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razer, J., "황금가지" 동서문화사 2007
2 정보은, "현대중국 “국학열(國學熱)”의 사회체계형성으로서의 사회적 기능과 의미"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91-129, 2012
3 강진석, "중국의 문화코드" 살림지식총서 2004
4 정하영, "중국의 '꽌시' 문화에 대한 시론" 중국학연구회 (27) : 355-, 2004
5 김영경, "중국 향진기업가의 입장에서 본 꽈ㄴ시(關係)의 기능 : 사회자본(Social capital)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6 임두빈, "제이칭뉴를 통해 본 브라질 일상문화코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3
7 이승용, "소비가치유형에 따른 한국과 브라질 광고 비교 - 맥주광고를 중심으로" 중남미연구소 31 (31): 95-120, 2012
8 기와기타 미노루, "설탕의 세계사" 좋은책만들기 2003
9 정연식, "꽌시에 대하여" 1999
10 Adonro, T., "계몽의 변증법" 살림 2005
1 Frazer, J., "황금가지" 동서문화사 2007
2 정보은, "현대중국 “국학열(國學熱)”의 사회체계형성으로서의 사회적 기능과 의미" 아태지역연구센터 36 (36): 91-129, 2012
3 강진석, "중국의 문화코드" 살림지식총서 2004
4 정하영, "중국의 '꽌시' 문화에 대한 시론" 중국학연구회 (27) : 355-, 2004
5 김영경, "중국 향진기업가의 입장에서 본 꽈ㄴ시(關係)의 기능 : 사회자본(Social capital) 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6 임두빈, "제이칭뉴를 통해 본 브라질 일상문화코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3
7 이승용, "소비가치유형에 따른 한국과 브라질 광고 비교 - 맥주광고를 중심으로" 중남미연구소 31 (31): 95-120, 2012
8 기와기타 미노루, "설탕의 세계사" 좋은책만들기 2003
9 정연식, "꽌시에 대하여" 1999
10 Adonro, T., "계몽의 변증법" 살림 2005
11 장영석, "鄕土中國" 비봉출판사 2011
12 DaMatta, R., "que é o Brasil?" Rocco 2004
13 "http://oloucomeu.blogspot.kr/2009/09/o-jeitinho-brasileiro-e-o-contexto.html"
14 "http://en.wikipedia.org/wiki/Brazil–China_relations"
15 Florida, R., "The Rise of Creative Class" Basic Books 2012
16 Freyre, G., "The Masters and the Slaves: A study in the development of Brazilian Civilization. 2nd English-language Edition" Alfred A. Knopf 1956
17 Holanda, S., "Raízes do Brasil" Companha das Letras 2007
18 Barbosa, L., "O jeitinho brasileiro ou a arte de ser mais igual do que os outros" Campus 1992
19 Marcus, C., "Future of Creative Industries: Implications for research policy"
20 Menger, P. M., "Cultural Policies in Europe: From a State to a City-Centered Perspective on Cultural Generativity" GRIPS Policy Research Center 2010
21 Rodrigues, R., "Brazilian jeitinho: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an indigenous psychological construct" 43 (43): 29-38, 2011
22 Duarte, F., "A double-edge sword: The jeitinho as an ambiguos concept in the Brazilian imaginary" 1 : 125-13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