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갖는 요인은 무엇이며, 양육죄책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10014
성남: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유아교육 , 2013. 2
2013
한국어
372.21 판사항(23)
경기도
60 p.; 26 cm.
지도교수:정미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갖는 요인은 무엇이며, 양육죄책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죄책감을 갖는 요인은 무엇이며, 양육죄책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그리고 어머니와 관련한 변인(취업유무, 연령)과 자녀 관련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차이 및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변인들 간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완벽주의 성향, 자녀가치관,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 개인 변인(연령, 취업유무), 자녀 변인(월령,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녀가치관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7곳의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영아(0~36개월 미만)와 유아(36~60개월 미만)를 둔 어머니 31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용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성정원(2011)이 수정,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은 조복희 외(2000)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녀가치관은 이삼식 외(2005)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중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연령에서 35세 이하인 경우, 36개월 미만인 자녀를 두고 자녀의 출생순위가 첫째인 경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어머니의 취업유무에서 미취업모와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는 첫째인 경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 순위에서만 첫째인 경우에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에서는 높은 기준 설정에 있어서만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차이가 났으나 자녀가치관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양육죄책감의 3가지 하위요인인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과 어머니․자녀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은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의 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일수록 미숙한 부모역할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은 어머니의 연령, 자녀의 월령,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의 두 하위변인인 정서적 가치 및 도구적 가치와 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월령이 낮을수록,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높은 기준설정과 관련된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이 정서적 가치관과 도구적 가치관일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의 경우 자녀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성,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과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의 출생순위가 낮을수록,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 중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완벽성이 높을수록, 자녀가치관 중 도구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돌봄 부족으로 인한 죄책감이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어머니, 자녀 관련 변인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녀가치관 중 정서적 가치, 자녀의 출생순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달랐다. 특히 자녀의 출생순위와 자녀의 가치관은 양육죄책감에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관한 이해에 이론적인 기여를 했다고 본다. 또한 어머니가 가진 자녀가치관 인식과 자녀의 출생순위가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어머니들이 갖는 양육죄책감을 비롯한 심리적인 부담감의 경감을 위한 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study was to look at variables regardi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related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2 mothers o...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study was to look at variables regarding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related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2 mothers of infants (0~36months) and toddlers (36~60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guilt, mother's perfectionism, mother's value of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Differences appeared in mother's parenting guilt in accordance with each subfactor. However, as for mother's perfectionism, there was differences in only choosing high standard and over whether they're employed or no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ther's value of children.
Seco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guilt and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y each subfactor.
Third, Analyzing comparative influences that mother-children related variable factors affect mother's parenting guilt, emotional value and birth order influenced in order of children of mother's value of children.
Fourth, As for mother's parenting guilt, variable factors that affect in accordance with subfactors differed. Particularly, children's birth order and children's value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guilt.
This pres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factors predictive of mother's parenting guilt differentiates depending on the mother's has further contribut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ther's parenting guilt. It also has established mother's recognition of their value of children, child's birth order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parenting guilt, and therefo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o inform a plan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guilt and/or psychological burden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