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남성무용수들이 자기성장 과정에서 삶에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인간으로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095007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2022
한국어
792.8 판사항(22)
서울
168p. : 삽도 ; 26cm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elf-growth of male dancers from Giorgi's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지도교수:김형남
참고문헌: p.157~163
I804:11042-2000005986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남성무용수들이 자기성장 과정에서 삶에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인간으로서 ...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으로 남성무용수들이 자기성장 과정에서 삶에 어떠한 경험이 있었는지를 탐색해보고,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인간으로서 삶의 본질과 경험들은 무용수로서의 삶에 어떻게 투영이 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관점에서 연구자는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나타나는 현상의 본질은 무엇이며, 무용수로서 삶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본 연구자는 인간이 경험하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탐험하며 현상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그 의미의 본질을 밝혀내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선정은 연구자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에 따라 ‘의도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는 2021년 6월 3일~2021년 9월 26일까지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진행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세상을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자기 삶의 경험에 대해 진술해 주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이 진술한 자기의 삶의 경험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무용수로서 성장을 해오기까지 이들의 삶에는 어떤 경험이 있었는지를 구분하고, 그 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통해 얻어낸 의미단위는 총 183개였고, 이를 연관성에 따라 분류하여 38개의 핵심의미를 찾아냈으며, 핵심의미들을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해내었다.
남성무용수의 삶의 경험에서 나타난 자기성장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이해의 과정으로 자기의 삶에서 내‧외적인 계기와 본질적 성향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본질적 자기탐색을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기의 성장을 가로막는 문제를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수용의 과정으로 현실적 자기와의 만남을 통해 자기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삶을 되돌아보며, 자기반성적 태도를 기반으로 자기성찰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기에 대한 연민을 느끼기도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개방의 과정으로 현실적 자기를 수용함으로써 심화된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수용의 범위가 확장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기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해내기 위한 시행착오의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깨달음은 자기철학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삶의 주체로서 자기를 탐색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삶에서 자기를 자유롭게 개방하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기의 잠재력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인간으로서 일상적 삶과 무용수로서 예술적 삶의 경계를 허물고 자기 주체적인 삶을 통해 꿈을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자기의 삶에 만족과 행복을 느끼며, 무용수로서 자기의 삶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인간은 본질적 자기탐색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의 삶을 개척해나간다. 인간의 삶에 있어 성장의 주체는 자기이며, 무용수는 무용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인간이다. 무용수에게 인간으로서 삶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가치 탐구는 무용수로서 자기를 성장하게 만들며, 인간으로서 삶의 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은 무용수 로서 자기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시킨다.
무용수의 선행경험은 문헌이나 교육으로 접할 수 있는 지식이 아닌 무용수로서 살아가기 위한 삶의 교훈이자 인생의 지침서이다. 예비무용수들은 무용수의 선행경험으로부터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 그들의 경험을 배우는 일에 적극적으로 움직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지오르지(A.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현존하는 남성무용수들의 삶의 생생한 경험을 기술하고,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무용분야에서 자기성장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타 분야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무용분야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홍숙기, "성격심리학", 서울: 박영사, 2000
2 박아청, "자기의 탐색", 서울: 교육과학사, 1998
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형설출판사, 1984
5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2002
6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1989
7 이재창, "자기성장과 인간관계", 한국가이던스, 1995
8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 문음사, 2004, 2004
9 김정희, 이장호, "집단상담의원리와실제", 법문사, 1992
10 공병혜,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23, 152-178, 2004
1 홍숙기, "성격심리학", 서울: 박영사, 2000
2 박아청, "자기의 탐색", 서울: 교육과학사, 1998
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서울: 형설출판사, 1984
5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2002
