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전통안보 이슈의 국제정치: 사이버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 International politics of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Focusing on the strategy against cyber security thre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9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ransformation of th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have resulted in changes in the factors of national conflict and threats. While traditional security focuses on military confrontation in the face of threats, new security risks such a...

      The transformation of th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have resulted in changes in the factors of national conflict and threats. While traditional security focuses on military confrontation in the face of threats, new security risks such as so-called cyber threats can be treated as a military offensive, or in an ambiguous way, threatening the lives and safety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Now, cyber security issues have been addressed in the form of hybrid warfare, in which attacks on major national infrastructures or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physical attacks in the event of war. And the collapse of the credibility of the process of democracy through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national policy making can have a direct impact on national security. With this awareness,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cyber security issues related to Korea,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grow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where cyber security threats are increasing. For this purpose, Section 2 deals with cyber security threats which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nd have complex hierarchical properties. In Chapter 3, we examine the countermeasures of cyber security threat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In Chapter 4, cyber security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is analyzed in terms of bilater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norms. In the course of dealing with cases of cooperation among the actors of major countries in East Asia at the level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conclusive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ll be presented concis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의 안보환경의 변화는 국가 간 갈등과 위협의 요인이 바뀌는 결과를 초래했다. 위협의 대상 면에서 전통적 안보가 군사적 대결에 중점을 두었던 반면, 이른바 사이버 위협과같은 신안...

      21세기의 안보환경의 변화는 국가 간 갈등과 위협의 요인이 바뀌는 결과를 초래했다.
      위협의 대상 면에서 전통적 안보가 군사적 대결에 중점을 두었던 반면, 이른바 사이버 위협과같은 신안보 리스크는 군사적 무력공격으로 취급될 수 있는 모호한 다양한 방식으로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 부문에 이르기까지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방법으로 국가안보에 위해를가할 수 있다. 이제 사이버안보 이슈는 평상 시 국가의 주요기반시설이나 주요정보통신시설에대한 공격, 전쟁 발생 시 물리적인 공격과 동시에 사이버전을 실행하는 하이브리드전 양상으로전화되었다. 광역화된 사회⋅경제적 피해의 발생, 가짜 정보 및 왜곡 사실의 유포 등을 통한민주체제의 신뢰성 해체 등으로 국가의 안정과 질서 유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사이버 위협이 급증하고 있는 국내외 사이버안보 환경에 주목하면서 사이버 안보 이슈에 대한 한국과 관련된 국제정치적 함의와 이론적의미를 탐색해볼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2장에서는 사이버안보 위협은 전통적인 안보위협과는 차별성이 존재하고 복합적 중층적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다룬다. 3장에서는 사이버안보위협의 대응 방식을 국내적 영역과 국제적 차원에서 살펴본다. 그리고 4장에서는 국제관계영역에서의 사이버 안보협력이 양자관계와 국제규범화 측면에서 분석하면서 국제협력의차원에서 동아시아 주요 국가 행위자들의 협력 사례를 다루면서 결론적으로 한국의 입장에서가질 수 있는 국제적 협력과 같은 대응 전략 등 이론적 실천적 의미와 과제를 간결하게제시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푸틴, 중국과 손잡고 인터넷 검열망 구축 박차"

      2 "통합방위법"

      3 장노순, "초국가적 행위자의 사이버공격과 핵공격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안보질서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63-281, 2005

      4 김상규, "중국의 사이버안보 정책과 전략에 관한 소고" 2018

      5 이근, "정보혁명에 따른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동아시아 신질서 : 새로운 도전과 한국의 방안" 8 (8): 53-74, 2001

      6 양정윤, "정보공간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영향력 확대가능성 연구: 국가 사이버안보 역량 평가의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6 (36): 133-162, 2018

      7 이상현, "일본의 사이버안보정책과 전략: 진화하는 일본의 사이버 안보 전략" 2018

      8 김상배, "세계 주요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 비교 국가전략론의 시각" 국제학연구소 26 (26): 67-108, 2017

      9 임종인, "사이버안보의 국제협력"

      10 장노순, "사이버안보에서 갈등구조와 신뢰구축"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87-112, 2014

      1 "푸틴, 중국과 손잡고 인터넷 검열망 구축 박차"

      2 "통합방위법"

      3 장노순, "초국가적 행위자의 사이버공격과 핵공격에 관한 비교연구: 국제안보질서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63-281, 2005

      4 김상규, "중국의 사이버안보 정책과 전략에 관한 소고" 2018

      5 이근, "정보혁명에 따른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동아시아 신질서 : 새로운 도전과 한국의 방안" 8 (8): 53-74, 2001

      6 양정윤, "정보공간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영향력 확대가능성 연구: 국가 사이버안보 역량 평가의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6 (36): 133-162, 2018

