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간적 문해력의 정의적, 인지적, 비판적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 공간적 사고방식, 공간개념과 기능, 비판적 공간사고력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ispositional, Cognitive, and Critical Components of Spatial Literacy: Focusing on Spatial Habits of Mind, Spatial Concepts and Skills, and Critical Spatial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0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사고방식, 공간개념과 기능, 비판적 공간사고력을 공간적 문해력의 구성요소로 정의하고 이들 세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공간적 문해력의 하위요...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사고방식, 공간개념과 기능, 비판적 공간사고력을 공간적 문해력의 구성요소로 정의하고 이들 세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공간적 문해력의 하위요소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공간적 사고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학습전략 개발 등을 위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피어슨 상관계수, ‘점수공간’ 3차원 시각화, 독립성 검정과 요인 분석을 활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공간적 문해력의 세 요소는 서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간적 사고력의 하위요인들은 상호작용하며 시너지 효과를 낳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간적 문해력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시론적 시도로 관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ispositional, cognitive, and critical components of spatial literacy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Identifying sub-dimensions of spatial literacy and examining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ispositional, cognitive, and critical components of spatial literacy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variables. Identifying sub-dimensions of spatial literacy and examining the associations among the elemen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es help understand the nature of spatial thinking and provide insight into further research,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3D visual inspection of the “score space”, and test for independence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three components of spatial literacy are interrelated and produce synergistic effects. This article represents an empirical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sub-dimensions of spatial literacy and is expected to expand the horizon of related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