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소비에트시대 고려극장의 역사와 음악을 원동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시기(1910년대~1937)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고려극장에서 상연되었던 <춘향전>, <올림픽>,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소비에트시대 고려극장의 역사와 음악을 원동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시기(1910년대~1937)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고려극장에서 상연되었던 <춘향전>, <올림픽>, <...
본 논문은 소비에트시대 고려극장의 역사와 음악을 원동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시기(1910년대~1937)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고려극장에서 상연되었던 <춘향전>, <올림픽>, <장한몽> 등의 음악극에서 노래를 발굴하여 소개했다. 고려극장은 정치적인 이유로 소재지를 빈번히 옮겨야 했고, 법적 지위의 변경으로 명칭이 자주 바뀌었으며, 강제이주로 참여 인물들의 분산과 변화과정을 겪어야 했다. 고려극장의 배우들의 활동 시작단계를 분석한 바에 의하면 그들 대부분의 배우들은 아마추어 예술집단인 소인예술단원으로부터 시작 하였다. 고려극장은 고려인들에게 사회주의이념을 교육시키고, 이들로 하여금 사회주의 건설에 적극 참여하도록 한 문화선전 단체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려극장은 소비에트 당과 기관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또한 고려극장은 다양한 소수민족 단체들과 교류를 통해 한민족의 문화를 전파했다. 고려극장은 고려인들의 마음의 고향, 즉 정신적 본향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하여 고려극장은 단순히 연극이나 음악을 들려주는 문화단체 이상으로 고려인의 ‘상상적 조국’으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민족의 문화예술을 전승하고 보전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서 자민족의 문화를 발전시키고, 한민족 문화의 정체성을 계승해온 고려극장은 고려인들의 정신적 어머니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고려극장은 해외에서 한글과 언어를 보존하며 살아가는 고려인들에게 한민족의 민속과 춤을 공연하여 다민족 국가에서 살아가는 한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낸 예술집단이다. 따라서 고려극장에 관한 연구는 그 의미가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survey how the Soviet-Korean theatre was founded and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Bladivostok(1910~1937). Also I introduced the song repertoires and songs which were performed by Korean theatre actors and actress. The Soviet Ko...
This paper intends to survey how the Soviet-Korean theatre was founded and developed during the period of Bladivostok(1910~1937). Also I introduced the song repertoires and songs which were performed by Korean theatre actors and actress. The Soviet Korean theatre had to often change their locations and name due to various political and historical events. Because of the Koreans’ deportation from the Far East Russia, the theatre members had to be separated and disbursed in the process of moving and relocation. By scrutinizing the beginning stages of the theatre, I found that the Koryeo theatre started from an amateur artist group so called ‘soin yesuldan’ that mostly consisted of amateur actors and actresses. The ‘Koryeo theatre’ was also an institute which was designed to promote a cultural propaganda that would encourage socialist ideals to Soviet-Koreans so they could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country. In this process, the Koryeo theatre received generous supports from the Soviet Party and offices. Through exchanges the culture with other minority groups, it contributed to spreading the Korean culture. The Koryeo theatre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providing a spiritual homeland, where the Koryeo descendants can rest their hearts and minds. For this reason, it is reasonable saying that the Koryeo theatre has been their imaginary mother-land, let alone a cultural group that performs traditional plays and music. The Koryeo theatre that has not only preserved and descended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Korean race, but maintained their cultural identities at a new environment has fulfilled as a spiritual mother.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preserving the Korean language and letters abroad. Therefore, conducting research on the activities and history of this art group that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Korean cultural identities by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and dances in a diverse society is meaningfu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리길수, "회상기 신한촌, in 고려일보, 1991. 8. 2"
2 김기철, "홍범도장군의 전투경로와 쏘련에서의 만년생활, in 레닌기치, 1989. 4.11"
3 반병률, "해설:역사의 산 증인이 남긴 값진 선물, in 아무르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 지식산업사 2005
4 "한인신보, 1917년 11월 17일,2면"
5 좌를가시노바 R.Sh., "한인들, in 러시아의 민족들:백과"
6 반병률, "한국인의 러시아 이주사" 28 : 2001
7 라고자 A., "포시에트 지구, in 아시아지리지형통계자료집,45권" 1891
8 원일, "타고난 희극작가(태장춘선생의 탄생 90주년에 즈음하여), in 레닌기치, 2001. 9. 7"
9 최길춘, "크슬-오르다주 고려극장, in 레닌의 긔치, 1941. 1.31"
10 최길춘, "크슬-오르다주 고려극장, in 레닌의 긔치, 1940. 1.31"
1 리길수, "회상기 신한촌, in 고려일보, 1991. 8. 2"
2 김기철, "홍범도장군의 전투경로와 쏘련에서의 만년생활, in 레닌기치, 1989. 4.11"
3 반병률, "해설:역사의 산 증인이 남긴 값진 선물, in 아무르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 지식산업사 2005
4 "한인신보, 1917년 11월 17일,2면"
5 좌를가시노바 R.Sh., "한인들, in 러시아의 민족들:백과"
6 반병률, "한국인의 러시아 이주사" 28 : 2001
7 라고자 A., "포시에트 지구, in 아시아지리지형통계자료집,45권" 1891
8 원일, "타고난 희극작가(태장춘선생의 탄생 90주년에 즈음하여), in 레닌기치, 2001. 9. 7"
9 최길춘, "크슬-오르다주 고려극장, in 레닌의 긔치, 1941. 1.31"
10 최길춘, "크슬-오르다주 고려극장, in 레닌의 긔치, 1940. 1.31"
11 기 자, "크슬-오르다주 고려극장 1941년도 제재, in 레닌의 긔치, 1941. 2. 5."
