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0년 이후 일본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문교육연구의 현황 =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Japan since 2010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school education surrounding it becomes a valuable filter and reference for looking back on our language life and finding a way for ou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move forward. In 2010, Japan enacted “New Common-use Chinese characters(kanji) in Japan” for the first time in 29 years and revised its learning guidance guidelines along with large-scale educational reforms, marking a major change in language and character life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s paper is a follow-up to my 2011 review of the achievements and trend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Japan from 1945 to around 2010, and reports the direction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for about 10 years since 2010.
      This paper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① The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implementation of “New Common-use Chinese characters(kanji) in Japan”, which was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or was insufficient to discuss,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2017-18 study guidelines centered on Chinese characters were analyzed. ② The direction,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were examined,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 in high school, and the trends, contents, and problems of Chinese character exams recently held in college entrance exams were reviewed. ③ The achievement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a representativ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agazine 新しい漢字漢文教育 were organized by area and subject, and based on them,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cent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and class cases were examined.
      The Chinese literature world in East Asia is by no means homogeneous. It is necessary to keep this in mind and use i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us make it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East Asian Chinese literature world, and the similarities or similarities can be immediately referred to in reflecting on and improving our policies and sites. In the future, I will report to the academic community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research every 10 years, and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examine each of the three areas described in this paper in depth.
      번역하기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school education surrounding it becomes a valuable filter and reference for looking back on our language life and finding a way for ou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school education surrounding it becomes a valuable filter and reference for looking back on our language life and finding a way for ou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move forward. In 2010, Japan enacted “New Common-use Chinese characters(kanji) in Japan” for the first time in 29 years and revised its learning guidance guidelines along with large-scale educational reforms, marking a major change in language and character life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s paper is a follow-up to my 2011 review of the achievements and trend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Japan from 1945 to around 2010, and reports the direction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for about 10 years since 2010.
      This paper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① The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implementation of “New Common-use Chinese characters(kanji) in Japan”, which was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or was insufficient to discuss, and the contents of the revised 2017-18 study guidelines centered on Chinese characters were analyzed. ② The direction,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were examined,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 in high school, and the trends, contents, and problems of Chinese character exams recently held in college entrance exams were reviewed. ③ The achievements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a representativ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agazine 新しい漢字漢文教育 were organized by area and subject, and based on them,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cent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and class cases were examined.
      The Chinese literature world in East Asia is by no means homogeneous. It is necessary to keep this in mind and use i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us make it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East Asian Chinese literature world, and the similarities or similarities can be immediately referred to in reflecting on and improving our policies and sites. In the future, I will report to the academic community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research every 10 years, and at the same time, I would like to examine each of the three areas described in this paper in dep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의 한자・한문 문화와 그것을 둘러싼 학교교육의 현황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돌아보고 우리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데 소중한 필터와 레퍼런스가 된다. 2010년 일본은 29년 만에 新常用漢字를 제정하고 대규모 교육개혁과 함께 학습지도요령을 개정하여, 언어・문자 생활과 한문교육에서 큰 변화를 맞았다. 본고는 필자가 2011년, 1945년 이후 2010년경까지 일본에서 나온 한문교육연구의 성과와 그 경향을 살펴보았던 작업의 후속으로, 2010년 무렵 이후 약 10년 간 일본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문교육연구의 현황을 보고한 것이다.
      본고가 수행한 연구의 얼개는 다음과 같다. ① 선행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논의가 미진했던 신상용한자 시행의 사회・문화・교육적 배경과 한문을 중심으로 2017~2018년 개정 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②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한문교육의 방향・목적・특징 등을 고등학교 한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최근 대학 입시에서 치러진 한문시험의 경향・내용・문제점 등을 검토하였다. ③ 대표적인 한문교육 전문 학술지인 󰡔新しい漢字漢文教育(새로운 한자한문교육)󰡕에 실린 한문교육 관련 성과들을 영역 및 주제별로 정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근 일본 한문교육연구 및 수업사례의 현황과 특징을 일별하였다.
      동아시아의 한문 세계는 균질하지 않다. 한문교육과 그 연구에서도 이 점을 유념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와 다른 점은 동아시아 한문 세계의 다양성과 우리의 특질 및 위치를 보다 분명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우리와 비슷하거나 같은 점은 우리의 정책과 현장을 반성하고 개선하는 데 바로 참고할 수 있다. 필자는 앞으로도 약 10년 단위로 일본 한문교육과 그 연구의 현황을 학계에 보고하며 필요에 따라 본고에서 서술한 각 장절의 주제들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일본의 한자・한문 문화와 그것을 둘러싼 학교교육의 현황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돌아보고 우리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데 소중한 필터와 레퍼런스가 된다. 2010년 일본은 29년 ...

