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이응주, "텔레비전 시트콤의 장르 재구성을 위한 텍스트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푸른사상 2008
4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5 Henri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문화사 2008
6 김미라, "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 : <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1 (11): 5-37, 2010
7 최이정, "시트콤 구조 분석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극예술학회 (22) : 317-350, 2005
9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5
10 정금희,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몰아보기 행동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2019
1 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이응주, "텔레비전 시트콤의 장르 재구성을 위한 텍스트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푸른사상 2008
4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5 Henri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문화사 2008
6 김미라, "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 : <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1 (11): 5-37, 2010
7 최이정, "시트콤 구조 분석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극예술학회 (22) : 317-350, 2005
9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5
10 정금희,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몰아보기 행동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2019
11 Stephen Neale, "세상의 모든 코미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12 S. Horst, "문학주제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6
13 B. Tomachevski,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8
14 Maria Bianchini,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5 Djoymi Baker,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6 남정미, "넷플릭스 조회 1위는 10년 전 시트콤...고여있던 콘텐츠의 부활"
17 류종영, "[단행본] 웃음의 미학" 유로서적 2005
18 Brett Mills, "Television Sitcom" British Film Institute 2005
19 송우열, "TV 시트콤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순풍 산부인과’와 ‘프렌즈’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