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methods on the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in web based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2402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전공 , 2002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0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 초록: p. v-vii
        Abstract: p. 74-77
        참고문헌: p. 69-73

      • 소장기관
        • 백석대학교 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육개발원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uter systems had distributed in each elementary school and internet network had also established. The contents of WBL(Web Based Learning) for first through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and those for fifth and sixth grade will be finished by the beginning of 2002.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ndicates that this kind of learning hasn't activated yet. Because the facility for WBL were installed recently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don't have much experience in WBL collaborative learning. The model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at can be used for WBL are various. But among them, GI(Investigation Collaborativ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one for cooperating activity and solving problems on the web because it's the model mostly lead by learners. The research shows that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higher mind capability such as getting a concept, solving a problem etc.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I chos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an example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The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will be very helpful for inexperienced learner because it can give an idea to solve the problem. But we need to verify by an experiment how effective the cases presented can be effective as a solv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on the WBL. And we made some hypothesis as follows.

      <Hypothesis> There might b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etween two groups. One that the cases were presented and the other that were not.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 6th grade student selected from 2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Group I) was presented with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other group(Group II) was not. And the project for the study was done with the chapter called 'Many countries those are changing in the world' from the social textbook for second term of sixth grade.
      For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 developed the cas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internet site for the groups. The experiment proceded during 8 periods of the chapter for 4 weeks from October 22 to November 17, 2001. After the process, I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solving methods and verified the mean to prove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the means of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in Group I was 0.82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I. The statistic difference of mean between two groups was very meaningful.(p<0.01)

      The result shows that it is much better to presen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That is to say, presenting the cases in the WBL can be a great help to make a plan for collaborative learning, to get an idea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o choose the way of learning. The reasons are as follow.
      Firs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acted as a positive feedback of learning guide owing to their own attribute. Because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include the idea of preceding students, which are very useful in solving problems.
      Second, the learners were motivated by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and they study very actively.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on the board by Group(I) was twice as many as that by Group(II). This means that the presenting cases of the preceding students would make an inexperienced learners have confidence in studying.
      Third, the education by the presentation of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on the WBL correspond with the opinion of 'Learning by modeling an experts' and the assertion about 'Obtaining a new behavior by observing and imitating other people' suggested by The modeling of the learning method presented by the preceding students is the same with the learning by observing.
      As stated above, the presenting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enables learners to study hard with great motivation because they can study by observing the preceding students.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get an necessary idea for the problems.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y presenting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번역하기

      Computer systems had distributed in each elementary school and internet network had also established. The contents of WBL(Web Based Learning) for first through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and those for fifth and sixth grade will...

      Computer systems had distributed in each elementary school and internet network had also established. The contents of WBL(Web Based Learning) for first through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and those for fifth and sixth grade will be finished by the beginning of 2002.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ndicates that this kind of learning hasn't activated yet. Because the facility for WBL were installed recently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don't have much experience in WBL collaborative learning. The model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at can be used for WBL are various. But among them, GI(Investigation Collaborativ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one for cooperating activity and solving problems on the web because it's the model mostly lead by learners. The research shows that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higher mind capability such as getting a concept, solving a problem etc.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I chos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an example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The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will be very helpful for inexperienced learner because it can give an idea to solve the problem. But we need to verify by an experiment how effective the cases presented can be effective as a solv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on the WBL. And we made some hypothesis as follows.

      <Hypothesis> There might b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etween two groups. One that the cases were presented and the other that were not.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 6th grade student selected from 2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Group I) was presented with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other group(Group II) was not. And the project for the study was done with the chapter called 'Many countries those are changing in the world' from the social textbook for second term of sixth grade.
      For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 developed the cas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internet site for the groups. The experiment proceded during 8 periods of the chapter for 4 weeks from October 22 to November 17, 2001. After the process, I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solving methods and verified the mean to prove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the means of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in Group I was 0.82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I. The statistic difference of mean between two groups was very meaningful.(p<0.01)