12 기 자, "크슬-오르다 고려극단은 첫번 순회에서 빛난 성과를 달성하였다, in 레닌기치, 1938. 7. 6"
13 유의정, "카자흐스탄의 한국학 및 고려인 기록보존에 관한 연구"
14 태인수 편찬, "창가집" 원동국립출판부 1932
15 리길수, "조선예술의 전당을 찾아서, in 레닌기치, 1990. 6. 8"
16 리길수, "조선극장" 회상기
17 리길수, "조선극장"
18 진우, "조선, 극단은 어부들의 문화상 발전에 많은 방조를 주엇다, in 선봉 ,1935.9.4"
19 골젠베르그, "정치-문화 교양사업의 수준을 높이자, in 레닌의 긔치 , 1946. 7.12"
20 김보희, "정추 채록 소비에트시대 고려인의 노래,제3권" 한양대학교출판사 2005
21 조정구, "인민배우 리장송:카사흐공화국 인민배우 리장송 동무의 출생 60주년에 즈음하여, in 레닌기치, 1975.11.27"
22 채영, "인민배우 김진, in 레닌기치, 1973. 3.14"
23 최길춘, "인민 생활과의 문학 및 예술의 밀접한 련락을 위하여, in 레닌기치, 1957. 9. 4"
24 권희영, "우즈베키스탄 한인의 정체성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25 반병률,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인종적-문화적 정체성의 향후 전망"
26 김남극, "우즈베끄쓰딴 호레즘주의 고려극단, in 레닌의 긔치 ,크즐오르다:1941. 1. 1"
27 최길춘, "우리 극장무대의 첫배우, in 레닌기치, 1981. 9.29"
28 김보희 소장, "우가이 알렉산드르의 필사본, in 강제적 조선 인민 이주자들 1937"
29 나세킨 N.A, "연아무르주의 한인들:남우수리스크주 이주사 개괄, in 1895년 러시아왕립지리협회 연아무르지부 기록"
30 기 자, "알마-아따주 고려드람극장 1942년도 제재안, in 레닌의 긔치, 1942. 2.13"
31 연성용, "신들매를 졸라매며" 도서출판 예루살렘 1993
32 김보희, "소비에트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악활동" 한양대학교 2006
33 김필영,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 (1937~1991)" 강남대학교 출판부 2004
34 김보희, "소비에트 고려민족의 노래" 도서출판 한울 2008
35 김승화, "소련韓族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9
36 "선봉, 1937. 5.12"
37 김빠웰, "배우, 극작가 태장춘, in 레닌기치, 1986. 3.29"
38 반병률, "러시아 한인(고려인)사회와 정체성의 변화 ―러시아원동 시기(1863~1937)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0) : 99-124, 2008
39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 중앙아시아 한인의 역사 (하)" 2008
40 기 자, "라지오 페씨왈의 총화, in 레닌의 긔치, 크즐오르다: 1938. 3.12"
41 오철암, "딸띄구르간주 조선극장 창립 십오주년에 제하여, in 레닌의긔치, 1947.12. 8"
42 김준,"더 카가로운 인상을 주자, "더 카가로운 인상을 주자, in 선봉, 1931.11.16."
43 김보희 채록, "김세냐의 노래책과 녹음" 우수리스크 2004
44 최영근, "김보희와 인터뷰, 2009. 4"
45 김조야, "김보희와 인터뷰, 2007. 6"
46 문공자, "김보희와 인터뷰, 2007. 6"
47 정상진, "김보희와 인터뷰, 2005. 8.15"
48 한진, "국립조선극장의 연혁: 극장 창립 60주년을 맞이하여, in 레닌기치, 1992. 8.28"
49 김보희, "고려인사회 문화예술집단 小人藝術團" 한국음악사학회 (34) : 5-43, 2005
50 김겐나지, "고려극장-어제,오늘 그리고 내일, in 흐르는 강물처럼, 사진으로 보는 고려극장 66년(1932~1998)(카자흐스탄 고려극장)"
51 L. A. Hi, "고려극장의 역사(Istoria Koreiskogo Teatra)" Almaty Rarity 2007
52 김기철, "고려극단의 콘체르트에 대하여, in 레닌의긔치, 크즐오르다:1938. 6. 4"
53 조긔철, "고려극단의 사년간(1939~1941) 사업의 총화, in 레닌의 긔치, 1942. 2. 4"
54 조기천, "고려극단의 사년 간 사업의 총화, in 레닌기치, 1942. 2.13"
55 반병률, "在露韓人 강제이주 이전의 한인사회의 동향, (1923~193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1 : 1997
56 조동규, "『선봉』, 1937. 5.17"
57 극, "‘장평동의 횃불’에 대하여, in 선봉,1993.10"
58 Ким, Иосиф, "Совтскийкорескийтеатр, in Алма-Ата, с. 8"
59 Isabella L.Bishop, "Korea and Her Neighbours,vol. 2" Chanrles E. Tuttle Co. Publishers 1986
60 V.Koroleva, "1860~1930년대 극동지역 한인들의 예술 활동, in 음악과 연극" 2009
61 페트로프 A.I, "1860~1890년대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한인들의 디아스포라" 러시아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 2000
62 장정룡, "1860~1890년 러시아극동이주한인들" (1) : 2001
‘친민’(親民)의 관점에서 본 왕양명의 음악관과 음악교육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8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