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도호와 Hussein Chalayan 작품에 나타난 창의성 = Creativity in the Work of Doho Suh and Hussein Chalay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eativity involves the production of novelty. The process of discovery involved in creating something new appears to be one of the most enjoyable activities any human can be involves in. Which place is best depends on the total configuration of a person`s characteristics and those of the task he or she is involved in. The more flow we experience in daily life, the more likely we are to feel happy overall.
      This study has analysed the work of Doho Suh and Hussein Chalayan in gallery, interview, literature data and internet., etc. from the end of 1900s to 2013. As a result, an international artist or/and designer, Doho Suh and Hussein Chalayan have shown creative thinking resources in their work process based on 1) configuration of experiential memory 2) reproducing time and space through limited accident and unlimited intervention.
      It means artist`s creative idea related with passed experience and which can be an appearance into his work. In this study, there is a developed process via creative work in art and fashion design. Using student`s individual experience in design class can be help every single student`s creative ideas development in the future.
      번역하기

      Creativity involves the production of novelty. The process of discovery involved in creating something new appears to be one of the most enjoyable activities any human can be involves in. Which place is best depends on the total configuration of a per...

      Creativity involves the production of novelty. The process of discovery involved in creating something new appears to be one of the most enjoyable activities any human can be involves in. Which place is best depends on the total configuration of a person`s characteristics and those of the task he or she is involved in. The more flow we experience in daily life, the more likely we are to feel happy overall.
      This study has analysed the work of Doho Suh and Hussein Chalayan in gallery, interview, literature data and internet., etc. from the end of 1900s to 2013. As a result, an international artist or/and designer, Doho Suh and Hussein Chalayan have shown creative thinking resources in their work process based on 1) configuration of experiential memory 2) reproducing time and space through limited accident and unlimited intervention.
      It means artist`s creative idea related with passed experience and which can be an appearance into his work. In this study, there is a developed process via creative work in art and fashion design. Using student`s individual experience in design class can be help every single student`s creative ideas development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 "현대미술의 노마디즘적 경향과 이동성의 문제 : 서도호와 김수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2 최정연, "현대 미술에 투영된 작가의 기억 -서도호와 루이즈 부르주아의 섬유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619-628, 2011

      3 박상범,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모형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2008

      4 정은이,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오아나 바보이, "서도호의 작품에 투영된 한국인의 정체성"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6 송미숙, "서도호의 소제국, 안과 밖의 뒤집기" (8) : 2004

      7 김지호, "비의식적 광고 처리에서 나타나는 암묵적 기억의 광고효과 -시각적 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81-102, 2007

      8 이윤경, "복식에 표현된 초공간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권근영, "나는 예술가다. 한국 대표 예술가 10인, 창작과 삶을 말하다" 세미콜론 2011

      10 Taylor, C. W., "Various appraches to and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429-440, 1998

      1 김현, "현대미술의 노마디즘적 경향과 이동성의 문제 : 서도호와 김수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2 최정연, "현대 미술에 투영된 작가의 기억 -서도호와 루이즈 부르주아의 섬유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 (17): 619-628, 2011

      3 박상범,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모형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2008

      4 정은이,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오아나 바보이, "서도호의 작품에 투영된 한국인의 정체성"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6 송미숙, "서도호의 소제국, 안과 밖의 뒤집기" (8) : 2004

      7 김지호, "비의식적 광고 처리에서 나타나는 암묵적 기억의 광고효과 -시각적 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8 (8): 81-102, 2007

      8 이윤경, "복식에 표현된 초공간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9 권근영, "나는 예술가다. 한국 대표 예술가 10인, 창작과 삶을 말하다" 세미콜론 2011

      10 Taylor, C. W., "Various appraches to and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429-440, 1998

      11 Mete, F., "The creative role of sources of inspiration in clothing design" 18 (18): 279-280, 2006

      12 Taylor, C., "Philosophical Argume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13 Rogers, C. R.,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14 Carr, C., "In the house with Do Ho Suh : World of interiors" 25 (25): 2003

      15 윤지영, "Hussein Chalayan 컬렉션 분석" 한국복식학회 59 (59): 77-93, 2009

      16 Visitor's Guide Book, "Hussein Chalayan Exhibition in the Louvre Museum Gallery"

      17 Evans, C., "Hussein Chalayan" Groninger Museum 2005

      18 Violette, R, "Hussein Chalayan" Rizzoli 2011

      19 Negus, K.,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ultural Value" SAGE Publications 2004

      20 Torrance, E. P., "Creativity in the classroom: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77

      21 Boden, M. A., "Creativity and 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2 Mielll, D., "Collaborative Creativity" FREE ASSOCIATION BOOKS 2004

      23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Harper Collins 1996

      24 Dewey, J., "Art as Experience" Allen and Unwin 193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