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희진,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0 (10): 85-114, 2011
2 이화자, "현직교사교육이 교사들의 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3 (13): 283-320, 2006
3 홍예진, "현직 영어과 교사연수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4 (14): 233-261, 2015
4 최수영, "초등학교 영어 공교육 강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31-258, 2009
5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7-215, 2010
6 이은주, "의무적인 비동시 온라인 상호작용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125-153, 2009
7 장은정,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29 (29): 1-25, 2013
8 최정임, "웹 기반 수업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전략 탐구" 15 (15): 129-154, 1999
9 임희정, "원격 초등 영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9 (9): 163-184, 2002
10 김현숙, "온라인강좌에서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영어수업시연의 구현" 교육문제연구소 50 : 103-122, 2011
1 김희진,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운영 방식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0 (10): 85-114, 2011
2 이화자, "현직교사교육이 교사들의 교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3 (13): 283-320, 2006
3 홍예진, "현직 영어과 교사연수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4 (14): 233-261, 2015
4 최수영, "초등학교 영어 공교육 강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2 (12): 231-258, 2009
5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실증적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7-215, 2010
6 이은주, "의무적인 비동시 온라인 상호작용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125-153, 2009
7 장은정, "웹 기반 토론과 SNS 기반 토론에서 사회적 실재감, 몰입, 만족도 및 자기평가의 차이" 한국교육공학회 29 (29): 1-25, 2013
8 최정임, "웹 기반 수업에서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전략 탐구" 15 (15): 129-154, 1999
9 임희정, "원격 초등 영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 개발 연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9 (9): 163-184, 2002
10 김현숙, "온라인강좌에서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영어수업시연의 구현" 교육문제연구소 50 : 103-122, 2011
11 조은미,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23-43, 2010
12 권성연,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7 (27): 535-560, 2011
13 임정훈, "상호작용 관점에서 조망해 본 웹 기반 교육의 이론적 기저" 15 (15): 29-54, 1999
14 박준철, "사이버대학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10 (10): 215-240, 2006
15 이영, "사이버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8 (28): 137-168, 2012
16 양영선,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교수-학습 형태와 지도 방안" 13 (13): 21-42, 1997
17 황상민, "멀티미디어 매체의 특성과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14 (14): 209-225, 1998
18 박인우, "대학교육에서 인터넷 가상토론의 비동시성과 토론자의 내향성/외향성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14 (14): 25-49, 1998
19 김지숙,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매체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97-529, 2012
20 강숙희,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학습 환경으로서의 매체의 활용" 13 (13): 117-131, 1997
21 황대준, "가상대학의 현황과 발전방향" 16 (16): 6-15, 1998
22 김성일, "가상대학의 당면과제 및 운영방안" 16 (16): 16-25, 1998
23 한문섭, "e-러닝, b-러닝, 그리고 교실수업이 내용지식 습득과 영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8 (18): 323-339, 2006
24 박명수, "Today and Tomorrow of Online Teacher Training for Korean In-Service Teachers of English"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1 (11): 126-141, 2008
25 Brown, J.,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18 (18): 32-42, 1989
26 Althaus, 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the university classroom : An experiment with on-line discussions" 46 : 158-174, 1997
27 김명희, "A Case Study of an Online Graduate Course for Worldwide Language Teachers"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0 (10): 98-124, 2007
28 김순복, "21세기형 대학교양영어 교육과정 : 가상수업과 교실수업의 최적의3단계 융합모형 및 그 실제" 55 (55): 147-175,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