      일본의 한자・한문 문화와 그것을 둘러싼 학교교육의 현황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돌아보고 우리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는 데 소중한 필터와 레퍼런스가 된다. 2010년 일본은 29년 만에 新常用漢字를 제정하고 대규모 교육개혁과 함께 학습지도요령을 개정하여, 언어・문자 생활과 한문교육에서 큰 변화를 맞았다. 본고는 필자가 2011년, 1945년 이후 2010년경까지 일본에서 나온 한문교육연구의 성과와 그 경향을 살펴보았던 작업의 후속으로, 2010년 무렵 이후 약 10년 간 일본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문교육연구의 현황을 보고한 것이다.
      본고가 수행한 연구의 얼개는 다음과 같다. ① 선행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논의가 미진했던 신상용한자 시행의 사회・문화・교육적 배경과 한문을 중심으로 2017~2018년 개정 학습지도요령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②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한문교육의 방향・목적・특징 등을 고등학교 한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최근 대학 입시에서 치러진 한문시험의 경향・내용・문제점 등을 검토하였다. ③ 대표적인 한문교육 전문 학술지인 󰡔新しい漢字漢文教育(새로운 한자한문교육)󰡕에 실린 한문교육 관련 성과들을 영역 및 주제별로 정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최근 일본 한문교육연구 및 수업사례의 현황과 특징을 일별하였다.
      동아시아의 한문 세계는 균질하지 않다. 한문교육과 그 연구에서도 이 점을 유념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와 다른 점은 동아시아 한문 세계의 다양성과 우리의 특질 및 위치를 보다 분명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우리와 비슷하거나 같은 점은 우리의 정책과 현장을 반성하고 개선하는 데 바로 참고할 수 있다. 필자는 앞으로도 약 10년 단위로 일본 한문교육과 그 연구의 현황을 학계에 보고하며 필요에 따라 본고에서 서술한 각 장절의 주제들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藤田智之, "「論語」を解釈しキャッチコピーで伝えよう: 孔子の言葉を一文で書き換える" 全国漢文教育学会 70 : 2020

      2 류준경, "한문과 및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의미와 상호 소통 및 유대의 모색" 한국한문교육학회 (49) : 61-96, 2017

      3 강홍재, "일본의 대학입학 시험의 현상과 전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51-73, 2018

      4 남경희 ; 한용진, "일본『신학습지도요령』의 배경과 이념 -학력관과 학습관 및 수업상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1-19, 2019

      5 송호빈, "일본 한문교육연구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709-771, 2011

      6 "일본 문화청 홈페이지"

      7 "일본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8 "일본 대학입시센터 홈페이지"

      9 차한미, "일본 고등학교 고전한문편 연구: 대학입학시험문제 분석을 겸하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최미숙,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 국어 서술형 문항 연구" 국어교육학회 53 (53): 259-288, 2018

      1 藤田智之, "「論語」を解釈しキャッチコピーで伝えよう: 孔子の言葉を一文で書き換える" 全国漢文教育学会 70 : 2020

      2 류준경, "한문과 및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의 의미와 상호 소통 및 유대의 모색" 한국한문교육학회 (49) : 61-96, 2017

      3 강홍재, "일본의 대학입학 시험의 현상과 전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51-73, 2018

      4 남경희 ; 한용진, "일본『신학습지도요령』의 배경과 이념 -학력관과 학습관 및 수업상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1-19, 2019

      5 송호빈, "일본 한문교육연구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709-771, 2011

      6 "일본 문화청 홈페이지"

      7 "일본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8 "일본 대학입시센터 홈페이지"

      9 차한미, "일본 고등학교 고전한문편 연구: 대학입학시험문제 분석을 겸하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최미숙, "일본 ‘대학입학공통테스트’ 국어 서술형 문항 연구" 국어교육학회 53 (53): 259-288, 2018

      11 심경호,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국의 역할" 동방한문학회 (74) : 7-34, 2018

      12 大滝一登, "高等学校新学習指導要領と我が国の言語文化" 全国漢文教育学会 68 : 2019

      13 謡口明, "高等学校国語科における古典教育の在り方" 全国漢文教育学会 68 : 2019

      14 장호성, "韓國과 日本의 大學入試 漢文 試驗 比較" 한국한문교육학회 (33) : 75-107, 2009

      15 三宅崇広, "第一回大学入学共通テスト〈漢文〉受験対策" 全国漢文教育学会 71 : 2020

      16 西村諭, "社会とのつながりを意識した漢文授業の実践" 全国漢文教育学会 68 : 2019

      17 송병렬, "現代 漢字文化圈의 文字 使用과 漢字의範疇에 關한 一考"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9-36, 2013

      18 류준경, "漢文敎育의 性格과 方向" 한국한문고전학회 28 (28): 341-373, 2014

      19 김영옥,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字形 標準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0 장호성, "東亞細亞 三國의 大學入試 漢文 試驗 比較 考察"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7-218, 2011

      21 백동선, "日本의 新常用漢字의 構成과 韓國의 敎育漢字" 한국일본학회 (101) : 33-46, 2014

      22 張政遠, "日本漢字學習的傳統與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23-339, 2011

      23 박세진, "日本 漢字敎育의 位相과 漢字敎育硏究의 動向"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669-708, 2011

      24 小金澤豊, "新学習指導要領における小学校教科書古典教材及び漢字教材" 全国漢文教育学会 71 : 2020

      25 渡辺春美, "戦後漢文教育実践史の展開: 「新しい漢字漢文教育」誌を中心に" 鳴門教育大学国語教育学会 34 : 2020

      26 小金澤豊, "小学校教科書中の漢文教材" 全国漢文教育学会 54 : 2012

      27 工藤玄之, "大学入試問題と高校漢文教育:生徒の努力が報われる問題とは" 全国漢文教育学会 54 : 2012

      28 駿台予備学校, "大学入試センター試験 過去問題集 國語" 駿台文庫 2010

      29 中山大輔, "中学校の漢文における漢詩を用いた導入の試み" 全国漢文教育学会 70 : 2020

      30 김영옥,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제정 과정에 대한 史的 고찰" 한국한문교육학회 (40) : 211-245, 2013

      31 권오현, "2017년·2018년 일본 학습지도요령 개정과 사회과 교육의 주요 변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1-20, 2019

      32 三宅崇広, "2012年センター試験の漢文問題について" 全国漢文教育学会 54 : 2012

      33 三宅崇広, "2010年度大学入試漢文ㆍ雑感" 全国漢文教育学会 51 :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7 0.88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