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및 관련요인 = Assess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Korean pharmac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374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국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초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서 약국을 개설하였거나 개설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중 임의로 표본 ...

      본 연구는 개국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초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서 약국을 개설하였거나 개설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중 임의로 표본 추출한 173명을 대상으로 2002년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시술적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의 평균은 2.53(± 0.37)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영역별로는 영적 성장 영역이 2.83(± 0.48)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영역이 2.10(± 0.56)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1일 근무시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전의 건강관련행위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76, p<0.01)를 보였다.
      3.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r=0.48, p<0.01), 행위관련 감정(r=0.52, p<0.01),사회적 지지(r=0.42, p<0.01), 행동계획수립(r=0.54, p<0.01)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장애성(r=-0.33,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성별, 결혼상태, 1일 근무시간, 1일 수면시간, 지각된 건강상태, 이전의 건강관련행위와 인지 및 감정요인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고, 이전의 건강관련해위가 회귀계수 0.48(p<0.01)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전의 건강관련행위가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다음은 자기효능감으로 회귀계수는 0.13(p<0.01)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전체 변수의 걸명력은 72.3%였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이전의 건강관련행위,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를 하였을 때의 성취감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 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setting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pon community pharmacis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setting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pon community pharmacists from 3 local areas - Seocho-Gu, Seodaemun-Gu, and Youngdeungpo-gu - in Seoul, from April 9 to April 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6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10 scales: general characteristics (12 questions), implementati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46), prior related behavior (7), perceived benefit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s (8), perceived barrier (10); self-efficacy (7); activity-related affect (11), social support (18), situational influence (5), and commitment to plan action (1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scale was 2.53 on a 4-point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for the subscale of spiritual growth (average score = 2.83) while the lowest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2.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daily working hours (p<0.0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0.05).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76, p<0.01), self-efficacy(r=0.48, p<0.01), activity-related affect(r=0.52, p<0.01), social support(r=0.42, p<0.01) and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54, p<0.01) whil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arrier(r=-0.33,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rior related behavior(r=0.48, p<0.01), followed by self-efficacy(r=0.13, p<0.01).
      In conclusion, prior related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harmacists in Korea.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ee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sampl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group of community pharmaci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i
      • 국문요약 = iv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4
      • 차례 = i
      • 국문요약 = iv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목적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용어의 정의 = 5
      • 2. 건강증진 생활양식 = 8
      •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요인 = 10
      • III. 연구방법 = 14
      • 1. 연구대상 = 14
      • 2. 자료수집방법 = 14
      • 3. 연구도구 = 15
      • 4. 연구 및 분석의 틀 = 19
      • IV. 연구결과 = 21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험 = 21
      • 2. 인지 및 감정요인의 수준 = 24
      • 3. 행동계획 수립의 수준 = 24
      • 4. 영역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 25
      • 5.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 25
      • 6.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 = 30
      • 7.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 = 32
      • V. 고찰 = 37
      • 1.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 37
      • 2.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 37
      • 3.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 = 39
      • 4.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 = 40
      • 5.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 42
      • VI. 결론 = 43
      • 참고문헌 = 45
      • 부록 = 49
      • ABSTRACT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