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와 유머 효과 : 몰아보기(Binge Watching) 시청 방식과 관련하여 =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in Sitcom Friends and Mechanism of Humor-focusing on Viewers' Narrative Understanding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ing on motif) and humor mechanism based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Several motif theories such as B. Tomachevski, Horst and Ingrid Dämmrich and S. Chatman are used as a basic study method in chapter Ⅱ. In popular sitcom <Friends>, sometimes kernel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certain season's story are changed into satellite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other season's stories. The motif of Ross and Rachel's conflic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for this switching process. Especially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as the interval length is much more shortened, viewers tend to reflect their own emotional memory into characters less strongly than segment watching environment. As a result, the possibility ‘heavy' stories such as seperation are quickly changed into ‘light' humorous matters is increased. This kind of hierarchy variation of repeated motif make the viewers laugh, because they can feel sudden liberating energy by eliminating psychological pressure. It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sitcom's humor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theory of 'laugh as a eliminating tension', which I. Kant representatively said.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ing on motif) and humor mechanism based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Several motif theories such as B. Tomachevski, Horst and Ingrid Dämmrich and S. Chatman are u...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narrative construction (especially focusing on motif) and humor mechanism based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Several motif theories such as B. Tomachevski, Horst and Ingrid Dämmrich and S. Chatman are used as a basic study method in chapter Ⅱ. In popular sitcom <Friends>, sometimes kernel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certain season's story are changed into satellites(according to S. Chatman's term) in other season's stories. The motif of Ross and Rachel's conflic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for this switching process. Especially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as the interval length is much more shortened, viewers tend to reflect their own emotional memory into characters less strongly than segment watching environment. As a result, the possibility ‘heavy' stories such as seperation are quickly changed into ‘light' humorous matters is increased. This kind of hierarchy variation of repeated motif make the viewers laugh, because they can feel sudden liberating energy by eliminating psychological pressure. It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sitcom's humor on binge watching environment can also be explained by the theory of 'laugh as a eliminating tension', which I. Kant representatively sai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994년에서 2004년 사이 TV 방영되었고, 2018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제공으로 다시 화제가 된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 구성과 유머 효과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프렌즈>의 주요 드라마적 갈등축을 담당하는 로스와 레이첼의 서사는 몰아보기 방식과 결합되어 새로운 서사적 인지 차원과 향유 요소를 발생시킨다. 이들의 결별 모티프는 시즌을 건너뛰어 반복되며, 각 에피소드에서 주요 사건(핵 사건)이나 부차적 사건(주변 사건)으로 그 사건의 위계가 자유자재로 변주된다. 그런데 몰아보기 환경에서는 에피소드별 시청 시간의 간격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각 대사나 인물의 작은 행동에 대한 기억 보존의 정도가 높아지며, 이별이나 상실과 같은 드라마적 갈등에 투영되는 감정적 에너지가 보다 빠르게 상쇄 혹은 승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수용자들의 사건 위계 변화에 대한 감각 역시 좀 더 증가하게 된다. 즉 ‘무거운’ 갈등 요소가 ‘가벼운’ 유머로 보다 더 빠르게 변화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시청자로 하여금 긴장된 에너지를 한 순간에 해방시키는 웃음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삶 자체를 가볍고 유쾌하게 다루는 시트콤의 특성을 더욱 강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1994년에서 2004년 사이 TV 방영되었고, 2018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제공으로 다시 화제가 된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 구성과 유머 효과의 변화에 대해 분석...

      이 글에서는 1994년에서 2004년 사이 TV 방영되었고, 2018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제공으로 다시 화제가 된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 구성과 유머 효과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프렌즈>의 주요 드라마적 갈등축을 담당하는 로스와 레이첼의 서사는 몰아보기 방식과 결합되어 새로운 서사적 인지 차원과 향유 요소를 발생시킨다. 이들의 결별 모티프는 시즌을 건너뛰어 반복되며, 각 에피소드에서 주요 사건(핵 사건)이나 부차적 사건(주변 사건)으로 그 사건의 위계가 자유자재로 변주된다. 그런데 몰아보기 환경에서는 에피소드별 시청 시간의 간격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각 대사나 인물의 작은 행동에 대한 기억 보존의 정도가 높아지며, 이별이나 상실과 같은 드라마적 갈등에 투영되는 감정적 에너지가 보다 빠르게 상쇄 혹은 승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수용자들의 사건 위계 변화에 대한 감각 역시 좀 더 증가하게 된다. 즉 ‘무거운’ 갈등 요소가 ‘가벼운’ 유머로 보다 더 빠르게 변화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시청자로 하여금 긴장된 에너지를 한 순간에 해방시키는 웃음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 삶 자체를 가볍고 유쾌하게 다루는 시트콤의 특성을 더욱 강화하여 수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이응주, "텔레비전 시트콤의 장르 재구성을 위한 텍스트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푸른사상 2008

      4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5 Henri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문화사 2008

      6 김미라, "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 : <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1 (11): 5-37, 2010

      7 최이정, "시트콤 구조 분석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극예술학회 (22) : 317-350, 2005

      9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5

      10 정금희,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몰아보기 행동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2019

      1 Immanuel Kant,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이응주, "텔레비전 시트콤의 장르 재구성을 위한 텍스트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3 Seymour Chatman, "이야기와 담론-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푸른사상 2008

      4 김미라, "웹드라마 콘텐츠의 제작 및 서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네이버 TV 캐스트 웹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8-330, 2015

      5 Henri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동서문화사 2008

      6 김미라, "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 : <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1 (11): 5-37, 2010

      7 최이정, "시트콤 구조 분석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김태연,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극예술학회 (22) : 317-350, 2005

      9 한순상, "수용자의 몰아보기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15

      10 정금희, "수용자의 능동적 행위로서 미디어 몰아보기(Binge watching) :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몰아보기 행동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2019

      11 Stephen Neale, "세상의 모든 코미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12 S. Horst, "문학주제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6

      13 B. Tomachevski, "러시아 형식주의 문학의 이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8

      14 Maria Bianchini,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5 Djoymi Baker, "넷플릭스의 시대" 랜덤북스 2019

      16 남정미, "넷플릭스 조회 1위는 10년 전 시트콤...고여있던 콘텐츠의 부활"

      17 류종영, "[단행본] 웃음의 미학" 유로서적 2005

      18 Brett Mills, "Television Sitcom" British Film Institute 2005

      19 송우열, "TV 시트콤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 ‘순풍 산부인과’와 ‘프렌즈’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