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치활동경험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일반학교와 혁신학교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79367
2016
Korean
공동체의식 ; 학생자치활동 ; 학생회 ; 동아리 ; 사회적 유능감 ; 민주적 학교문화 ; sense of community ; student council ; school club ; social efficacy ; democratic school culture
334
KCI등재
학술저널
179-20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치활동경험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일반학교와 혁신학교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치활동경험이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일반학교와 혁신학교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다층분석 결과, 가정배경과 가족관계, 중1때 공동체 의식을 통제하고도 학생회 참여 여부와 동아리 활동 정도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의 학생 인권존중 문화에 대한 인식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수준 변수로 혁신학교가 통계적으로 유의해서, 혁신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 학생들보다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학교문화의 효과는 뚜렷하게 않거나 오히려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학생자치활동 경험이 직접적으로, 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의 인권존중 문화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공동체 의식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집단간 비교 결과, 학생회 참여 여부가 공동체 의식에 이르는 경로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동아리 활동 정도(소극적 참여/적극적 참여)가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혁신학교가 일반학교보다 더 크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학교의 민주적 학교문화가 이러한 차이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학생회 참여 효과의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은 혁신학교 내부의 편차가 크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way in which students’ experiences of self-governing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a sense of communi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by using the data of the Gyeonggi ...
This study analyzed the way in which students’ experiences of self-governing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a sense of communit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by using the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The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indicated that participation of students councils and club activ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y, controlling family background,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previous year. Social efficacy, and cognition for school’s level of respect for student right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as well. In relation to the variables of school levels, the school type appeared to be also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innovation school students show higher levels of a sense of community compared to general school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of self-governing activ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is mediated by self efficacy and the school atmosphere of respect for students rights. A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types of school does not reveal that the differences of pathway in which participation into the student council leads to a sense of community. However, the effect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turns out to be stronger in innovation schools than general schools. Although it is possible that the culture of a more democratic school contributes to this differenc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considering the large deviations which exit in innovation schools.
목차 (Table of Contents)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생존분석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최초 아르바이트 경험 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