      7 이상현, "일본의 사이버안보정책과 전략: 진화하는 일본의 사이버 안보 전략" 2018

      8 김상배, "세계 주요국의 사이버 안보 전략: 비교 국가전략론의 시각" 국제학연구소 26 (26): 67-108, 2017

      9 임종인, "사이버안보의 국제협력"

      10 장노순, "사이버안보에서 갈등구조와 신뢰구축" 한국정치정보학회 17 (17): 87-112, 2014

      11 유호근, "사이버안보 체계: 거버넌스 형성의 문제와 한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8 (38): 237-270, 2017

      12 배영자, "사이버안보 국제규범에 관한 연구" 21세기정치학회 27 (27): 105-128, 2017

      13 정완, "사이버범죄의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113-140, 2007

      14 부형욱, "사이버 안보의 주요 이슈와 정책방향: 국방 사이버 정책 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97-122, 2013

      15 김상배, "사이버 안보의 주변4망(網)과 한국: 세력망의 구조와 중견국의 전략"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111-154, 2017

      16 장노순, "사이버 안보위협의 성격과 통합적 대응의 전략적 의미" 국제지역연구센터 20 (20): 185-208, 2017

      17 장노순, "사이버 안보와 미중관계" JPI 2013

      18 김소정, "사이버 안보 국제협력과 국가전략" JPI 2013

      19 권양섭, "사이버 범죄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한국법학회 (53) : 177-193, 2014

      20 오일석, "사이버 공격에 대한 전쟁법 적용의 한계와 효율적 대응방안" 법학연구소 17 (17): 119-161, 2014

      21 "본말 전도된 스노든 사건"

      22 김관옥, "미중 사이버패권경쟁의 이론적 접근" 대한정치학회 23 (23): 231-255, 2015

      23 허태회, "미래 세계안보 및 정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정보개혁 방향" 2 (2): 2010

      24 신성호, "미 오바마 행정부의 사이버안보 정책과 쟁점" 국제학연구소 25 (25): 61-96, 2016

      25 "매서운 경쟁력, 중국 IT 5대천왕의 육성 비전"

      26 김대원, "동북아 지역협력체를 통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전망과 과제" 법학연구소 43 (43): 417-436, 2008

      2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사이버보안 협력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에 합의"

      28 신경수, "국제사회와 사이버 공간의 안보문제" 국제학연구소 27 (27): 27-55, 2018

      29 이재은,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위기 유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77-198, 2013

      30 오태곤, "국가간 사이버범죄 대응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0 (10): 307-318, 2005

      31 함승현,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정책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21 (21): 1666-1673, 2017

      32 Michael, Chertoff, "The cybersecurity challenge" 2 (2): 2008

      33 "Tallinn Manual 2.0"

      34 "Presidential Executive Order on Strengthening the Cybersecurity of Federal Networks and Critical Infrastructure"

      35 Auty, Caroline, "Political hacktivism: tool of the underdog or scourge of cyberspace?" 56 (56): 2004

      36 Bauer, Johanese M., "Introduction to the Economics of Cybersecurity" 81 (81): 2011

      37 Demidov, O., "Internatuional Regul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and Russia’s National interests" 18 (18): 2012

      38 Bahrisch, O. F., "Hegemonic Power and Technology Advancement" 261 : 2011

      39 East West Institute, "Global Cyber Deterrence: Views from China, the U.S., Russia, India, and Norway"

      40 Reksoprodjo, Yono, "Cybersecurity Emerging Issues, Trends, Technologies and Threats in 2015 and Beyond"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16

      41 Betz, David, "Cyberpower in Strategic Affairs: Neither Unthinkable nor Blessed" 35 (35): 2012

      42 M.Sc. Barış Çeliktaş, "Cyber security power ranking by country and its importance on world politics" The Journal of Academic Social Science Studies

      43 Neutze, Jan, "Cyber Insecurity: Competition, Conflict, and Innovation Demand Effective Cyber Security Norms" 2013 (2013): 2013

      44 Buchan, Russell, "Cyber Attacks: Unlawful Uses of Force or Prohibited Interventions?" 17 (17): 2012

      45 Russell, Buchan, "Cyber Atacks: Unlawful Uses of Force or Prohibited Interventions?" 17 (17): 2012

      46 "ANSSI"

      47 Brown, Davis, "A Proposal for an International Convention to Regulate the Use of Information Systems in Armed Conflict" 47 (47): 2006

      48 Ahmad, Rabiah, "A Dynamic Cyber Terrorism Framework" 10 (10): 2012

      49 임종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이버 안보" 20 : 2018

      50 최경희, "2018년 아세안공동체 현황과 한아세안관계 그리고 2019년 전망" 2018

      51 "2016년 사이버 안보 환경과 전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