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益山地域의 舊石器 遺蹟  :  지표채집 유물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Report from the several Palaeolithic find-spots around Iksan City, Jun-Ra-Buk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24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구석기시대에 관한 연구조사는 최근에 와서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북지방의 경우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번 익산지역의 지표조사를 계기로 구석기문...

      한반도 구석기시대에 관한 연구조사는 최근에 와서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북지방의 경우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번 익산지역의 지표조사를 계기로 구석기문화의존재가능성이 보다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익산시에 위치한 창평유적, 신막유적, 율촌리유적, 영등동유적, 온수리유적에서 구석기시대의 석기들이 새롭게 조사되었다 석기들은 다양한 석재들(맥석영과 유문암)과 다양한 형식(찍개, 주먹도끼. 세석기 그 외 여러 박편들)들이 보여지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주목된다. 이러한 유물들의 이해는 여러 다른 입장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 이들 석기는 형식학적인 입장에서 뿐 아니라. 석재의 유형, 석기가공의 기술적 측면, 후퇴적 환경의 진행적 입장 그리고 물리적 화학적 마모의 변이성 등 여러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하여 이 지역 구석기인들의 행위를 복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본격적인 발굴이 아닌 지표채집이라는 한계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번 조사를 통해 유적과 유물의 정밀조사의 필요성을 다시 생각하게 하여주는 귀중한 고고학적 가치를 엿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presented here is the results from a preliminary fieldwork around Iksan City. The number of Palaeolithic sites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excavation started at Jun-Kuk-Ri, Kung-Ki Province in 1979. However, the ful...

      The Research presented here is the results from a preliminary fieldwork around Iksan City. The number of Palaeolithic sites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excavation started at Jun-Kuk-Ri, Kung-Ki Province in 1979. However, the full-scale excavated sites are not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Peninsula. For example, Iksan, Jun-Ra-Buk Province located in the southern Peninsular, had not been systematically researched. However, the adjacent regions such as Jun-Ra-Buk Province and Chung-Chong Nam Province has been yield many Palaeolithic sites. In spite of many possibilities, any Palaeolithic sites have not been reported in Jun-Ra-Buk Province yet. Therefore current findings of the Palaeolithic industry in this region have a significant archaeological importance.
      The find-spots introduced in this paper are mainly Chang-Pyung-Ri, Young-Deong-dong, On-Su-Ri, Sin-Mak-Ri and Yul-Chon-Ri. All of them belong to the Jun-Ra-Buk Province. In terms of typological concerning, chopping tools, pyramidal core tools, a handaxe type core tool and various flake tools including micro-lithic artefacts have been collected. In Sin-Mak-Ri, a chopping tool and micro-cores were found in a same place. Therefore the chronological sequence based on the artefacts types may suggest that they could not be contemporary. Since the post depositional process is unknown, further full-scale excavation is highly necessary to prove that. Other sites such as Chang-Pyung-Ri and Yul-Chon-Ri do not give clear chronological evidence with these artefacts types. Therefore geological studies are also highly required.
      Although a clear chronological sequence cannot b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se artefacts is not faded. There are many interesting features: the presence of handaxe type and pyramidal core tools which are rather rare cases in Korea, the evidence of patination process, different degree of physical abrasion patterns, various knapping technology, and different raw material usage. All the features can be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human behaviour in the region. Because of them, many feasible hypotheses can be raised and tested: more refined chronological order from not only the typology but also the physical and chemical abrasion patterns and lithic technology, economical human behaviour related to the distance to the raw material source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artefacts from other area on the basis of typologic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 論
      • Ⅱ. 倉坪遺蹟
      • Ⅲ. 栗村里遺蹟
      • Ⅳ. 신막遺蹟
      • Ⅴ. 永登洞遺蹟
      • Ⅰ. 序 論
      • Ⅱ. 倉坪遺蹟
      • Ⅲ. 栗村里遺蹟
      • Ⅳ. 신막遺蹟
      • Ⅴ. 永登洞遺蹟
      • Ⅵ. 溫水里遺蹟
      • Ⅶ. 結 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