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의 기능적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al role between Local Culture Centers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Cultur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역사와 관계를 들여다보면 지방문화원은 지역민의 문화정체성과 지역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의 사업을...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역사와 관계를 들여다보면 지방문화원은 지역민의 문화정체성과 지역 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의 사업을 원활히 지원하고 지방문화원을 대신해 지역 문화의 진흥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부에 전달했다. 그리고 정부는 한국문화원연합회를 통해 재정적 지원을 하고 지방문화를 보호하는 역할을 각각 맡아왔다.
      그러나 지방문화원이 각 지방자치단체의 승인과 예산을 받게 됨에 따라 그 관계가 불명확해졌다. 이전에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들을 중재하고 국가예산을 받아 각 지방문화원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방문화원의 정점에 있는 조직이었다. 지금은 각 지방문화원들이 지방자체단체의 예산을 받고 있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산을 받아 자체적인 사업을 하고, 일부 사업의 경우에 있어서 지방문화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수행사업의 결과를 보고받는 기관으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 하는 지방문화원은 한국문화원연합회와의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을 보이기까지 한다.
      금년에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설립 50주년을 맞이하였다. 그 동안 다방면으로 지방문화의 보존과 발전에 기여해 온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이제 앞으로의 새로운 50주년을 생각하며 지방문화원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문화정책의 목표는 크게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모든 형태의 예술 창작의 질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을 하고, 가급적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유산과 예술 창작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몇 차례 문화정책의 변화를 겪어왔다. 초기에는 문화 정체성에 주력하였던 각국의 문화정책이 1960년대 들어와 고급예술을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하자는 ‘문화민주화’ 개념이 그 중심에 들어섰다. 그러나 ‘문화민주화’ 정책에 한계가 있다고 느낀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1970년과 1980년대에 ‘문화민주주의’ 개념으로 방향을 선회하게 되었다.
      오늘날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 다양성은 언어나 의상, 전통,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 도덕과 종교에 대한 관념, 주변과의 상호작용 등 사람들 사이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한다. 문화적 다양성은 문화민주주의와 지역 문화의 발전에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문화민주화에 따른 하향식 정책은 문화의 획일화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해야만 지역민의 현재 문화들도 인정을 받고, 이를 토대로 문화민주주의도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은 문화민주주의의 길을 더욱 열어 놓았다. 오늘날 문화 정보화 사업의 핵심은 소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방문화원들이 하는 사업들의 결과물들을 관리하고 국민에게 알려야 하며, 지방문화원들은 지역민의 문화적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
      지방문화원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 자료들은 과거와 현재의 지역 문화를 연구 하기 위한 원자료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갖고 있다. 또한 새로운 문화상품 기획에 열의를 내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는 두 주체 사이의 관계와 역할의 재정립을 통해 지방문화 정보 서비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문화연합회는 전국 229개의 지방문화원과 네트워크로 연계되기에 지역문화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지방문화원들은 노드로서 지역민들과 소통하며 지역의 문화자원을 끊임없이 발굴하고 그 문화자원을 한국 문화원연합회에서 디지털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전달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역 문화 자원의 생산과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지방문화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역할과 프로세스가 새롭게 형성된다면, 지방문화원은 현재의 사업들을 계속 수행 하면서, 동시에 사업 결과물도 바로 관리할 수 있으며, 대중을 향한 홍보의 역할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지역문화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좀 더 확보될 수 있겠고,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한 허브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local culture centers(hereafter, LCC) and the Fereation of Korean Culture Center(hereafter, FKCC), we can figure out LCC have been established for cultural identity of local people, an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

