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적 차이에 대해 이해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59411
2015
-
300
학술저널
526-52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적 차이에 대해 이해하...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적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교육의 발전과 질적 향상 및 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A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기간제교사들을 대상으로 공립과 사립유치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개별 심층면담과 저널쓰기 등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은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범주화하고 개방코딩의 기법을 통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주제들을 도출해 냈다. 첫째,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 측면의 특성에 대한 공립 기간제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 본결과, 공립유치원에 대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충실한 교육과정 편성, 지원금으로 풍부한 교육재료를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의 제약, 활동중심 교육과정 평가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누리과정과 원장의 운영 관점에 의한 교육과정 편성, 누리과정과 특색 프로그램이 혼합된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운영의 융통성, 교육 재료 사용의 제약, 결과물 중심 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 측면의 특성으로 공립유치원은 초등기준의 시설: 병설유치원, 시설.설비의 개선: 단설유치원 확대, 초등학교 시설 이용, 상업적 교재.교구 구입기회 충분, 교재.교구 관리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사립유치원은 외관적인 환경에 투자, 독립된 시설, 수요자 교육비에 의존한 재정, 교사가 직접 제작하는 교재교구 의존도 높음, 교재.교구 관리 수월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근무환경 측면의 특성으로 공립유치원은 행정업무로 인한 바쁜 하루, 결재과정의 어려움, 일한 만큼 보상을 받는 보수, 자유로운 퇴근시간, 보장된 복지, 다양한 연수 참여의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기관장과의 협상으로 얻어낸 보수, 결재과정의 편리, 정해지지 않은 근무시간, 기약 없는 퇴근시간, 이용가능성 낮은 복지제도, 연수 참여 여건의 한계와 같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직 문화 측면의 특성에 대한 공립 기간제교사들의 인식 연구 결과, 공립유치원에 대해 공립유치원교사 건조한 이미지, 유대감 없는 개인주의, 높은 비율의 고 경력교사, 품위 유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으로는 사립유치원교사 친절한 이미지, 교사 간 유대감, 높은 비율의 젊은 교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특성을 분석하였지만 기관간의 차이점들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장점과 단점들을 서로 보완하고 하루 빨리 개선이 되어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교직풍토 조성을 통해 질 높은 교육을 하기 위한 바램이다. 이러한 노력은 정책적, 제도적 지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알고 유아교육이 공교육화 되어 선진국 대열에 서서 모든 유아들이 발달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을 받기를 기대해 본다.
강강술래 중심의 유아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1)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연구1)
사회적 맥락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음장애 유아의 발음 변화
9-예술,명상교육 미국 내 교사와 학생을 위한 명상교육 효과 및 교육방법에 관한 최신 문헌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