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에 대한 사용실태를 Newsweek誌 3년분을 통해 대조 연구한 것이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어화 된 외래어의 수용이 있었으나 근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89749
2003
-
800
KCI등재
학술저널
107-127(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에 대한 사용실태를 Newsweek誌 3년분을 통해 대조 연구한 것이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어화 된 외래어의 수용이 있었으나 근래...
본 연구는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에 대한 사용실태를 Newsweek誌 3년분을 통해 대조 연구한 것이다.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일본어화 된 외래어의 수용이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와 각자 독자적인 외래어 사용이 예상되며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국의 외래어 수용 자세는 양국의 외래어에 대한 이미지와도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어의 경우 외래어에 대한 사용이 한국에 비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축약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례는 적었으나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예도 있었다. 또한 시대를 반영하고 있어 컴퓨터, 인터넷 관련 어휘가 많이 눈에 띄었다.
현대일본어에 의한 「らしい, ようだ, みたいだ, (し)そうだ, だろう」의 순수한 추량표현의 비교
문말의 「ことだ,のだ」에 관한 일고찰 - 호환성 부여에 대해서 -
형용동사화한 접미사 「-的だ」와, 그 사서입항의 문제에 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