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묘제례악 귀인, 형가, 집녕, 융화, 용광, 정명, 중광, 역성, 분웅, 총수, 혁정, 영관(12곡)의 원형을 찾고, 그 음악이 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 악곡들은 모두 같은 계통의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장단은 리듬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악곡들의 장단은 만전춘 등과 같은 향악곡의 장단이기도 하며 종묘제례악 중 가장 많은 곡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장단은 향악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고요편쌍 장단에 간점을 붙인 것으로서,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과 리듬이 서로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정간보에서 이 장단의 원점 위치가 고요편쌍 장단의 원점 위치와 같고, 둘째, 이 악곡들 중 일부는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에서 선율을 가져와 만든 것이며, 셋째, 이 장단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세 가지 형태가 고요편쌍 장단이 대국1, 2, 3에 나타나는 형태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고요편쌍 장단으로 되어 있는 대국1, 2, 3의 리듬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대부분 3소박 4박자가 된다. 단, 정명의 리듬은 2소박 4박자가 되는데, 이것은 3소박 4박자가 빨라져서 한 소박 줄어든 것이다. 『대악후보』 이후 한 곡으로 합쳐진 용광과 정명의 리듬은 3소박 4박자에서 2소박 4박자로 빨라지는 리듬이 되는데, 이러한 리듬은 지금도 우리 전통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세조실록악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의 원형은 선율형식이 한문가사의 의미 계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음악으로서, 가사의 의미전달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문가사 한 글자는 한 박으로 되어 있고, 가사 한 구는 한 마디로 되어 있으며, 가사 한 행은 한 악구, 한 장단으로 되어 있다. 『대악후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에서는 원형의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을 대부분 그대로 따르고, 단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몇 가지 리듬형만을 단순화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속악원보』인편 귀인류 악곡에서는 악곡에 따라 다른 변화가 나타났고, 그 변화는 모두 가사의 내용과 맞지 않는다. 『속악원보』인편에 나타난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묘제례악 귀인, 형가, 집녕, 융화, 용광, 정명, 중광, 역성, 분웅, 총수, 혁정, 영관(12곡)의 원형을 찾고, 그 음악이 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 악곡들은 모두 같은 ...

