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에서의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수준 분석 = Analyzing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5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order to identify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provide guidance for support in ...

      This study analyzes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in order to identify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provide guidance for suppor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n 2,931 special educators who had experience working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under five years of experience classified as entry-level educators and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classified as experienced educa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try-level educators regarded a special educato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more important than experienced educators did; however, experienced educators had higher levels of implementation. Second, both entry-level and experienced educators showed poorer levels of implementation than their perceived importance of a special educato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differed by group. Fourth, a review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levels and the educators’ main background variables revealed that entry-level educator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diverse training experience and that experienced educator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experience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or training and further support for the successful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수준을 분석하여 그 강점과 취약점을 밝히고, 향후 지원방향성을 제시하...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수준을 분석하여 그 강점과 취약점을 밝히고, 향후 지원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보조인력과 함께 근무한 경험이 있는 2,931명의 특수교사들에게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에서 교사경력 5년을 기준으로 5년 미만의 경력자는 초임교사로, 5년 이상의 경력자는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집단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가 경력교사에 비해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더 높은 반면 그 실천수준은 경력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그 실천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각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과 실천 수준 간의 관계는 집단별로 달랐다. 넷째, 이러한 인식 및 실천수준과 교사들의 주요배경 변인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초임교사의 경우에는 다양한 연수경험과 상관이 높았으며, 경력교사의 경우에는 보조인력과의 경험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성공적인 보조인력제도 운영을 위해 특수교사들을 위한 훈련이나 지원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경,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진은랑,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기대와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97-217, 2007

      3 김일명, "특수학교 교사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및 능력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21-141, 2006

      4 김현정,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11-337, 2008

      5 이미숙,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27-155, 2009

      6 배주영,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과 요구분석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장명수,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실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손영화,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실태 및 통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7 (7): 33-59, 2010

      9 박미경,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73-94, 2004

      10 우정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23-44, 2008

      1 박미경,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진은랑,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기대와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97-217, 2007

      3 김일명, "특수학교 교사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및 능력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21-141, 2006

      4 김현정,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비교-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11-337, 2008

      5 이미숙,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의 인식비교"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27-155, 2009

      6 배주영,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과 요구분석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장명수,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 실태와 성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손영화,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실태 및 통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역할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7 (7): 33-59, 2010

      9 박미경,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73-94, 2004

      10 우정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인식 비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23-44, 2008

      11 양경숙,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의 갈등 수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12 박미경,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장애 중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37-361, 2011

      13 고미옥,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통합학급 비장애아동의 인식에 대한 사례연구" 12 (12): 77-96, 2010

      14 이진숙,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의 협력적 역할과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 특수학교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307-332, 2009

      15 최유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와 그 효과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및 요구" 한국통합교육학회 4 (4): 71-100, 2009

      16 이희연,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실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정효철,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 집행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18 김우리, "특수교육보조원 연구 동향: 2004년 보조원제 도입과 그 이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413-435, 2014

      19 이정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05-137, 2015

      20 서선진,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91-317, 2015

      21 공임연,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57-77, 2006

      22 이수연,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류경순,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수행 및 운영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만족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4 권애경, "특수교육 보조원 활용에 관한 특수학급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79-196, 2006

      25 박보람, "특수교사와 특수보조원의 방과 후 미술치료 프로그램 참관과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1543-1567, 2012

      26 이인숙,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의 특수교육보조원 실태 인식 및 지원만족도 조사" 7 (7): 151-168, 2005

      27 정정진, "통합교육 촉진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활용방안"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0 (10): 36-59, 2006

      28 강경숙, "초등학교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관한현상학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29-352, 2006

      29 박민례, "초등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4 (4): 5-34, 2005

      30 김정민, "질적 연구를 통한 특수교사의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09-237, 2014

      31 김주영,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과의 협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9-44, 2014

      32 김정은, "장애통합교육보조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11-232, 2009

      33 조연희,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수행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37-162, 2008

      34 박인숙, "인천지역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특수교육보조원 관리감독 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5 이정은,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역할에 대한 특수교육 예비교사의 성과기대와 자기효능감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9 (19): 23-49, 2012

      36 조우연,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교사 연수교육과정 구성"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37 Giangreco, M. F., "Working with paraprofessionals" 61 (61): 50-53, 2003

      38 French, N. K., "Working together : Resource teachers and paraeducators" 19 (19): 357-368, 1998

      39 French, N. K., "Taking time to save time : Delegating to paraeducators" 32 (32): 65-69, 2000

      40 French, N. K., "Supervising paraprofessionals : A survey of teacher practices" 35 (35): 41-53, 2001

      41 Giangreco, M. F., "Questionable utilization of paraprofessionals in Inclusive schools: Are We Addressing Symptoms or Causes?" 20 (20): 10-26, 2005

      42 Trautman, M. L, "Preparing and managing paraprofessionals" 39 (39): 131-138, 2004

      43 French, N., "Parent perspectives on the roles of paraprofessionals" 24 (24): 259-272, 1999

      44 Giangreco, M. F., "Paraprofessionals in inclusive schools : A review of recent research" 20 : 41-57, 2010

      45 Wallace, T., "Paraprofessionals" University of Florida, Center on Personnel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2003

      46 French, N. K., "Paraeducators in special education programs" 36 (36): 1-16, 2003

      47 French, N. K., "Paraeducators and teachers : Shifting roles" 32 (32): 69-73, 1999

      48 Wallace, R. Shin, J.,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ers supervising the work of paraprofessionals" 67 (67): 520-533, 2001

      49 Giangreco, M. F., "Includ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llyn & Bacon 185-205, 2004

      50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