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모의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유치원 현장전문가 연계를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entered on Connection with Kindergarten Field Expe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1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전문가와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모의 수업을 개선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실행연구자는 H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5명, 유치원 현장전문가 3명...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전문가와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모의 수업을 개선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실행연구자는 H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45명, 유치원 현장전문가 3명과 함께 모의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유치원 현장전문가와의 협의회, 예비유아교사의 1, 2차 모의 수업 동영상, 1, 2차 모의 수업계획안과 교구, 모의 수업 개선 성찰지, 연구자의 연구 노트 등을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전문가와 연계하여 모의 수업을 개선한 실행 과정은 세 단계이다. 첫째, 계획 단계로 기존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과 수정, 그리고 현장전문가와의 수업 개선에 대한 기초 협의가 이루어졌다. 둘째, 실행 단계로 1차 모의 수업 준비, 실행 및 녹화, 1차 모의 수업에 대한 동료 예비교사 및 대학교수의 평가 협의를 실행하였다. 셋째, 재실행 단계로 우선 현장전문가와 1차 모의 수업 실행과 평가를 토대로 2차 모의 수업 협의 및 준비를 하였다. 이 후, 현장전문가의 대학 방문지도를 통한 수업 개선인 2차 모의 수업 실행 및 재반성 과정을 진행하였다. 현장전문가와 연계하여 실행한 수업 개선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현재 유치원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히 인지하게 되었다. 학습자인 유아의 실제 수준 정도와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방향으로의 수업 개선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모든 과정은 실행연구자를 포함하여 현장전문가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의 기회가 되었다. 실행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토대로 현장전문가와 현장 연계형 모의 수업 개선에 관한 기초와 계획, 연계성, 발전 가능성 등을 가늠하였으며 질 높은 예비유아교사교육 전문가로 재성장을 모색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ction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improving the simulated instruction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nection with kindergarten field experts. The subjects of the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s were...

      This action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improving the simulated instruction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nection with kindergarten field experts. The subjects of the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s were 45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ee kindergarten field experts who provided supervision. To meet the objectives, the action researchers collected various data to conduct an inductive analysis. These data included the contents of conferences with kindergarten field experts, video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imulated instructions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sson plans and teaching aids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simulated instructions, reflective journals for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 and research notes by the researchers. The implementation process to improve the simulated instructions in connection with field experts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planning, including the reflection and correction of existing simulated instructions as well as the fundamental consultation with field expert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The second stage of execution involved preparation for the primary simulated instruction, execution and recording, and conducting an assessment conference on the primary simulated instruction with fellow pre-service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e third stage was re-execution, whe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secondary simulated instruction with field experts and prepared for the instruction, based on the primary simulated instruction execution and assessment process. Subsequently, the secondary simulated instruction execution and re-reflection process was followed through in-person guidance by the field experts visiting the university with the aim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 process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field expert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me to be able to more precisely recognize the current status of the kindergarten field.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instructional improvement in the direction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interact with the actual learning level of preschoolers. All of these procedures also provided both field expert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luding the action researchers, with an opportunity to enhance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the action researchers, this study served as a insightful turning point where they could assess the foundation, plans, interrelation, and development possibility for field-related simulated instructional improvement with field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over, they were able to grow into high-quality teaching professionals specializing in train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선, "학교 활력이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223-246, 2018

      2 조문숙,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반성성향과 수업운영전략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102-123, 2002

      3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4 김혜리,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탐색: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61-190, 2018

      5 김정주, "유치원 현장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및 인식 변화 탐색"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519-533, 2011

      6 이지현,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 참여를 통한 유치원 교사의 좋은 수업 만들어가기의 의미"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33-358, 2016

      7 곽현주, "유치원 교육의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수업반성전략의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229-244, 2004

      8 박찬옥,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2016

      9 이은희,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수업 경험에 관한 탐색 - 유아 과학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6 (16): 83-103, 2016

      10 마지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51-273, 2010

      1 김동선, "학교 활력이 교사의 수업 개선 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223-246, 2018

      2 조문숙,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반성성향과 수업운영전략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102-123, 2002

      3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4 김혜리,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탐색: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61-190, 2018

      5 김정주, "유치원 현장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및 인식 변화 탐색"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2 (22): 519-533, 2011

      6 이지현,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 참여를 통한 유치원 교사의 좋은 수업 만들어가기의 의미"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333-358, 2016

      7 곽현주, "유치원 교육의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수업반성전략의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229-244, 2004

      8 박찬옥,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2016

      9 이은희,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수업 경험에 관한 탐색 - 유아 과학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6 (16): 83-103, 2016

      10 마지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51-273, 2010

      11 견주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수업나눔 경험의 의미" 교육발전연구소 29 (29): 405-425, 2019

      12 김진형,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모의실제수업 모형 적용의 의미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157-176, 2015

      13 박성덕,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 (14): 197-228, 2015

      14 조희정,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563-587, 2012

      15 장경숙, "예비교사 수업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1 (11): 33-60, 2005

      16 견주연, "영유아 참여 모의수업의 수행과정 및 수업 만족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5-27, 2016

      17 황해익, "아동연구방법" 정민사 2014

      18 김순희, "수업개선에 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53-76, 2010

      19 김효수, "수업 나눔 : 새로운 수업 협의회를 찾는 교사들을 위한안내서" 좋은교사운동 출판부 2018

      20 박은혜, "반성적 사고와 유아교사교육" 16 (16): 175-192, 1996

      21 이소영,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459-476, 2011

      22 이승진,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05-130, 2017

      23 이혁규, "교육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방법" 25 (25): 196-213, 2009

      24 박일수, "교육과정 재구성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41-164, 2013

      25 허우정, "교수협력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모의동작수업 평가 분석 및 교수협력의 의미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317-340, 2010

      26 김민성, "교사전문성의 ‘연계(連繫)’적 특성과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39-61, 2012

      27 이윤희,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20 (20): 647-670, 2019

      28 유종열, "교사의 수업 개선 및 협력적 교수활동과신뢰 수준 간의 관계" 32 (32): 71-92, 2018

      29 Mills, G. E.,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우리 교육 2007

      30 서경혜,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59-189, 2009

      31 대한간호학회,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6

      32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n & Bacon 2007

      33 Roth, R. A., "Prepar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Transforming the apprentice through dialectic" 40 (40): 31-35, 1989

      34 Drucker, P. F.,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Harper Collins Publishers Inc 17-120, 2001

      35 Dewey, J., "How we think: A restatement of the relations of reflective thinking to the educative process" D.C. Heath 1933

      36 부산광역시 교육청, "2019학년도 부산유아교육계획" 부산광역시 교육청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6 1.3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