      본 연구는 종묘제례악 귀인, 형가, 집녕, 융화, 용광, 정명, 중광, 역성, 분웅, 총수, 혁정, 영관(12곡)의 원형을 찾고, 그 음악이 변천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이 악곡들은 모두 같은 계통의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장단은 리듬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악곡들의 장단은 만전춘 등과 같은 향악곡의 장단이기도 하며 종묘제례악 중 가장 많은 곡을 차지하고 있다. 이 장단은 향악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고요편쌍 장단에 간점을 붙인 것으로서,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과 리듬이 서로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정간보에서 이 장단의 원점 위치가 고요편쌍 장단의 원점 위치와 같고, 둘째, 이 악곡들 중 일부는 고요편쌍 장단의 악곡에서 선율을 가져와 만든 것이며, 셋째, 이 장단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세 가지 형태가 고요편쌍 장단이 대국1, 2, 3에 나타나는 형태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고요편쌍 장단으로 되어 있는 대국1, 2, 3의 리듬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귀인류 악곡의 리듬은 대부분 3소박 4박자가 된다. 단, 정명의 리듬은 2소박 4박자가 되는데, 이것은 3소박 4박자가 빨라져서 한 소박 줄어든 것이다. 『대악후보』 이후 한 곡으로 합쳐진 용광과 정명의 리듬은 3소박 4박자에서 2소박 4박자로 빨라지는 리듬이 되는데, 이러한 리듬은 지금도 우리 전통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종묘제례악 귀인류의 원형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세조실록악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의 원형은 선율형식이 한문가사의 의미 계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음악으로서, 가사의 의미전달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문가사 한 글자는 한 박으로 되어 있고, 가사 한 구는 한 마디로 되어 있으며, 가사 한 행은 한 악구, 한 장단으로 되어 있다. 『대악후보』에 실린 귀인류 악곡에서는 원형의 이러한 음악적인 내용을 대부분 그대로 따르고, 단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몇 가지 리듬형만을 단순화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속악원보』인편 귀인류 악곡에서는 악곡에 따라 다른 변화가 나타났고, 그 변화는 모두 가사의 내용과 맞지 않는다. 『속악원보』인편에 나타난 변화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the musical changes of Jongmyo Jeryeak Gwiin, Hyeongga, Jipnyeong, Yunghwa, Yonggwang, Jeongmyeong, Junggwang, Yeokseong, Bunung, Chongsu, Hyeokjeong, Yeonggwan which have been changed successively from the original forms in 『Sejosillok Akbo 世祖實錄樂譜』 tothe forms in 『Sokakwonbo 俗樂原譜 In 仁』. The Jangdan 長短 of these music pieces is Hyangak 鄕樂 Jangdan. This Jangdan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Jongmyo Jeryeak. The rhythms of this Jangdan are the same as the rhythms of Goyopyunssang 鼓搖鞭雙 Jangdan which are used most widely in Hyangak. This Jangdan was derived from Goyopyunssang Jangdan by adding some additional touch points. Some melody of this music was taken from the music of Goyopyunssang Jangdan which is Hyangak. This music appears in three types, which are shown in Daeguk大國1, 2, 3 of Goyopyunssang Jangdan. The rhythms of this music are the same as those of Daeguk1, 2, 3. The major rhythm of this music is 4/♩. 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Only Jeongmyeong‘s rhythm is 4/♩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Although both rhythm 4/♩. and rhythm 4/♩have four standard beats, the tempo of rhythm 4/♩is faster than that of rhythm 4/♩.. From 『Daeakhubo 大樂後譜』, Yonggwang and Jeongmyeong were merged into one, whose rhythm gets faster from 4/♩. to 4/♩. The rhythm of this music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our traditional music. In these music pieces of 『Sejosillok Akbo』, the melodic forms are reasonably fit to their verse forms. The length of each Chinese character is uniform and the length of each verse phrase is also uniform. Since each verse phrase ends up a melodic phrase, this music delivers the meaning of the verses very well. These music pieces which fit to their verses were handed down until 『Daeakhubo』. In 『Daeakhubo』, some rhythmic types were simplified. This change occurred consistently in this music. In 『Sokakwonbo In』, however, some other changes occurred. These changes are inconsistent over the music pieces, and they make the music unfit to their vers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Sokakwonbo In』 made the music irrational.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the musical changes of Jongmyo Jeryeak Gwiin, Hyeongga, Jipnyeong, Yunghwa, Yonggwang, Jeongmyeong, Junggwang, Yeokseong, Bunung, Chongsu, Hyeokjeong, Yeonggwan which have been changed successively from the original f...

      This paper studies the process of the musical changes of Jongmyo Jeryeak Gwiin, Hyeongga, Jipnyeong, Yunghwa, Yonggwang, Jeongmyeong, Junggwang, Yeokseong, Bunung, Chongsu, Hyeokjeong, Yeonggwan which have been changed successively from the original forms in 『Sejosillok Akbo 世祖實錄樂譜』 tothe forms in 『Sokakwonbo 俗樂原譜 In 仁』. The Jangdan 長短 of these music pieces is Hyangak 鄕樂 Jangdan. This Jangdan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Jongmyo Jeryeak. The rhythms of this Jangdan are the same as the rhythms of Goyopyunssang 鼓搖鞭雙 Jangdan which are used most widely in Hyangak. This Jangdan was derived from Goyopyunssang Jangdan by adding some additional touch points. Some melody of this music was taken from the music of Goyopyunssang Jangdan which is Hyangak. This music appears in three types, which are shown in Daeguk大國1, 2, 3 of Goyopyunssang Jangdan. The rhythms of this music are the same as those of Daeguk1, 2, 3. The major rhythm of this music is 4/♩. 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Only Jeongmyeong‘s rhythm is 4/♩which has four standard beats, each of which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Although both rhythm 4/♩. and rhythm 4/♩have four standard beats, the tempo of rhythm 4/♩is faster than that of rhythm 4/♩.. From 『Daeakhubo 大樂後譜』, Yonggwang and Jeongmyeong were merged into one, whose rhythm gets faster from 4/♩. to 4/♩. The rhythm of this music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our traditional music. In these music pieces of 『Sejosillok Akbo』, the melodic forms are reasonably fit to their verse forms. The length of each Chinese character is uniform and the length of each verse phrase is also uniform. Since each verse phrase ends up a melodic phrase, this music delivers the meaning of the verses very well. These music pieces which fit to their verses were handed down until 『Daeakhubo』. In 『Daeakhubo』, some rhythmic types were simplified. This change occurred consistently in this music. In 『Sokakwonbo In』, however, some other changes occurred. These changes are inconsistent over the music pieces, and they make the music unfit to their vers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Sokakwonbo In』 made the music irration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조실록』 ~ 『대악후보』의 정간 시가와 리듬
      • Ⅲ. 원형과 그 변천
      • Ⅳ. 맺음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조실록』 ~ 『대악후보』의 정간 시가와 리듬
      • Ⅲ. 원형과 그 변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부록악보〉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구, "휴명과 청산별곡의 비교, in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2 이소라, "형가ㆍ집녕ㆍ용광과 그 관련곡" 서울대학교 1983

