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생식물의 국내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 활용 실태 분석 = Analyze the Status of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nd Uses of Floral Dec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n flower market and uses of native plants in floral decor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native plants sold in flower market(2017.01-2017.12) and their monthly sal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native plants, frequency of native plants classified by form and color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in flower magazines ‘Fleur’ and ‘The Flower’. Among 172 species distributed cut-flower,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re only 24 species(14.0%). Number of filler flower(15 species) is more than other forms. Native plants used in ‘Fleur’ and ‘The Flower’ were 14 species(10.2%) and 17 species(9.6%), it is meaning that native plants were less used than foreign plants. The number of filler flower was the highest in both magazines, but form flower(299 works) in 'Fleur' and mass flower(571 works) in 'The Flower' are used most frequently.
      According to color analysis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P(purple), PB(navy) and RP(reddish purple) were 57% of the total. It can be increased native plants uses in flower decoration with developing form and mass flower considering color preferenc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n flower market and uses of native plants in floral decor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native plants sold in flower market(2017.01-2017.12) and their monthly sales. Also,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n flower market and uses of native plants in floral decor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native plants sold in flower market(2017.01-2017.12) and their monthly sal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native plants, frequency of native plants classified by form and color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in flower magazines ‘Fleur’ and ‘The Flower’. Among 172 species distributed cut-flower,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re only 24 species(14.0%). Number of filler flower(15 species) is more than other forms. Native plants used in ‘Fleur’ and ‘The Flower’ were 14 species(10.2%) and 17 species(9.6%), it is meaning that native plants were less used than foreign plants. The number of filler flower was the highest in both magazines, but form flower(299 works) in 'Fleur' and mass flower(571 works) in 'The Flower' are used most frequently.
      According to color analysis of native plants used for floral decoration, P(purple), PB(navy) and RP(reddish purple) were 57% of the total. It can be increased native plants uses in flower decoration with developing form and mass flower considering color prefer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 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 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혜숙, "회의공간내 절화장식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효과" 인간식물환경학회 19 (19): 199-207, 2016

      2 조근호, "한국 꽃예술작품의 자생식물 이용에 관한 연구" 7 (7): 1998

      3 장옥경,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 색채학" 이담북스 2015

      4 한국화훼장식학회,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 장식학" 부민문화사 2013

      5 홍종원, "절화 화색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학회 13 (13): 336-340, 2005

      6 강병화, "우리 주변식물 생태도감" 한국학술정보 2013

      7 송유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자생초본식물 현황과 개선방안" 인간식물환경학회 18 (18): 289-297, 2015

      8 최우경, "야생화 재배 실태 조사를 통한 야생화 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9 문유진, "브랜드 플라워샵 상품 중 핸드타이드와 어렌지먼트의 디자인과 색채 분석 비교" 한국화예디자인학회 37 (37): 137-155, 2017

      10 송정섭, "농업기술정보총모음" 원예연구소 1998

      1 장혜숙, "회의공간내 절화장식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효과" 인간식물환경학회 19 (19): 199-207, 2016

      2 조근호, "한국 꽃예술작품의 자생식물 이용에 관한 연구" 7 (7): 1998

      3 장옥경,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장식 색채학" 이담북스 2015

      4 한국화훼장식학회, "플로리스트를 위한 화훼 장식학" 부민문화사 2013

      5 홍종원, "절화 화색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화훼학회 13 (13): 336-340, 2005

      6 강병화, "우리 주변식물 생태도감" 한국학술정보 2013

      7 송유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자생초본식물 현황과 개선방안" 인간식물환경학회 18 (18): 289-297, 2015

      8 최우경, "야생화 재배 실태 조사를 통한 야생화 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9 문유진, "브랜드 플라워샵 상품 중 핸드타이드와 어렌지먼트의 디자인과 색채 분석 비교" 한국화예디자인학회 37 (37): 137-155, 2017

      10 송정섭, "농업기술정보총모음" 원예연구소 1998

      11 유은하, "꽃바구니 상품 활용을 위한 자생식물 자원의 장식소재로서의 특성" 2010

      12 장현희, "근로여성의 꽃장식에 사용되는 절화의 형태별 선호도 조사" 인간식물환경학회 19 (19): 217-221, 2016

      13 이지민, "국내 백화점 로비 화훼장식의 계절별 색채분석" 한국화예디자인학회 37 (37): 83-98, 2017

      14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

      15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16 더플라워 편집부, "The Flower vol. 125-136"

      17 박진두, "I AM A FLORIST(CUT FLOWER)" SAY 2017

      18 유니프 편집부, "Fleur vol. 219-2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