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한국특수교육'의 발전 방향 제시 및 '한국특수교육'의 '학'(學) 정립을 위한 일련의 연구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진흥법의 제·개정의 배경과 그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1977년 제정법과 1994년 개정법의 핵심 규정과 조문을 비판적으로 분석·비교·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진흥법의 규정 중에서 "특수교육," "치료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기관," "특수학급," "통합교육," "순회교육" 등의 용어를, 1994년 개정 특수교육진흥법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과 연관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대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tasks for theori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aims of the present study are two-fold. The first is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The second is to present the tasks for theori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se aims was to explore and present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of future revision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SEPL).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enaction and amendment processes of the SEPL, including the Presidential Decree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and analysed, compared, and discussed the key terms and articles of the SEPL enacted in 1977 and amended in 1994. Specifically, the important terms used in SEPL were critically and thoroughly analysed and compared,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herapeutic edu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institute," "special class," "integrated education," and "itinerant education." Also,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PL 94-142, PL 101-476, PL 105-17)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that had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 1994 amendments of the SEPL was briefly discussed, relating to the SEPL. Through these analysis, comparison,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SEPL were drawn and th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한국판 Raven 비언어성 지능검사에 관한 표준화 연구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특수아동의 행동통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