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책관여수준에 따른 지적정책의 수용경로 분석 - 도로명주소사업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Acceptable Path of Cadastral Policy Based on Policy Involvement Levels - To Address Road Projects Around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5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mutual causality in cadastral policy acceptance, 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cadastral policy popularity, government policy reputation, social interaction, cadastral policy expectation, depending on the level...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mutual causality in cadastral policy acceptance, 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cadastral policy popularity, government policy reputation, social interaction, cadastral policy expect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citizen involvement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ory and leading research on policy capacity, involvement and Road Name Address Project. The survey targeted citizens of Gwangju and Jeollanam-do by utilizing structured questionnaire. Hypothesis testing focused on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l validation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by AMOS 4.0.
      According to the result of six causalities (direct or indirect) between research units, eight hypothesis channels (cadastral policy popularity→cadastral policy acceptance & 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cadastral policy acceptance & social interaction→cadastral policy acceptance & government policy reputation→cadastral policy popularity & government policy reputation→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 social interaction →cadastral policy popularity & cadastral policy expectation→cadastral policy popularity & cadastral policy expectation→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have bee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 of eleven research hypothesis channels for high involvement group. And only six hypothesis channels (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cadastral policy acceptance & cadastral policy expectation→cadastral policy acceptance & government policy reputation→cadastral policy popularity & social interaction→cadastral policy popularity & social interaction→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 cadastral policy expectation→cadastral policy accommodating attitude) have bee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 of eleven research hypothesis channels for low involvement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민들의 정책관여 수준에 따라 지적정책 수용의도와 지적정책 수용태도, 지적정책 인지도, 정부정책 신뢰도, 사회적 상호작용, 지적정책 기대감 상호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

      본 연구는 시민들의 정책관여 수준에 따라 지적정책 수용의도와 지적정책 수용태도, 지적정책 인지도, 정부정책 신뢰도, 사회적 상호작용, 지적정책 기대감 상호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수용, 관여도, 도로명주소사업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작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4.0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상관분석, 그리고 모형검증을 통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6개의 연구단위간의 인과관계(직접적, 간접적)를 검증한 결과, 고관여집단의 경우에는 11개의 연구가설 경로에 대해 8개(지적정책 인지도→지적정책 수용의도, 지적정책 수용태도→지적정책 수용의도, 사회적 상호작용→지적정책 수용의도, 정부정책 신뢰도→지적정책 인지도, 정부정책 신뢰도→지적정책 수용태도, 사회적 상호작용→지적정책 인지도, 지적정책 기대감→지적정책 인지도, 지적정책 기대감→지적정책 수용태도)의 가설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저관여집단의 경우에는 11개의 연구가설 경로에 대해 6개(지적정책 수용태도→지적정책 수용의도, 지적정책 기대감→지적정책 수용의도, 정부정책 신뢰도→지적정책 인지도, 사회적 상호작용→지적정책 인지도, 사회적 상호작용→지적정책 수용태도, 지적정책 기대감→지적정책 수용태도)의 가설경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호숙, "행정학요론" 대영문화사 2000

      2 문상호, "한국적 맥락의 정책수용 성 연구를 위한 성찰적 정책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103-128, 2008

      3 김재근, "한강유역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정책수용성: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177-200, 2007

      4 양윤주,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및 선택의도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2008

      5 정주용, "참여지형에 따른 정보흐름의 변화가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유치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4 (14): 43-81, 2008

      6 이왕무, "지적행정론" 동화기술 2008

      7 임동범, "지방정부의 전자적 정책참여를 위한정보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375-405, 2009

      8 최연홍, "지방 오피니언 리더의 정책 수용성 연구: 원자력 발전소 및 방사성폐기물처분장 건설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57-90, 2005

      9 홍종선, "조사방법과 통계 자료분석" 박영사 1996

      10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1 박호숙, "행정학요론" 대영문화사 2000

      2 문상호, "한국적 맥락의 정책수용 성 연구를 위한 성찰적 정책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103-128, 2008

      3 김재근, "한강유역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정책수용성: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177-200, 2007

      4 양윤주,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및 선택의도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2008

      5 정주용, "참여지형에 따른 정보흐름의 변화가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유치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4 (14): 43-81, 2008

      6 이왕무, "지적행정론" 동화기술 2008

      7 임동범, "지방정부의 전자적 정책참여를 위한정보기술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1 (21): 375-405, 2009

      8 최연홍, "지방 오피니언 리더의 정책 수용성 연구: 원자력 발전소 및 방사성폐기물처분장 건설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57-90, 2005

      9 홍종선, "조사방법과 통계 자료분석" 박영사 1996

      10 이재신,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53 (53): 183-205, 2009

      11 정유리, "정치관여도와 메시지 내용이 부정적 정치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07

      12 남궁근, "정책학:이론과 경험적 연구" 법문사 2008

      13 김웅락, "정책집행과 정책수용" 499-506, 2004

      14 박정훈, "정부신뢰와 정책수용: 전자주민카드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93-122, 2008

      15 소국섭, "이벤트관광 방문수요 및 지출 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2009

      16 김선경,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도입가능성 탐색- 서울시 정보화정책관리자의 수용의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3 (13): 215-240, 2003

      17 박좌현, "유권자의 정치관여 수준과 투표 행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7

      18 김영구, "유권자의 정치관 여수준과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2 (22): 229-253, 2007

      19 조은희, "위험산업시설 조성에 관한 지역주민 태도 연구 : 관여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25-48, 2009

      20 정석환, "온라인상의 구전커뮤니케이션 이 정책수용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3

      21 진지형, "스포츠제품 관여도에 따른 구 매경로분석" 연세대학교 2005

      22 박인용, "수자원개발사업의 정책불응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02

      23 이왕무, "새주소사업의 위기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9 (9): 83-99, 2007

      24 행정안전부, "새주소 업무편람"

      25 디지털타임즈, "새주소 도로명 정부도 안 써"

      26 전명섭, "브랜드캐릭터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06

      27 이왕무, "도로명주소사업 평가에 근거한 지적정책품질관리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0 (10): 77-96, 2008

      28 국회행정자치위원회, "도로명주소 등 표 기에 관한 법률안 제정에 관한 공청회"

      29 김영학, "다원주의 이론에 입각한 지적 정책의 고찰" 대한지적공사 37 (37): 121-138, 2007

      30 차용진, "규제순응에 관한 연구: 환경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113-132, 2005

      31 박경원,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정책수 용도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2003

      32 주경일, "교육정보화정책의 성공적인 집행과 수용에 관한 실증 연구 - 서울시 각급 일선학교 교사들의 NEIS 채택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2 (12): 67-87, 2005

      33 김재영, "가격할인광고, 브랜드 및 소비 자관여도가 소비자의 지각가치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6

      34 이상진, "ERP시스템의 혁신수용요인이 혁신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2006

      35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PSS 아카데미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7-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5-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地籍(지적) -> 지적과 국토정보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KCI등재후보
      2010-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adastr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 0.2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