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상사와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자 303명이었으며, 상담자 직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상사와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자 303명이었으며, 상담자 직무...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상사와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자 303명이었으며, 상담자 직무스트레스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 직무열의 척도, 상사의 관계적 에너지 척도,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 척도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상사의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상사 및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 각각은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상사와 동료의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보다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가 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al energy of the superior and colleag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3 counse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al energy of the superior and colleag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3 counselors nationwide, and they responded to the counselor‘s job stress scale, the counselor burnout scale, the job engagement scale, the superior's relational energy scale, and the colleague's relational energy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al energy of colleagu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Second, the relational energy of the superior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Third, the relational energy of the superior and colleague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This study fou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lational energy between superior’s and colleag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al energy was more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engagement tha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