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86682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3-99(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과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통해 아동기 건강불평등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더불어 건강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는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건강행태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이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22.0을 통해 사회경제적 요인과 아동의 건강불평등 간의 관계에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태, 심리사회적 요인이 아동의 건강불평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행태와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의 건강불평등을 완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in Korea. The three main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in Korea. The three main research inquiries were as follows. First, do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ealth inequality? Second, do healthy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ird, do psychosocial factors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The data for analysis came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and 2607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Results show that experi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healthy behaviors, and psychosocial factors all affect children’s health inequality. Also, healthy behavior and psychosocial facto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children’s health inequ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reduce children’s health inequal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역사회 주민역량과 지역사회 만족의 영향 관계에서 지역사회 리더 경험의 조절효과
한국과 일본의 상수도서비스 운영 및 요금체계 비교 연구
국책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둘러싼 정치경제학적 논의 –지대 추구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