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은정, "현실의 초월, 초월의 현실성 : 신경숙 「기차는 7시에 떠나네」와 은희경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에 대한 검토" 한국여성문학학회 (5) : 253-275, 2001
2 강미숙, "현단계 노동문학의 여성문제 인식: 올바른 여성문학의 정립을 위하여" (1) : 222-241, 1990
3 은희경, "타인에게 말걸기" 문학동네 1996
4 김미영, "킨제이를 통해 본 자유주의 성해방론과 그에 대한 비판" 한국이론사회학회 (7) : 215-259, 2005
5 실비아 페데리치, "캘리번과 마녀" 갈무리 195-, 2011
6 이정희, "전후의 성담론 연구- 종전(終戰)에서 4.19 이전 시기의 여성잡지와전후세대 여성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8 (8): 193-244, 2005
7 김정숙, "전경린의 「염소를 모는 여자」론" 충남시문학회 (11) : 243-258, 2000
8 윤애경, "전경린 단편소설의 환상성 연구" 배달말학회 (56) : 289-310, 2015
9 박유희, "장선우의 외설 논란 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 한국드라마학회 (48) : 225-254, 2016
10 이윤종, "장선우와 에로비디오 - 1990년대 한국의 전환기적 포르노 영화" 대중서사학회 22 (22): 143-186, 2016
1 이은정, "현실의 초월, 초월의 현실성 : 신경숙 「기차는 7시에 떠나네」와 은희경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에 대한 검토" 한국여성문학학회 (5) : 253-275, 2001
2 강미숙, "현단계 노동문학의 여성문제 인식: 올바른 여성문학의 정립을 위하여" (1) : 222-241, 1990
3 은희경, "타인에게 말걸기" 문학동네 1996
4 김미영, "킨제이를 통해 본 자유주의 성해방론과 그에 대한 비판" 한국이론사회학회 (7) : 215-259, 2005
5 실비아 페데리치, "캘리번과 마녀" 갈무리 195-, 2011
6 이정희, "전후의 성담론 연구- 종전(終戰)에서 4.19 이전 시기의 여성잡지와전후세대 여성작가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8 (8): 193-244, 2005
7 김정숙, "전경린의 「염소를 모는 여자」론" 충남시문학회 (11) : 243-258, 2000
8 윤애경, "전경린 단편소설의 환상성 연구" 배달말학회 (56) : 289-310, 2015
9 박유희, "장선우의 외설 논란 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 한국드라마학회 (48) : 225-254, 2016
10 이윤종, "장선우와 에로비디오 - 1990년대 한국의 전환기적 포르노 영화" 대중서사학회 22 (22): 143-186, 2016
11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한국사회사학회 (88) : 307-344, 2010
12 이연숙, "은희경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 - 「타인에게 말 걸기」와 「그녀의 세 번째 남자」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37) : 147-168, 2012
13 전경린, "염소를 모는 여자" 문학동네 1996
14 이명호,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의 문학" (67) : 48-74, 1990
15 은희경, "아내의 상자"
16 은희경, "새의 선물" 문학동네 1995
17 박혜경, "사인화(私人化)된 세계 속에서 여성의 자기 정체성 찾기" (4) : 1-19, 1995
18 작가와 비평, "비평, 90년대 문학을 묻다" 여름언덕 11-72, 2005
19 심진경, "1990년대 은희경 소설의 섹슈얼리티" 세계문학비교학회 (72) : 37-57, 2020
20 김예니,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 : 5-28, 2021
21 김은하, "1990년대 여성 서사의 귀환과 ‘낭만적 사랑’의 종언 - 은희경의 『새의 선물』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22 (22): 203-231,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