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동진, "학습장애아의 학업적성과 독해전략에 대한 교수방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16 : 1-25, 1996
2 송효진,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17-339, 2004
3 이신동, "초인지 독해전략의 상보적 교수활동이 중학생 학습부진아의 독해력과 독해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92-422, 2002
4 이경화, "초인지 능력과 초인지 독해전략의 상보적 교수활동이 5, 6세 유아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 15 (15): 53-87, 2001
5 한유경, "질문만들기훈련이 읽기부진아동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6 김은영,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로서 동기조절과 학업성취화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4 (44): 101-130, 2006
7 장희진, "자기조절 학습기능 훈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학습기능 습득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0 (40): 8-165, 2002
8 봉갑요,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은림, "자기교시 및 자기조절 방략훈련이 독해장애아의 독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4
10 윤대영, "읽기지도를 위한 질문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1 나동진, "학습장애아의 학업적성과 독해전략에 대한 교수방법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16 : 1-25, 1996
2 송효진,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17-339, 2004
3 이신동, "초인지 독해전략의 상보적 교수활동이 중학생 학습부진아의 독해력과 독해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92-422, 2002
4 이경화, "초인지 능력과 초인지 독해전략의 상보적 교수활동이 5, 6세 유아의 독해에 미치는 영향" 15 (15): 53-87, 2001
5 한유경, "질문만들기훈련이 읽기부진아동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6 김은영,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로서 동기조절과 학업성취화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4 (44): 101-130, 2006
7 장희진, "자기조절 학습기능 훈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학습기능 습득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0 (40): 8-165, 2002
8 봉갑요, "자기조절 학습 프로그램이 독해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9 이은림, "자기교시 및 자기조절 방략훈련이 독해장애아의 독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1994
10 윤대영, "읽기지도를 위한 질문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11 강낙근, "읽기 전략 훈련이 읽기 능력, 학습 습관 및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13 (13): 93-121, 1991
12 윤미령, "읽기 수업에서 상보적 교수법과 직접 교수법의 효과 비교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13 장미숙, "이해점검전략의 상보적 수업이 독해부진아의 독해력과 읽기상위인지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김윤정, "요약하기 훈련이 국어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설명문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5 양자경, "예측하기 전략 지도가 읽기 부진아의 독해력 및 읽기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16 김민경, "상보적 읽기전략 교수가 읽기부진아의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97-117, 2010
17 서전성, "상보적 교수가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 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읽기 전략 사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8 김영채, "사고력 교육을 위한 학습 전략" 서울: 교육과학사 1999
19 박영목, "국어과 교수 학습방법탐구" 서울:교학사 1995
20 Palinscar, A. S, "The role of dialogue in providing scaffolded instruction" 21 (21): 72-98, 1986
21 Poplin, M. S, "The reductionistic fallacy in learning disabilities: replicating the past by reducing the present" 21 (21): 389-400, 1988
22 Bottomley, D., "The effectiveness of an Intensive decoding and comprehension instructional reading program with fist grade students who are at-risk for learning to read" 1993
23 Brown, A. L, "Teaching students to think as they read: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form"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1985
24 Wayne H. S,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to struggl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case for reciprocal teaching" 46 (46): 163-164, 2002
25 Palincsar, A. S., "Reciprocal teaching of comprehension fostering and comprehension monitoring activities" 1 : 117-175, 1984
26 Lysynchuk, L. M., "Reciprocal teaching improves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poor comprehenders" 90 (90): 469-484, 1990
27 Paola P., "Reciprocal teaching for the primary grades: “We can do it, too!”" 63 (63): 120-129, 2009
28 Bryant, P. 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ontent area reading instruction" 34 (34): 293-302, 1999
29 Douglas J. H., "Implementing reciprocal teaching in the classroom: Overcoming obstacles and making modifications" 98 (98): 699-718, 2002
30 Davey. B., "Effects of question-generation training on reading Comprehension" 78 (78): 256-262, 1986
31 Paris, S. G., "Becoming a strategic reader" 8 : 293-316,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