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유명한 양금 연주자 겸 작곡가인 허학동(許學東)의 양금곡(洋琴曲)인 〈요산야화〉(瑤山夜畫)의 작품을 음악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 양금 창작곡의 대표...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유명한 양금 연주자 겸 작곡가인 허학동(許學東)의 양금곡(洋琴曲)인 〈요산야화〉(瑤山夜畫)의 작품을 음악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 중국 양금 창작곡의 대표 작곡가인 허학동은 중국의 민족 정서와 서양의 음악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창작곡을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허학동의 작품 중 〈요산야화〉는 중국 양금곡 중 가장 높은 연주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특히 중국의 소수민족인 요족의 음악과 문화를 양금의 다양한 기법 등으로 창작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허학동의 생애와 작품을 살펴보았으며, 허학동이 양금을 시작하게 된 계기와 양금 연주가 겸 작곡가로 활동한 시기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요산야화〉를 작곡하기 이전의 〈인난서회〉(引滦抒怀), 〈초원수상곡〉(草原随想曲), 〈황하〉(黄河), 〈청년서사곡〉(青年叙事曲), 〈추, 몽, 우〉(秋, 夢, 藕), 〈쇼팽을 위한 b단조 환상곡〉(b小調幻想曲 - 献给肖邦), 〈비정구가〉(悲情九歌) 등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가 민족 소재의 작품을 많이 발표하고 새로운 양금기법을 도입하여 중국 양금곡을 대표하는 연주자 겸 작곡가임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요산야화〉의 작품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였다. 음악 단락은 선율, 종지선율 악조, 악곡 구분, 표재 등으로 삼아서 구분한 후 선율 진행 특징과 각 단락에서 등장하는 연주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요산야화〉는 ‘정야’(静掖), ‘정가’(憧歌), ‘화무’(火舞), ‘환경’(幻境) 등 4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주로 여러 반음계 잇단음표 상하행의 선율로 진행되고, 또한 한 손으로 트레몰로를 하여,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치는 주법, 활전 주법 등이 나타난다. 2장은 선율 진행, 음악 형식에 따라 A, A1, B, B1, B2, A2 단락으로 나뉘었으며, 손가락 튕기기(피치카토) 주법, 오른손 도약 치기와 동시에 왼손 트레몰로 주법, 양손의 2대 3 주법, 그리고 반죽(채 머리의 나무 면으로 현을 치기) 주법 등이 나타난다. 3장은 선율 특징, 악보의 외부 형식에 따라 Intro, A3, A4, 경과(transition), A5, B3, A6, A7, B4, 삽입부 등으로 나뉘며, 곡 전체 중 가장 다양한 선율 및 리듬과 연주기법이 등장하는 부분이다. 4장은 전곡의 종결부로, 선율에 따라 A8, A9 단락으로 나뉘고, 1. 2. 3장보다 조용한 선율로 대조를 이루며, 발현(채 손잡이 끝으로 현을 당기기) 주법과 반죽 주법들을 사용하며, 이 주법과 연주 분위기는 전곡의 종결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요산야화〉를 포함하여 허학동이 작곡한 8곡을 악곡 소재, 악장, 선율 특징, 연주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허학동의 작품에서 사용된 연주기법, 선율 특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었다. 즉, 단조보다 장조를 사용한 작품이 많고, 다른 양금곡에서 사용하지 않은 조성을 사용하여 음악적인 색채를 다양하게 만들고, 풍부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그의 작품 중 〈쇼팽을 위한 b단조 환상곡〉과 〈비정구가〉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국과 몽골 민족적 정서와 요족 등의 소수민족의 문화와 생활을 음악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작품인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