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IS 기반 빈집과 도시쇠퇴지역 간 상관성 분석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bandoned House and Urban Decline Are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6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decline area and abandoned house by comparing the urban decline area and the current state of abandoned house. This study derived 14 indicators for deriving urban decline area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degree of urban decline by indicato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urban decline area, the highest degree of urban decline was found in the first grade area with 1.1%, second grade 75.9%, third grade 14.9%, and fourth grade 6.5%. In addition, the 5th grade with the lowest urban decline area accounted for 1.5%. The indicators show that the aged population, five-year population growth rate, five-year household growth rate, the number of workers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workers in higher industry (services), the rate of increase in business, the deterioration of old detached house, and the old house are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abandoned hous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urban decline degree and the ratio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showed that 77.0%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were distributed in the decline area where the urban decline was the most seve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decline area and abandoned house by comparing the urban decline area and the current state of abandoned house. This study derived 14 indicators for deriving urban decline areas th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decline area and abandoned house by comparing the urban decline area and the current state of abandoned house. This study derived 14 indicators for deriving urban decline area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degree of urban decline by indicato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urban decline area, the highest degree of urban decline was found in the first grade area with 1.1%, second grade 75.9%, third grade 14.9%, and fourth grade 6.5%. In addition, the 5th grade with the lowest urban decline area accounted for 1.5%. The indicators show that the aged population, five-year population growth rate, five-year household growth rate, the number of workers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workers in higher industry (services), the rate of increase in business, the deterioration of old detached house, and the old house are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of abandoned hous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urban decline degree and the ratio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showed that 77.0% of abandoned houses in Daegu were distributed in the decline area where the urban decline was the most sev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쇠퇴지역의 기준과 이에 따른 빈집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여 도시쇠퇴지역과 빈집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쇠퇴지역 도출을 위한 14개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지표별 도시쇠퇴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14개의 개별 지표를 종합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 등급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1등급 지역이 1.1%, 2등급이 75.9%, 3등급이 14.9%, 4등급이 6.5% 그리고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낮은 5등급이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령인구, 5년간 인구증감률, 5년간 가구증감률, 인구 천명당 종사자수, 고차산업(서비스) 종사자수, 사업체 증감률, 노후단독주택 그리고 주거불량주택이 빈집분포 비율과 상관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등급도와 빈집 분포 비율과의 상관성을 종합해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심한 쇠퇴등급지역에 대구광역시 빈집의 77.0%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상관성에 대한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도시쇠퇴지역의 기준과 이에 따른 빈집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여 도시쇠퇴지역과 빈집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쇠퇴...

      도시쇠퇴지역의 기준과 이에 따른 빈집 현황을 비교 및 분석하여 도시쇠퇴지역과 빈집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쇠퇴지역 도출을 위한 14개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지표별 도시쇠퇴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14개의 개별 지표를 종합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 등급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1등급 지역이 1.1%, 2등급이 75.9%, 3등급이 14.9%, 4등급이 6.5% 그리고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낮은 5등급이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령인구, 5년간 인구증감률, 5년간 가구증감률, 인구 천명당 종사자수, 고차산업(서비스) 종사자수, 사업체 증감률, 노후단독주택 그리고 주거불량주택이 빈집분포 비율과 상관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나타났다. 또한 대구광역시 종합 도시쇠퇴등급도와 빈집 분포 비율과의 상관성을 종합해 보면, 도시쇠퇴의 정도가 가장 심한 쇠퇴등급지역에 대구광역시 빈집의 77.0%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상관성에 대한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보상원, "토지경계 분쟁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5 (35): 45-56, 2019

      2 박춘수, "지적(地籍)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지적학회 32 (32): 13-35, 2016

      3 성은영,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5

      4 이소영,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5 조상운, "인천발전연구원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인천시 도시쇠퇴 특성분석" 인천발전연구원 2017

      6 강왕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지적기준점의 조사·관리 방안" 한국지적학회 35 (35): 49-61, 2019

      7 최석환, "수원형 도시재생지표 개발" 수원시 지속가능도시재단 2017

      8 이종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공간적 범위 적용에 관한 연구: 아산시 행정동과 집계구의 적용 결과 비교"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9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10 박성현, "도시재생사업의 빈집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론적 접근"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103-116, 2016

      1 황보상원, "토지경계 분쟁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5 (35): 45-56, 2019

      2 박춘수, "지적(地籍)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 한국지적학회 32 (32): 13-35, 2016

      3 성은영,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생 전략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5

      4 이소영,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5 조상운, "인천발전연구원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인천시 도시쇠퇴 특성분석" 인천발전연구원 2017

      6 강왕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지적기준점의 조사·관리 방안" 한국지적학회 35 (35): 49-61, 2019

      7 최석환, "수원형 도시재생지표 개발" 수원시 지속가능도시재단 2017

      8 이종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공간적 범위 적용에 관한 연구: 아산시 행정동과 집계구의 적용 결과 비교"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9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10 박성현, "도시재생사업의 빈집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론적 접근"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103-116, 2016

      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시쇠퇴 및 잠재력 진단지표 개발" 도시재생사업단 2010

      12 강용길, "근린지역 범죄예방 진단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경찰청 2015

      13 이용호, "국가 기본공간정보를 위한 연속지적도 표준 모델 개발방안 연구" 한국지적학회 35 (35): 1-12, 2019

      14 노은빈, "공간 데이터 재구축을 통한 음식업종 매출액 영향 요인 분석: 이종 공간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을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 35 (35): 581-590, 2017

      15 박우진, "격자기반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지수 간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23-29, 2015

      16 김문수,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대한공간정보학회 23 (23): 31-40, 2015

      17 김순용, "GIS와 요인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소요지역 및 지표 선정을 위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 5 (5): 71-83, 2016

      18 장문현,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도시쇠퇴 특성 분석-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424-438, 2016

      19 오원섭, "2012년 전국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한 시·군·구 단위 질병유병률의 공간 자기상관도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34 (34): 253-26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4 0.42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