      Looking into the relation between local culture centers(hereafter, LCC) and the Fereation of Korean Culture Center(hereafter, FKCC), we can figure out LCC have been established for cultural identity of local people, an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while FKCC has taken on the role of supporting activities of LCC and telling the needs of LCC to the government which provides financial supports for LCC through FKCC to keep local cultures.
      But the relation is getting unclear, since LCC has to get approval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local governments. KFCC does run its own programs and businesses supported financiall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checks the results of businesses of LCC, which are sponsored financially by KFCC. Consequently, LCC do not obtain substantial help and support from KFCC, showing tendency of not thinking highly of communicating with KFCC.
      This year, KFCC celebrates its 50-year anniversary on the establishment. Looking back on the past, it now feels the need to re-organize the relation with LCC for another celebration of 50-year anniversary.
      The purposes of cultural policy are to keep quality and diversity of all kinds of art works and to provide the people with opportunities of accessing cultural heritage and creative works. Europe has changed cultural policy several times since the second World War. Cultural policies European countries which were focused on building up their own cultural identity began to embrace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in 1960s. It intended to spread classic arts among the people. However, European countries introduced 'Cultural Democracy' policy in1970s and 1980s after they recognized the limits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policy.
      Today, discussions on cultural diversity go on in many ways. 'Cultural Diversity' policy admits cultural differences, including languages, clothes, tradition, ways of organizing their own society, ethics and religions, and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It also is an important concept for cultural democracy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s. The top-down policy of 'Democratization of Culture' could have risk of falling into cultural standardization. But only if cultural diversity is admitted, the present cultures of local people can be acknowledged, developing into cultural democracy.
      The lately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ed the way to 'Cultural Democracy'. The core of culture informatization is to be put on the fluid and flexible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FKCC has to manage and publicize the results of businesses and activities done by LCC, and the latter has to actively embrace and meet the cultural needs and wants of local people.
      Cultural materials of LCC are a good source worth of studying the past and present of local cultures. Also, they might be used by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insiders who are eager to create new cultural items.
      Therefore, FKCC and LCC need to re-set up a role to each other to prepare for information services of local cultures. FKCC should be a platform to do services of local cultures, because it connects to the network of 229 units of LCC. And LCC as nationwide nodes are to communicate with local people, discover local cultures continuously, and transfer results of business and activity to FKCC for providing digital services. Likewise, if new roles and work process of FKCC and LCC are set up for the production and servi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LCC can have an advantage of doing businesses and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managing its results for public relations. And FKCC can be a hub for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의 역사와 현황
      • Ⅲ. 시대에 따른 문화정책의 변화
      • Ⅳ. 플랫폼(Platform)의 한국문화원연합회와 노드(Node)의 지방문화원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한국문화원연합회와 지방문화원의 역사와 현황
      • Ⅲ. 시대에 따른 문화정책의 변화
      • Ⅳ. 플랫폼(Platform)의 한국문화원연합회와 노드(Node)의 지방문화원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조, "한국의 문화정책 : 회고와 전망"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0) : 1998

      2 진인혜, "프랑스 문화정책의 역사" 한국프랑스학회 59 : 303-324, 2007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역문화진흥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9

      4 "지방문화원진흥법"

      5 "지방문화원진흥법"

      6 한국문화원연합회, "지방문화원 육성발전 종합토론회 및 권역별 세미나" 한국문화원연합회 2010

      7 "지방문화사업조성법 시행령"

      8 "지방문화사업조성법"

      9 전국문화원연합회, "전국문화원연합회 40년사" 2002

      10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8

      1 김문조, "한국의 문화정책 : 회고와 전망"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0) : 1998

      2 진인혜, "프랑스 문화정책의 역사" 한국프랑스학회 59 : 303-324, 2007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역문화진흥 중장기발전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9

      4 "지방문화원진흥법"

      5 "지방문화원진흥법"

      6 한국문화원연합회, "지방문화원 육성발전 종합토론회 및 권역별 세미나" 한국문화원연합회 2010

      7 "지방문화사업조성법 시행령"

      8 "지방문화사업조성법"

      9 전국문화원연합회, "전국문화원연합회 40년사" 2002

      10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8

      11 김휴종, "문화정체성의 맥락에서 본 문화산업 정책의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 2001

      12 김규원, "문화정체성과 세계화-EU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 2001

      13 양건열,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

      14 현택수, "문화의 세계화와 한국 문화의 정체성" (20) : 2004

      15 서순복, "문화의 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정책적 함의" 대한지방자치학회 8 (8): 23-44, 2007

      16 문화연대, "문화연대 10주년 기념 토론회-문화민주주의와 문화사회, 그 이후" 2009

      17 김경욱, "문화민주주의와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시각" 한국문화경제학회 6 (6): 2003

      18 한동현, "모바일 서비스 시대의 향토 문화 자료 서비스 방안" 역사문화연구소 (40) : 449-484, 2011

      19 정해수, "디지털 시대의 프랑스 문화정책과 문학의 확장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32) : 217-244, 2007

      20 이수진, "디지털 문화유산, 하이퍼링크 그리고 문화민주화 -사르코지 정부의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프랑스학회 (51) : 415-435, 2010

      2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11년 일부 개정."

      22 "강화문화관신설"

      23 성남문화원, "2012년도 업무요람" 2012

      24 성남문화원, "2012년도 업무보고" 2012

      25 한국문화원연합회, "2011 제18차 전국지방문화원 사무국장 연수-2011년 지역문화트렌드와 소통하기"

      26 문화체육관광부, "2010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