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염문실, "한국인의 영어 운율자질 연구-음향 측정과 지각 판단 사용" 한국현대언어학회 23 (23): 203-224, 2007
2 홍선영, "한국인의 영어 강세 실현과 학습 효과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현대영미어문학회 30 (30): 99-122, 2012
3 홍선영, "한국인 영어 발화의 운율 실현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6 : 243-276, 2010
4 염문실, "한국인 영어 문장강세와 리듬 사용에 관한 연구" 9 : 530-548, 2004
5 안미애, "한국어 낭독체의 운율구 형성 및 음조 실현 양상 연구 -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63) : 9-40, 2015
6 정현성, "영어발음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 요구조사" 현대영미어문학회 26 (26): 129-164, 2008
7 김희경, "영어발음교육에 대한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인식" 새한영어영문학회 52 (52): 241-264, 2010
8 홍선영, "영어 발화의 운율과 낭독과의 관계" 한국영미어문학회 (131) : 335-353, 2018
9 신지영, "소통과 공감을 위한 전달력 높은 말하기의 언어학적 조건(1) -운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9) : 113-133, 2013
10 정진숙,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한국음향학회 31 (31): 461-471, 2012
1 염문실, "한국인의 영어 운율자질 연구-음향 측정과 지각 판단 사용" 한국현대언어학회 23 (23): 203-224, 2007
2 홍선영, "한국인의 영어 강세 실현과 학습 효과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현대영미어문학회 30 (30): 99-122, 2012
3 홍선영, "한국인 영어 발화의 운율 실현에 관한 음성학적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6 : 243-276, 2010
4 염문실, "한국인 영어 문장강세와 리듬 사용에 관한 연구" 9 : 530-548, 2004
5 안미애, "한국어 낭독체의 운율구 형성 및 음조 실현 양상 연구 -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63) : 9-40, 2015
6 정현성, "영어발음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 요구조사" 현대영미어문학회 26 (26): 129-164, 2008
7 김희경, "영어발음교육에 대한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인식" 새한영어영문학회 52 (52): 241-264, 2010
8 홍선영, "영어 발화의 운율과 낭독과의 관계" 한국영미어문학회 (131) : 335-353, 2018
9 신지영, "소통과 공감을 위한 전달력 높은 말하기의 언어학적 조건(1) -운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9) : 113-133, 2013
10 정진숙,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짓기와 억양패턴" 한국음향학회 31 (31): 461-471, 2012
11 Mayer, M., "Where Are You?" Dial Books for Young Readers 1969
12 Morley, Joan, "The pronunciation component in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25 (25): 51-74, 1991
13 Anderson-Hsieh, J., "Syllable duration and pausing in the speech of Chinese ESL speakers" 28 (28): 807-812, 1994
14 Boersman, P.,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6.1.05"
15 Brown, Gillian, "Listening to Spoken English" Longman 1977
16 Abecombie, David, "Elements of General Phone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67
17 홍선영, "Do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Benefit from Acoustic Information on English Stress?" 인문과학연구소 33 : 3-28, 2014
18 Rasmus, F., "Correlates of linguistic rhythm in the speech signal" 73 : 265-292, 1999
19 최욱경, "Acquisition of prosodic phrasing and edge tone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한국음성학회 8 (8): 31-38, 2016
20 Miller, J.,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reading prosody as a dimension of oral reading fluency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43 : 336-354, 2008
21 Hoequist, Charles Jr., "A comparative study of linguistic rhythm" Yale University 1985