      3 문숙희, "현악여민락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0) : 133-164, 2008

      4 전인평, "향악 장고형 고요편쌍의 뿌리, in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5

      5 박혜정, "충남의 앉은굿 음악-안택굿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 2008

      6 장사훈, "종묘제례악의 음악적 고찰,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7 문숙희,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1) : 187-225, 2008

      8 "종묘제례악"

      9 "종묘제례악"

      10 유정연, "정대업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화여대 1997

      1 이혜구, "휴명과 청산별곡의 비교, in 한국음악논총" 수문당 1976

      2 이소라, "형가ㆍ집녕ㆍ용광과 그 관련곡" 서울대학교 1983

      3 문숙희, "현악여민락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0) : 133-164, 2008

      4 전인평, "향악 장고형 고요편쌍의 뿌리, in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5

      5 박혜정, "충남의 앉은굿 음악-안택굿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 2008

      6 장사훈, "종묘제례악의 음악적 고찰,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7 문숙희, "종묘제례악 기명과 독경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41) : 187-225, 2008

      8 "종묘제례악"

      9 "종묘제례악"

      10 유정연, "정대업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고찰" 이화여대 1997

      11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ㆍ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12 문숙희, "정간보의 시가해석 재고" 한국국악학회 45 : 89-118, 2009

      13 이혜구, "정간보 대강의 해석" 한국음악사학회 12 : 1994

      14 이보형, "장단의 여늬리듬형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박자구조연구" 국립국악원 8 : 1996

      15 전인평, "여민락 장구점의 변천, in 한국음악 장단의 역사와 논리" 중앙대학교출판부 2005

      16 이혜구, "쌍화점, in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17 남상숙, "속악원보의 편찬 체제와 수록곡 분석, in 종묘제례악의 전승"

      18 한영숙, "속악원보 인편 소재 보태평의 리듬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1991

      19 "속악원보" 국립국악원 1989

      20 이혜구, "소가곡의 형식, in 한국음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21 이혜구, "세종장헌대왕실록 악보" 22 22 : 1973

      22 "세종실록악보 세조실록악보" 국립국악원 1989

      23 이미경, "세조실록 보태평과 정대업의 장단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1986

      24 이명혜, "세조실록 보태평ㆍ정대업의 음악적 고찰" 이화여대 1976

      25 장사훈, "서경별곡, in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26 남산숙, "봉황음 복원을 위한 정간보 해석 연구" 한국무용사학회 2008

      27 "대악후보" 국립국악원 1979

      28 김명원, "대국1, 2, 3곡의 비교연구:시용향악보 목록 중"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0

      29 홍정수, "대강보(大綱譜)의 절주방식(節奏方式)" 한국음악사학회 11 : 1993

      30 정병호, "농악" 동방인쇄공사 1971

      31 이혜구, "낙양춘고, in 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32 남상숙, "고악보 장단의 변주형에 대한 검토 및 내재율 고찰, in 궁중음악의 음악학적 연구" 전통예술원 2007

      33 문숙희, "고려말 조선초 시가와 음악형식" 학고방 2009

      34 황준연, "朝鮮朝井間譜の時價に對する通時的 考察,In:お茶の水音樂論集" (特別号) : 2006

      35 남상숙, "宗廟祭禮樂譜 考察" 한국음악사학회 (31) : 5-38, 2003

      36 문숙희, "『시용향악보』 대국1·2·3과 구천 그리고 별대왕의 리듬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42) : 79-108, 2009

      37 Jonathan Condit, "Music of the Korean Renaiss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38 문숙희, "16세기 이전 보허자의 리듬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학회 43 : 91-11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