      The result shows that it is much better to presen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That is to say, presenting the cases in the WBL can be a great help to make a plan for collaborative learning, to get an idea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o choose the way of learning. The reasons are as follow.
      Firs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acted as a positive feedback of learning guide owing to their own attribute. Because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include the idea of preceding students, which are very useful in solving problems.
      Second, the learners were motivated by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and they study very actively.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on the board by Group(I) was twice as many as that by Group(II). This means that the presenting cases of the preceding students would make an inexperienced learners have confidence in studying.
      Third, the education by the presentation of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on the WBL correspond with the opinion of 'Learning by modeling an experts' and the assertion about 'Obtaining a new behavior by observing and imitating other people' suggested by The modeling of the learning method presented by the preceding students is the same with the learning by observing.
      As stated above, the presenting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enables learners to study hard with great motivation because they can study by observing the preceding students.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get an necessary idea for the problems.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y presenting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학교 각 교실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설치되었으며 웹기반 콘텐츠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어서 앞으로 웹기반 학습이 활성화될 것이다. 웹기반 협동학습은 웹의 장점과 협동학습의 장점 때문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 그러나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많지 않았으며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곳에서도 학습자들의 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학교에 웹기반 시설이 완료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며, 교사와 학습자들이 웹기반 협동학습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웹기반에 이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GI(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 모형은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모형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웹에서 다른 사람들과 능동적으로 협동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적합하다. GI 협동학습은 개념획득, 문제해결과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기르는데도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참고하여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제시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는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간에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K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2학급 중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으로 편성하고 다른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으로 편성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을 위한 학습 과제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사회과 '변화하는 세계 여러 나라' 단원이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를 위해 본 연구자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는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는 집단에게 제공할 협동학습 사례와 학습용 사이트를 제작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은 2001년 10월 22일부터 11월 17일까지 4주 동안 8차시 분량을 학습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은 긍정되었으며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는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보다 0.82점이 높았으며, 두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연구 결과에 따르면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에서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웹기반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협동학습 사례제시 하는 것을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활발한 학습활동이 가능해졌다.
      둘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에는 사례 자체가 지니고 있는 학습을 안내하는 자체의 속성 때문에 적극적인 학습안내 자료로서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작용했다.
      셋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통한 학습활동은 구성주의의 인지적 도제 학습 이론에서 주장하는 전문가를 따라하면서 배운다는 견해와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교사가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 제시 연구와 관련되어 사례제시 유형과 사례제시 방법, 학습자의 능력과 인지양식, 학생의 연령, 남녀의 차이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비교 검증에 관한 연구는 현장교사들이 교수 학습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초등학교 각 교실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설치되었으며 웹기반 콘텐츠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어서 앞으로 웹기반 학습이 활성화될 것이다. 웹기반 협동학습은 웹의 장점과 협동학...

      초등학교 각 교실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설치되었으며 웹기반 콘텐츠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어서 앞으로 웹기반 학습이 활성화될 것이다. 웹기반 협동학습은 웹의 장점과 협동학습의 장점 때문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 그러나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많지 않았으며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곳에서도 학습자들의 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학교에 웹기반 시설이 완료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며, 교사와 학습자들이 웹기반 협동학습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웹기반에 이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GI(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 모형은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모형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웹에서 다른 사람들과 능동적으로 협동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적합하다. GI 협동학습은 개념획득, 문제해결과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기르는데도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참고하여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제시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는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간에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K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2학급 중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으로 편성하고 다른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으로 편성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을 위한 학습 과제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사회과 '변화하는 세계 여러 나라' 단원이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를 위해 본 연구자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는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는 집단에게 제공할 협동학습 사례와 학습용 사이트를 제작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은 2001년 10월 22일부터 11월 17일까지 4주 동안 8차시 분량을 학습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은 긍정되었으며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는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보다 0.82점이 높았으며, 두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연구 결과에 따르면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에서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웹기반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협동학습 사례제시 하는 것을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활발한 학습활동이 가능해졌다.
      둘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에는 사례 자체가 지니고 있는 학습을 안내하는 자체의 속성 때문에 적극적인 학습안내 자료로서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작용했다.
      셋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통한 학습활동은 구성주의의 인지적 도제 학습 이론에서 주장하는 전문가를 따라하면서 배운다는 견해와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교사가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 제시 연구와 관련되어 사례제시 유형과 사례제시 방법, 학습자의 능력과 인지양식, 학생의 연령, 남녀의 차이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비교 검증에 관한 연구는 현장교사들이 교수 학습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가설 6
      • 3. 용어 정의 7
      • 4. 연구의 제한점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및 가설 6
      • 3. 용어 정의 7
      • 4. 연구의 제한점 8
      • Ⅱ. 이론적 배경 9
      • 1. 웹기반 학습 9
      • 가. 웹기반 학습의 특성 9
      • 나. 웹기반 학습과 구성주의 12
      • 2. 협동학습 15
      • 가.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성 15
      • 나. 협동학습 모형 21
      • 다. 협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30
      • 라. 협동학습 사례분석 34
      • 3. GI 협동학습 39
      • 가. GI 협동학습의 특성 39
      • 나. GI 협동학습 절차 42
      • Ⅲ. 연구 방법 46
      • 1. 연구의 대상 46
      • 2. 실험 설계 46
      • 3. 실험 절차 48
      • 4. 실험 도구 51
      • 5. 자료 수집 및 분석 59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61
      • 1. 결과 및 해석 61
      • 2. 논 의 62
      • Ⅴ. 결론 및 제언 65
      • 1. 요약 및 결론 65
      • 2. 제 언 67
      • 참 고 문 헌 69
      • 영 문 초 록 74
      • 부 록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