층 면담 29
      • 3) 수업 절차 및 정리 방법 31
      • 4. 자료 분석 및 처리 방법 34
      • 1) 설문지 결과 분석 34
      • 2) 심층 면담 결과 분석 35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6
      • 1. 초등 영어 수업 정리의 실태 36
      • 1) 수업 정리 계획 36
      • 2) 수업 정리 실행 41
      • 3) 수업 정리 시간 47
      • 4) 수업 정리 방법 51
      • 2. 초등 영어 수업 정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54
      • 1) 영어 수업 정리 단계의 의미와 목적 54
      • 2) 정리 단계에서의 타 교과와의 다른 점 57
      • 3) 수업 정리의 중요성 63
      • 4) 영어 수업 정리의 방법 67
      • 5) 정리 단계에서의 주체 81
      • 6) 한국어 수업 정리의 필요성 85
      • 7) 정리 단계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운 점 90
      • 3. 초등 영어 수업 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94
      • 1) 영어 수업 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94
      • 2) 수업 정리 활동의 효과 및 학생들의 선호도 103
      • Ⅴ. 결론 및 제언 115
      • 참고 문헌 120
      • ABSTRACT 124
      • 부록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