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선옥, "한국인과 중국인의 단어 연상의미 조사 분석과 단어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 한국어의미학회 25 : 71-98, 2008
2 한영균, "한국어 학습자 사전 개발을 위한 어휘 계량적 접근" 15, : 65-94, 2001
3 박태진, "한국어 단어의 연상 빈도 및 심상가 조사"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237-260, 2004
4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5 Sebastian Löbner, "의미론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2
6 신명선, "의미, 텍스트, 교육" 한국문화사 2008
7 조명한, "연상적 의미와 우리말 연상사전의 작성"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6 : 49-63, 1969
8 한영균,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국어학회 39 : 137-171, 2002
9 김혜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한 외국어 어휘 학습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32 : 25-46, 2000
10 李燦揆, "單語聯想에 관한 調査 연구(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5-34, 2002
1 박선옥, "한국인과 중국인의 단어 연상의미 조사 분석과 단어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법" 한국어의미학회 25 : 71-98, 2008
2 한영균, "한국어 학습자 사전 개발을 위한 어휘 계량적 접근" 15, : 65-94, 2001
3 박태진, "한국어 단어의 연상 빈도 및 심상가 조사"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6 (16): 237-260, 2004
4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5 Sebastian Löbner, "의미론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2
6 신명선, "의미, 텍스트, 교육" 한국문화사 2008
7 조명한, "연상적 의미와 우리말 연상사전의 작성"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6 : 49-63, 1969
8 한영균, "어휘 기술을 위한 연어정보의 추출 및 활용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국어학회 39 : 137-171, 2002
9 김혜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한 외국어 어휘 학습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32 : 25-46, 2000
10 李燦揆, "單語聯想에 관한 調査 연구(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5-34, 2002
11 이찬규, "單語 聯想에 관한 調査 연구(Ⅱ)" 한국어의미학회 11 : 49-78, 2002
12 Leech,G.N, "Semantics" Penguin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