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화예디자인과 색채의 융복합 교육 강의모델 연구 및 개발제안 = Suggestion of Study and Development of Model of Convergent Education Lecture Model of Floral Design and Col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onvergence art education which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olor, which is a field of science, the lecture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operate a fusion curriculum which can be practically expressed by applying it to the artistic field of floral design.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two lectures (floral design, color) and the way of conducting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they felt that was able to access various areas through on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learners themselves perceiv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level between the majors and the non - majors is different. therefore Continuous feedback and adjustment of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training seems to b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the floral desig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 model should be built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scien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artistic design educa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convergence art education which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olor, which is a field of science, the lecture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operate a fusion curriculum which can be practically expressed by applying it to the...

      In this study, convergence art education which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color, which is a field of science, the lecture model was constructed in order to operate a fusion curriculum which can be practically expressed by applying it to the artistic field of floral design.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two lectures (floral design, color) and the way of conducting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they felt that was able to access various areas through one subject. This indicates that learners themselves perceiv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level between the majors and the non - majors is different. therefore Continuous feedback and adjustment of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training seems to b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the floral desig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 model should be built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scien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the artistic design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융합 및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융복합교육 강의모델을 연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학 분야인 색채에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인 화예디자인에 접목시켜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융복합 교과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강의모델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두 분야(화예디자인, 색채)가 융복합된 강의 구성과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을 접할 수 있음에 타 수업과차별된 강의 구성이라고 느꼈는데 이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배경지식, 수준차이가 있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피드백과 실습난이도의 조정은 계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화예디자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학문간의 융합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화예디자인교육과정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융합 및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융복합교육 강의모델을 연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학 분야인 색채에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인 화...

      본 연구에서는 융합 및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융복합교육 강의모델을 연구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학 분야인 색채에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예술 분야인 화예디자인에 접목시켜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융복합 교과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강의모델을 구성하였다. 학습자는 두 분야(화예디자인, 색채)가 융복합된 강의 구성과 이론과 실습을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을 접할 수 있음에 타 수업과차별된 강의 구성이라고 느꼈는데 이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배경지식, 수준차이가 있어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피드백과 실습난이도의 조정은 계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화예디자인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학문간의 융합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모델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향후 화예디자인교육과정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옥,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타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2 김소연, "현대화예조형의 장르적 퓨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16) : 7-28, 2007

      3 김선례, "현대미술이 화예디자인 양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4 류경화, "현대 화훼디자인에 나타나는 Fusion 경향에 관한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5 송영숙, "현대 화예디자인의 재료 사용 경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0

      6 최혜진, "창의·융합을 위한 대학의 체험교육 방법 연구-교양교육과정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39-70, 2016

      7 나미영, "융합형 화훼디자인 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8 김송이, "융합예술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9 안호영, "융복합 교육으로서의 과학 교양교육-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7 (37): 61-92, 2015

      10 이지선, "예술중심 융합교육을 위한 연구와 ASSEM Model 제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11 유보미, "색채를 활용한 미술·과학교과의 연계학습 프로그램 개발 : 중학교 미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김창순, "디지털 시대의 색채과학" 2001

      13 김희배, "대학에서의 융복합교육모델 탐색" 2 : 2015

      14 박일우,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49-378, 2016

      15 김지현, "대학 우등교양교육 프로그램(general education honors program)의 특징과 의의"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9-122, 2012

      16 이현민, "대학 교양미술 수업을 위한 융복합수업 설계 모형 개발: 4ONs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17 유병규, "네 교사의 융복합교육 실행 경험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39-371, 2014

      18 김혜영,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의 현황 분석- 수도권 대규모 대학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73-411, 2017

      19 김혜나, "교양교육과정의 학제성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20 박완성,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29-44, 2010

      21 권성호,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 2 (2): 2008

      22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의 학습원칙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419-448, 2011

      23 방식, "Dieter Holzschuh의 Farbenlehre f r Floristern" 유니프 2002

      24 장옥경, "(화훼장식가를 위한) 화훼장식 색채학 = Floral color" 도서출판 국제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