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토지이용계획상 다른 용도로 전용하기 어려운 폐교시설을, 같은 교육시설인 대안학교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대안학교의 시설적 특성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688213
서울 : 서울市立大學校, 2004
학위논문(석사) -- 서울市立大學校 大學院 , 建築工學科 , 2005
2004
한국어
특성화학교 ; 대안학교 ; 학교건물 ; 학교건축 ; alternative school ; closed school facilities
549.37 판사항(4)
서울
vii,87p. : 삽도 ; 26cm.
지도교수: 이선영(李善英)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토지이용계획상 다른 용도로 전용하기 어려운 폐교시설을, 같은 교육시설인 대안학교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대안학교의 시설적 특성과 ...
본 논문은 토지이용계획상 다른 용도로 전용하기 어려운 폐교시설을, 같은 교육시설인 대안학교로의 전환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대안학교의 시설적 특성과 소요되는 공간을 조사하였다. 또한 실제 폐교부지를 선정한 후 부지에 맞는 설계안을 작성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조사과정에서 시설적 특성을 규정하기 어려운 비인가 실험형 대안교육기관을 제외하였으며, 시설 기준이 정립된 대안교육 특성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주로 기독교 재단에서 만든 tower형, 폐교를 활용하여 여기에 기숙사, 특수교실등을 증축한 폐교활용 일반학교형, 전형적인 고등학교 계획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신축·일반학교형, 위의 유형에 적용되지 않는 기타 유형 이상 4가지 유형으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특히 폐교를 활용한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의 경우 폐교 재활용을 통해 지역자치단체와 교육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었으며, 지역 주민들 또한 마을의 공공 재산이었던 학교를 되찾게 된다는 점에서 반기고 있어, 여러 가지 점에서 다른 대안학교의 모범이 될만한 운용의 묘를 살리고 있었다.
실제 계획안 작성에 있어서는 경기도내에 소재한 미활용 폐교 중 교육시설로의 재활용 가능성이 높은, 안성시 공도읍 불당리에 소재한 공제초등학교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6.4×7.2m 교실모듈을 적용, 교실 당 학생수가 20명 정도인 대안학교의 형편에 맞도록 배려하였으며, 기존 폐교의 7.2×9m 모듈은 행정·관리실로 활용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소요시설 규모는 중·고등학교 통합형 학교로 가정, 각 학년 2학급씩 전체 12학급을 기준으로 Nelson의 공식을 이용율을 통해 보정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이는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교실형과 기존
의 보통교실+특별교실형의 운영 모두가 가능한 방식이다.
또한 대안학교가 지향하는 ‘작은 학교’, ‘연립주택과 같은 교실구성’이라는 설계 개념에 맞도록 중복도와 홈베이스를 중심으로 2~3개의 관련 교과교실과 학습자료실, 교사연구실, 화장실을 하나의 유닛으로 한 단위블럭을 계획하였으며, 단계별 증축계획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존 폐교시설을 중심으로 단위블럭들을 그 주변에 배치한 분동형으로 설계하였다.
특성화 중·고등학교의 설립기준에 따라 소요되는 공간을 산정한 후 이에 충실하게 따른 본 연구의 설계는 몇가지 특성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학교와 차별화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불가피하게도 많은 제약을 안고 있는 바 2004년 9월의 초·중등 교육법의 개정법령안의 입법예고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학력이 인정되는 대안학교의 시설기준이 대폭 완화되면 학력이 인정되는 대안학교라 할지라도 설계의 자유도가 상당히 커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공간구성을 갖춘 도심형 대안학교들도 많이 세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내실있는 대안학교가 설립되려면 무엇보다도 교육 프로그램과 연동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공교육과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 설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현재 진행 중인 철골조 학교외에도 저층형 학교일 경우 목구조도 적용가능하므로, 재료 고유의 특성을 활용하여 지역정서에 맞는 학교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듯 대안학교는 작은 학교를 지향하는 그 시설적 특성상 기존의 학교에 비해 더 나은 교육환경을 위해 실험할 수 있는 여지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