6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서울: 양서원, 1989
7 이재창, "자기성장과 인간관계", 한국가이던스, 1995
8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 문음사, 2004, 2004
9 김정희, 이장호, "집단상담의원리와실제", 법문사, 1992
10 공병혜,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 철학과 현상학 연구, 23, 152-178, 2004
11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7(2). 55-75, 2004
12 송인섭, "자아개념의 발달경향 분석", 교육심리연구, 11(1), 121-156, 1997
13 Ryff CD , Singer BH,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9 , 1-28 ., 1998
14 김영천, 이현철, "질적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7
15 이정빈, "질적연구방법과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2018
16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적 연구, 24, 91-121, 2005
17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2nd Ed.)", 서울: 박영 스토리, 2018
18 윤홍섭, 이형득, "자기성장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지도상담, 5, 1-46, 1982
19 송도선, "Dewey에 있어 경험과 교육의 관계", 교육철학 제25집, 2004, 2004
20 Dewey John, "경험으로서의 예술, 이재언 옮김", 책세상, 2003
21 김옥진, 이재창, "자기성장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9(3), 633-653, 2007
22 이근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2007
23 김정희, 이장호, "동양적 상담지도 이론 모형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 5-15, 1989
24 신경림, "이론: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탐구, 12(1), 49-68, 2003
25 김선남, "자기성장 집단상담 모형과 프로그램",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1
26 권선중, 원두리, 김교헌, "한국판 삶의 의미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지: 건강, 10(2), 211-225, 2005
27 P.M, "Zeltner 존 듀이 미학 입문, 정순복 옮김", 예전사, 1996, 1996
28 이형득,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단계별 발달과정", 집단상담연구, 1, 35-61, 1998
29 R.J, "Burnstein 존 듀이 철학 입문, 정순복 옮김", 예전사, 1995, 1995
30 박아청, "교육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자기의 발달", 교육심리연구, 17(2), 45-65, 2003
31 김선남, "자기성장 집단상담 모형에 관한 일 연구", 집단상담연구, 2, 119-160, 1999
32 호정현, "J Dewey 경험이론이 미술 교육에 미친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유철민, "듀이 경험이론에 비추어 본 구성주의 교육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34 서미경, "중 고령여성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파주: 한길사, 2014
36 금교영, "현상학적 심리학자의 인간관을 통한 인격연구", 철학논총, 61(3), 157-179, 2010
37 Jung, C., "G Man and his symbols. 이윤기(역), (1996). 인간과 상징", 서울: 열린책들, 1964
38 김정현, "프랑클의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그 이론적 기초", 철학연구, 87, 57-83, 2009
39 박은혜, 유화정, "무용가는 누구인가? : 무용가 정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무용학회지 제19권 제4호 055- 065, 2020
40 김성회, 윤정륜, 김한수, "인간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 19, 1-37",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6
41 Powell , D. 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 an analysis of program assumption", InL, 1969
42 김기정, 김해란, "자기성찰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12), 159-185, 2016
43 최지윤, "음악 미술 통합예술교육 방법연구 : John Dewey의 경험이론을 기반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4 김금자, 홍정주, 이희영, 이미향, 이금재, 유인영, 박인숙, 김진경, 김영희,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1999
45 강기수, 신경희, "빅터 프랭클의 삶의 의미론에서의 고통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 교육사상연구",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제34권 제3호 (2020), pp.71~91, 2020
46 Giorgi , A, "The theory , practice ,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28 ( 2 ) , 235-260, 1997
47 정선주, "일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족의 사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8 박영임, "세 남성 노인들의 노년기 삶에 대한 내러티브적 이해 : 삶의 경험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9 Frankl, V., "E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이시형 역(2016b). 삶의 의미를 찾아서", 파주: 청아출판사, 1969
50 Frankl, V., "E The Unheard Cry For Meaning: Psychotherapy and Humanism. 오승훈 역(2017c). 의미를 향한 소리 없는 절규", 파주: 청아출판사, 1977
51 Frankl, V. E., "Arztliche Seelsorge: grundlagen der logotherapieund existenzanalyse 유영미 역(2017b). 영혼을 치유하는 의사", 파주: 청아출판사, 1946
52 권석만, 박선영, "삶의 의미의 원천 및 구조의 탐색 및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의 개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 12, 199-224, 2012
53 오경준, "자기성장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하고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0
54 Frankl, V., "E The Doctor and the Soul: From Psychotherapy to Logotherapy. 심일섭 역(2016a).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테라피", 서울: 도서출판 한글, 1965
55 Frankl, V., "E Man's Search fo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ogotherapy. 이시형 역(2017a).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파주: 청아출판사,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