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진흥법 규정의 분석과 해석 (1)  :  주요 용어의 정의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the Key Terms =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the provis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24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진흥법의 제·개정의 배경과 그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1977년 제정법과 1994년 개정법의 핵심 규정과 조문을 비판적으로 분석·비교·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진흥법의 규정 중에서 "특수교육," "치료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기관," "특수학급," "통합교육," "순회교육" 등의 용어를, 1994년 개정 특수교육진흥법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과 연관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대안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진흥법의 제·개정의 배경과 그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1977년 제정법과 1994년 개정법의 핵심 규정과 조문을 비판적으로 분석·비교·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진흥법의 규정 중에서 "특수교육," "치료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기관," "특수학급," "통합교육," "순회교육" 등의 용어를, 1994년 개정 특수교육진흥법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과 연관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대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tasks for theori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se aims was to explore and present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future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SEPL).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enaction and amendment processes of the SEPL, including the Presidential Decree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and analysed, compared, and discussed the key terms and articles of the SEPL enacted in 1977 and amended in 1994. Specifically, the important terms used in SEPL were critically and thoroughly analysed and compared,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herapeutic edu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institute," "special class," "integrated education," and "itinerant education." Also,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L 94-142, PL 101-476, PL 105-17)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that had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1994 amendments of the SEPL was briefly discussed, relating to the SEPL. Through these analysis, comparison,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SEPL were drawn and th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ultimat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tasks for theori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tasks for theori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se aims was to explore and present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future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SEPL).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enaction and amendment processes of the SEPL, including the Presidential Decree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and analysed, compared, and discussed the key terms and articles of the SEPL enacted in 1977 and amended in 1994. Specifically, the important terms used in SEPL were critically and thoroughly analysed and compared,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herapeutic edu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institute," "special class," "integrated education," and "itinerant education." Also,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L 94-142, PL 101-476, PL 105-17)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that had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1994 amendments of the SEPL was briefly discussed, relating to the SEPL. Through these analysis, comparison,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SEPL were drawn and th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